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화주의의 자충수?

 

한국은 평창올림픽 개막식에서 한국 전통문화를 알리고 싶었지만,
어쩔 수 없이 알린 것은 중국 문화다!” 

 

 

 

12일 세계화인주간의 문화 논평의 제목입니다.
논평은 평창올림픽 개막식에 등장한 한국 전통문화라는 것이 결국 중국 문화였다고 주장했습니다. 
일부 중국 네티즌들은 한국이 또 중국 문화를 훔쳐 자신들 것이라 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먼저 사진을 보시죠.

 

 

 

 

 

바로 고대 상나라 자료들입니다. 한국이 알린 고대 문화라는 게 고대 상나라 문화라는 것이죠. 

그리고 한국 관복이라는 것도 결국 명나라 시대의 관복이라고 꼬집었습니다.

 
 

보다 보니 좀 그렇더군요. 의문이 마구 쏟아집니다. 

 

중국의 주류는 상나라가 아니라 주나라 아니었나요? 또 조선의 관복이 당시 가장 강성했던 명나라 관복을 닮은 게 왜 이상하죠?
지금 중국 지도자들이 양복을 입는다고 중국이 미국이 됐다고 하나요?
그런데 관련 기사의 댓글을 보니 다시 고개가 끄덕여집니다.
대반전!
어쨌든 이런 많은 의문이 들게 하는 글에 중국인들이 먼저 반발을 합니다.
댓글들이 대부분 지나친 편견이 문제라 지적하고 있습니다.
 
다음 기사 역시 둬웨이에서 올린 것입니다.
"한국이 중국 문화를 훔쳤다고?"
기사에서 이렇게 반문합니다. 아시아 문화의 근원을 두고 공통점이 있는 것을 그리 주장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글=청로(清露)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