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BMW 승용차 화재 사고 잇달아…42개 차종 11만대 리콜, 수입차 역대 최대 규모

ⓒnews1

 

 

 

BMW 승용차 화재 사고 잇달아…42개 차종 11만대 리콜, 수입차 역대 최대 규모


한국을 덥게 하는 게 폭염만이 아니다.
BMW
승용차가 잇따라 스스로 불타는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불타는 차량보다 시민들을 덥게 하는 것은 회사 측의 늦장 대응이다.
한국 정부 역시 대응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한국 국토교통부는 최근 화재 사고가 잇따르는 BMW 승용차에 대해 공식적으로 운행 자제를 권고했다.
정부가 특정 차종에 대해 운행 자제를 권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하지만 뒤늦은 구두 권고만으로 소비자들의 불안을 잠재우기엔 역부족이란 지적이 나온다.
권고 대상은 BMW코리아가 리콜 조치 중인 2011 3월∼2016 11월 생산된 BMW 42개 차종 106312대다. 이는 수입차 리콜 가운데 역대 최대 규모다.
BMW
코리아는 차량 소유자에게 안전진단을 받을 때까지 무료로 동급 배기량의 렌터카를 제공한다.
문제의 차종에서 최근 하루에 한 건꼴로 화재가 발생하면서 일각에서는 정부가 운행 중단 조치를 내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한다.
하지만 현행법상 천재지변, 전시상황 등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운행을 제한할 수는 없어 구두 권고에 그쳤다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지난 2일까지 확인된 BMW 차량 화재 사고는 올해 31건으로 늘었다. 이 중 18대가 ‘520d’ 차종에서 발생했다.
지난달 26일 리콜을 발표하면서 BMW코리아와 국토부는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 모듈 이상을 원인으로 꼽았다.
하지만 해외의 같은 차종 대비 국내의 사고 발생률이 지나치게 높다는 점 등을 토대로 추가 결함 가능성이 제기됐다.
제작사와 정부의 뒤늦은 대응도 도마에 올랐다.
BMW
화재 문제는 2015년경부터 제기됐지만 올해 들어 30건에 가까운 화재가 발생한 뒤에야 리콜 조치가 이뤄졌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관련 기관, 민간 전문가와 함께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지금까지 정부와 BMW코리아의 대응 과정이 적절했는지도 점검하기로 했다. 추가 결함이 발견되면 추가 리콜도 진행할 방침이다.
BMW 520d
차주 13명은 이날 BMW코리아와 딜러사인 동성모터스 한독모터스 도이치모터스 코오롱글로벌 내쇼날모터스 등 5곳을 상대로 서울중앙지법에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은 화재 피해 당사자는 아니지만 계속된 화재로 중고차 매매가격이 떨어졌고 차량 운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이유로 1인당 500만 원씩을 청구했다.
추가 소송을 준비하는 차주들도 있어 소송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필자 이미지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