ⓒnews1
BMW 승용차 화재 사고 잇달아…42개 차종 11만대 리콜, 수입차 역대 최대 규모
한국을 덥게 하는 게 폭염만이 아니다.
BMW 승용차가 잇따라 스스로 불타는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불타는 차량보다 시민들을 덥게 하는 것은 회사 측의 늦장 대응이다.
한국 정부 역시 대응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한국 국토교통부는 최근 화재 사고가 잇따르는 BMW 승용차에 대해 공식적으로 운행 자제를 권고했다.
정부가 특정 차종에 대해 운행 자제를 권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하지만 뒤늦은 구두 권고만으로 소비자들의 불안을 잠재우기엔 역부족이란 지적이 나온다.
권고 대상은 BMW코리아가 리콜 조치 중인 2011년 3월∼2016년 11월 생산된 BMW 42개 차종 10만6312대다. 이는 수입차 리콜 가운데 역대 최대 규모다.
BMW코리아는 차량 소유자에게 안전진단을 받을 때까지 무료로 동급 배기량의 렌터카를 제공한다.
문제의 차종에서 최근 하루에 한 건꼴로 화재가 발생하면서 일각에서는 정부가 운행 중단 조치를 내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한다.
하지만 현행법상 천재지변, 전시상황 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운행을 제한할 수는 없어 구두 권고에 그쳤다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지난 2일까지 확인된 BMW 차량 화재 사고는 올해 31건으로 늘었다. 이 중 18대가 ‘520d’ 차종에서 발생했다.
지난달 26일 리콜을 발표하면서 BMW코리아와 국토부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 모듈 이상을 원인으로 꼽았다.
하지만 해외의 같은 차종 대비 국내의 사고 발생률이 지나치게 높다는 점 등을 토대로 추가 결함 가능성이 제기됐다.
제작사와 정부의 뒤늦은 대응도 도마에 올랐다.
BMW 화재 문제는 2015년경부터 제기됐지만 올해 들어 30건에 가까운 화재가 발생한 뒤에야 리콜 조치가 이뤄졌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관련 기관, 민간 전문가와 함께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지금까지 정부와 BMW코리아의 대응 과정이 적절했는지도 점검하기로 했다. 추가 결함이 발견되면 추가 리콜도 진행할 방침이다.
BMW 520d 차주 13명은 이날 BMW코리아와 딜러사인 동성모터스 한독모터스 도이치모터스 코오롱글로벌 내쇼날모터스 등 5곳을 상대로 서울중앙지법에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은 화재 피해 당사자는 아니지만 계속된 화재로 중고차 매매가격이 떨어졌고 차량 운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이유로 1인당 500만 원씩을 청구했다.
추가 소송을 준비하는 차주들도 있어 소송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필자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