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남북, 북미 두 정상회담 준비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한국과 미국 당국에 따르면 북미정상회담을 위해 양측이 비밀리에 실무 접촉을 진행하고 있다. 미국과 북한의 정보당국이 회담 장소를 확정하기 위해 수 차례 대화를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제3국에서 회동이 이뤄졌다고 알려졌다.
현재 CNN은 마이크 폼페이오 중앙정보국(CIA) 국장이 CIA 내부의 전담팀을 이끌고 있다고 전했다. 그동안 북미대화는 주로 미 국무부나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가 뉴욕채널을 통해 북한 외무성과 소통하는 방식으로 이뤄져 왔다.
남북 정상회담 준비 논의 역시 정보당국의 비공개 채널에서 이뤄지고 있다. 정부 안팎에서는 서훈 국가정보원장과 김영철 북한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이 복구된 핫라인을 통해 수시로 소통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서훈 원장과 김영철 부장 사이에서 실질 조율이 이뤄지면 남북 고위급채널인 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이 이를 공식화한다는 것이다.
CNN은 북미 정보기관 간 실무회담이 정상회담에 앞서 폼페이오 국장과 그의 카운터파트인 북한 정찰총국장과의 회담을 위한 기초를 다지는 작업이라고 보도했다.
2018 남북 정상회담이 19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청와대를 중심으로 한 정상회담 준비 작업도 막바지 준비단계에 접어든 모양새다. 지난 5일 의전·경호·보도 분야 실무회담에서는 최초로 군사분계선(MDL)을 넘어오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동선과 경호·의전·취재 지원 등에 관한 세부사항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상회담 오·만찬 방식과 군 의장대 사열 여부, 생중계 여부 등을 집중 협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7일 통신 분야 실무회담에서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 위원장 사이의 핫라인 구축 방안을 논의했다.
청와대는 앞으로 남은 3주 동안 분야별 후속 실무회담과 18일로 예상되는 남북 고위급 회담 준비에 매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통일백서 등 과거 통일부가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2000년 제1차 남북 정상회담 당시에는 ▲회담의 명칭 ▲정상회담 대표단 ▲김대중 대통령의 왕래 절차 ▲신변안전 보장 방식 ▲TV실황 중계 여부 ▲위성 통신망 구성과 운영 여부 등이 실무회담 합의사항이었다.
당시에는 서울-평양 사이의 직통 전화선 연결과 위성 통신망 이용을 실무회담에서 합의한 바 있다. 남북 직통전화 30회선, 국제 전화회선 30회선 구축을 합의했고, 휴대용 위성장비 반입도 허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