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조각가 정현 “견딤과 인고의 폐대들보에서 아름다움 발견”

 

 

서원을 떠받치고 있던 300여 년 된 7m 길이의 육중한 소나무가 전시장 한가운데 누워있다. 단청이 벗겨지고 흰개미가 온통 제 살을 갉아먹은 대들보는 수명이 다해 ‘폐량1’이라는 딱지가 붙은 채 함양의 한 목공소로 흘러 들어왔다.
 조각가 정현은 더 이상 제기능을 할 수 없게 돼 폐기된 이 대들보를 목공소에서 우연히 발견하고 조각품으로 소생시켰다. 마치 인고의 세월을 견뎌내고 편안한 죽음을 맞이하는 수도자처럼, 육지로 올라와 숨을 거두는 거대한 한 마리의 고래를 보듯이 숭고하기까지 하다.
 작가는 좀이 먹은 구멍마다 철사를 꽂아보기도 하고 낚싯줄을 넣어보기도 했지만 대들보 자체를 그대로 둔 채 버려진 철도침목을 그 위에 세웠다. 낡고 좀먹고 부스러졌지만 가만히 들여다보면 우리나라 단청에서는 보기 드문 항아리, 구름 같은 모양이 정교하게 그려져 있다. 

 

 

정현 작가는 20년 가까이 폐침목과 같이 현대 사회에서 버려진 물질들을 재료로 해 ‘인간’에 대해, 견딤과 인고의 미학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그는 “폐자재이지만 긴 세월 동안의 겪음이 잘 담겨 있다. 소멸되기 직전이지만 그 속에서 힘과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작가가 살던 동네의 한옥과 초가집들이 철거되면서 굴착기에 찢기고 부러진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목재들도 전시장에 자리를 잡았다. 작가는 철거 과정에서 나온 목재들에 먹물을 바르고 성처럼 쌓아올려 새로운 구조물을 만들어냈다.
 2016년 프랑스에서 선보인 정 작가의 대표작인 거대한 <서 있는 사람>을 연상시키는 침목 작품들도 만나볼 수 있다. 거대한 입상의 피부는 셀 수 없이 지나간 기차와 세월의 흔적이 흉터처럼 새겨져 있다. 
 작가는 2006년 올해의 작가상, 김세중 조각상, 우현예술상 등을 수상하는 등 한국 조각에서 독보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2016년 파리 생 클루 국립공원 등에서 대규모 전시를 연 후 국내에서 갖는 첫 개인전이다.
 설치 작업 4점, 대형 드로잉 3점 등 9점의 신작 등 총 22점이 전시 중이며 전시는 금호미술관에서 5월 22일까지 이어진다.
기사=윤진희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