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겉으로 보호무역이냐, 속으로 보호무역이냐? 미중 설전.

 

안녕하세요. 해동의 29일 자 [세계&중국]입니다. 오늘도 중국과 미국, 중국과 인도 각국의 각축이 치열합니다.

 

 

"누가 보호주의인가?" 미국과 중국 간 서로 보호주의가 심하다며 설전.

윌버 로스 미국 상무부장이 지난 24일 스위스 다보스포럼에서 중국에 대해,
"한편에서 자유주의 무역을 외치면서 다른 한편에서는 자국 보호주의를 극적으로 실천한다"라고 비난했습니다.
그러자 중국의 대외 공식 매체인 신화新华통신이 28일 나서,
"미국이 우선되야 공평하단 말인가? 그런 황당한 로직이 어디 있나!"라는 논평을 내고 반박했습니다. 
이제 미국과 중국은 국가 주요 기관이 대놓고 서로 비난하는 사이가 됐군요. 

인도의 다보스 외교전에 신경 거슬리는 중국

스위스 다보스포럼에서 주목을 받은 것은 미국과 중국뿐이 아닙니다. 인도 모디 총리도 적극적인 외교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이런 인도에 대해 중국의 환추스바오环球时报가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아무래도 아직 국경 대치 상황이 지속되는 상황이라는 점이 크게 작용한 듯합니다.
아래는 29일 오전 환추스바오 인터넷 사이트 기사 목록 캡처입니다. 인도 관련 기사 3건이 주요 기사로 배치돼 있습니다.
"인도가 매력을 발산한다고 각국이 받아들이겠냐?"
"인도가 세이셸의 한 섬에 전시에는 쓰지도 못하는 기지를 만든다."
"인도 공산당이 친중국 발언으로 인도 정부를 자극했다."

중일 관계, 3 한 4 온 시기 돌입 … 중국에서 간첩 혐의 받는 이 풀어달라는 일본 요청, 왕이 단칼에 거절.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외무상이 방중해 28일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와 양제츠杨洁篪 외교담당 국무위원을 만났습니다.
리 총리는 "아직 한기가 남아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일본 매체들은 리커창 총리의 방일 일정을 논의했다고 합니다.
앞서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간첩 혐의로 복역 중인 이를 석방해달라"라는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의 청을 단칼에 거절했다고 합니다.
그래도 중일 양국은 관계 개선의 첫 발을 내디딘 것으로 평했습니다. 

 

http://news.dwnews.com/global/news/2017-09-25/60014439.html 


음. 말보다 행동이 중요하죠. 어디 두고 보시죠, 리커창 총리가 언제 일본을 찾게 되는지. 

 

해동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글=청로(清露)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