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취업했거나 구직 중인 20대 경제활동인구(이하 경활 인구)가 60세 이상 노인에 사상 처음으로 추월 당했다. 노인과 20대 인구 모두 큰 폭으로 늘었다. 그러나 고용 한파로 경제활동을 하는 20대 인구가 제자리걸음을 한 탓에 이 같은 현상이 나왔다.
한국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20대 경활 인구는 406만3천 명으로 전년과 같은 수준에 머물렀다. 반면 60세 이상 경활 인구는 전년(395만3천 명)보다 25만7천 명 늘어난 421만 명을 기록, 20대 경활 인구를 사상 처음으로 넘어섰다. 경활 인구는 15세 이상 인구 중에서 조사대상 기간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을 한 취업자와 일을 하지 않지만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한 실업자를 합친 것이다.
지난해 20대 경활 인구가 60세 이상 경활 인구에 추월 당한 데에는 최근 가속화한 고령화 영향이 크다. 지난해 60세 이상 노인은 전년보다 49만5천 명이나 늘어나면서 전체 인구와 경활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각각 1천만 명, 400만 명을 넘어섰다.
반면 20대 경활 인구는 전년과 같은 수준에 멈춰 서면서 노인 경활 인구의 청년 경활 인구 추월 시기가 더 빨라진 것이다.
지난해 20대 인구는 636만 명으로 전년보다 6만4천 명 늘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0년 이후 가장 큰 폭의 증가다. 20대 인구가 큰 폭으로 늘었음에도 비경제활동 인구만 대폭 늘면서 경제활동 인구는 전혀 늘어나지 못했다.
실제로 지난해 청년층의 대표적인 비경활 유형인 취업준비생은 전년보다 4천100명 늘어난 66만9천 명을 기록, 역대 최대치로 치솟았다. 증가 폭도 2008년 금융위기 당시(4천 명)를 뛰어넘으며 최대를 기록했다.
기사= 강지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