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평창 식중독, 하필이면 ….

 

해동의 6일 자 [중국 속 한국]입니다. 평창이 다가올수록 우리 관련 뉴스도 많습니다. 
시 뉴스를 보다 보면 극과 극은 통한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사진 누르시면 원문 혹은 또 다른 기사가 있습니다. 

 

평창 식중독 소식 빠르게 전파

신화통신부터 중국, 중화권 매체들 사이에 평창 식중독 소식이 빠르게 전파되고 있습니다.
음. 잘 좀 하죠. 

 


 

김영남 위원장 방남, 미국의 제재 대상이 아니다.

사실상 북한의 수반인 김영남 위원장의 방한 소식을 빠르게 전했습니다.
거의 모든 중화권 매체가 "문재인 대통령과 손을 잡는다." 등등 한반도 긴장의 새로운 전개 방향에 대해 기대감을 감추지 않았습니다.
특히 홍콩 밍바오는 "김영남은 미국의 제재 대상이 아니다."며 분석했습니다. 

 

음. 우리 북 춤이 이렇게 예쁘군요.

 

 

중국, 대만 동시에 대북 제재 강화 약속

그렇지만 유엔에서는 중국과 대만이 한목소리로 북한에 대한 제재 조치 위반 사례가 더 이상 나오지 않도록 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앞서 유엔에서 2017년 제재 조치 위반 사례 보고서가 나온 여파입니다. 
6일 독일의 소리가 전합니다. 

 


 

시리아 등에 무기 수출, 석탄, 철 밀수출 지속했다.

역시 유엔 보고서 내용에 근거한 독일의 소리 중문 서비스의 보도입니다. 북한이 시리아 등에 무기를 팔고, 석탄과 철강 밀수출도 지속해왔다고 합니다. 이에 2017년 1~9월 2000만 달러 수출액을 기록했다고 하네요. 

 


 

이재용 삼성그룹 부회장의 판결 소식도 관심사

이재용 삼성그룹 부회장 판결 소식도 관심사입니다. 음 그런데 뉴욕타임스 중문판 제목이 한국개혁 기대 좌절이네요. 쩝! 

 

이상 해동이었습니다.

글=청로(清露)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