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웨이보 반응] 대한민국, 독일에 2-0 승리! 중국 네티즌의 반응은?

 

 

 

 

 

 

 

 

 

 

 

출처 : 웨이보 微博 

 

러시아 월드컵 조별리그 F조 마지막 경기에서 전 세계 축구 팬들의 예상을 뒤엎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바로 대한민국이 독일을 2-0으로 꺾으면서 디펜딩 챔피언인 독일에 월드컵 탈락이라는 결과를 안긴 것인데요. 비록 대한민국도 16강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이번 월드컵 최고의 경기라는 찬사를 받았습니다. 과연 중국 네티즌은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이번 월드컵에서 독일에 가장 뼈아픈 건 조별리그 탈락이 아니라 한국한테 2:0으로 패배한거야(棒子는 한국을 낮춰 부르는 말..)

 

 

 

- 98년 프랑스가 월드컵 우승 후 2002년 조별리그 탈락, 2006년 이탈리아가 월드컵 우승 후 2010년 조별리그 탈락, 2010년 스페인이 월드컵 우승 후 2014년 조별리그 탈락, 2014년 독일이 월드컵 우승 후 2018년 조별리그 탈락. 우승자 징크스 진짜 신기하네

 

 

 

 

- 욕먹을 각오하고 한국 축구를 칭찬해보면 한국 팀은 반칙이 많은 더티 플레이를 했다고 하는데, 한국 축구팀의 스타일이 압박해서 뺏는 형태고, 실력이 부족하다고 패널티 에어라인에서 압박해서 뺏어내지 않으면 (독일한테) 먹히는데? (골 넣을) 기회가 생기지는 않더라도 포기하지 않는 것은 똑같고, 국가 대표팀이 테크닉이 부족해도 즐겁게 축구했으면 된 거 아냐?

 

 

 

 

- 한국의 플레이가 더러웠다고 까지마. 따지는 건 월드컵에 진출했을 때나 독일을 이겼을 때 하는 거지.
더티 플레이는 안 배우면 되는 거고. 중국인은 저런 것만 잡아내고 진짜 한심하다

 

 

 

 

- (2번째 댓글에 대한 댓글) 한국 축구 왜 이렇게 극혐이야? 패배한 자는 핑계를 찾고, 이긴 자는 기세등등하네. 축구보면 일본은 좋아할지라도 한국은 싫다. 진짜 극혐.

 

대한민국이 독일에 승리한 것에 대해 다양한 의견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로써 독일 역시 월드컵 우승국 징크스를 깨지 못하고 러시아에서 물러나게 되었고, 대한민국은 월드컵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게 되었습니다. 비록 대한민국과 독일은 탈락했지만, 멋진 경기를 보여준 선수들에게 감사하다는 말씀, 해동주말이 전합니다. 글=김상태


사회

더보기
중 얄팍한 상술로서 '제로 첨가물' 도마에 올라
‘0’의 저주? 한국에서도 슈가 0, 트랜스지방 0 등 소위 ‘0’상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최근 이 같은 ‘0’ 상품의 대명사였던 한 간장회사가 여론의 철퇴를 맞았다. 첨가물이 없어 첨가물 ‘0’라던 이 간장에서 중금속 카드뮴이 검출된 탓이다. ‘아니 다른 첨가물도 아니고, 중금속 카드뮴을 첨가하다니!’ 중국 네티즌들은 당연히 분노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이 무첨가 간장이 아니며, ‘천허0’는 단순한 상표명일 뿐이라고 주장하며 소비자들이 이를 무첨가 제품으로 오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매체에서 제조사인 천허미업식품주식회사에 취재를 하자, 고객센터 직원은 “‘천허0’는 당사의 등록 상표가 맞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천허0’가 무첨가를 의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무첨가 여부는 원재료표를 참고하면 된다”는 입장만 밝혔다. 중국 네티즌들은 ‘천허0’ 간장은 단순한 말장난일 뿐이라고 지적한다. 마치 ‘아내가 들어 있지 않은 아내빵’이나 ‘부부가 없는 부부폐채’처럼 소비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이라는 풍자다. 중국 현행법에 따르면 상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출처를 식별하여 소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