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임산부 10만명당 사망률 15.1명...선진국 수준

 

‘10만명당 15.1명’

중국의 지난 2023년 현재 임산부 사망률이다. 중국의 임산부 사망률이 전년 동기 대비 3.8% 감소했다. 특히 도시 임산부 사망률은 10만명당 12.5명으로 12% 이상 줄었다.

OECD 가입국 평균은 8.9명이다. 중국은 평균보다 높지만 1위인 미국의 22명 보다 크게 적은 수치다. 한국은 2020년 기준 11.8명이다.

CCTV 웹사이트에 따르면 국가통계국은 최근 여성 건강, 교육, 경제, 의사 결정 및 관리, 사회 보장, 가족 건설, 환경, 법률 등 8개 분야에서 여성의 활동 정도를 분석한 자료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앞서 중국 당국이 추진중인 <중국 여성 발전 강요(2021-2030년)>(이하 <강요>)의 시행 과정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이뤄졌다. 통계 모니터링 지표 체계 및 관련 부서의 데이터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됐다.

분석 결과, 지난 2023년 중국 임산부 사망률은 10만 명당 15.1명으로, 2022년 대비 3.8% 감소했다. 농촌 임산부 사망률은 10만 명당 17.0명, 도시 임산부 사망률은 10만 명당 12.5명으로 12.6% 감소했다.

생식 건강 촉진 행동 방안(2023-2025년)>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여성 및 아동 보건 기관 역량 강화를 적극 추진하였다. 2023년 혼인 전 의학 검사율은 76.5%로, 2022년 대비 1.7%p 증가했으며, 임산부 체계적 관리율과 산전 선별 검사율은 각각 94.5%, 91.3%로 각각 0.9%p, 2.6%p 증가했다. 임산부 병원 출산율은 계속해서 99.9%를 유지하였으며, 출산 후 방문율은 97.0%로 0.5%p 상승했다.

<에이즈, 매독 및 B형 간염 모자 감염 제거 행동 계획(2022-2025년)>을 심층적으로 추진하고, 예방 조치를 여성 및 아동 보건 업무와 임신·출산 기간 서비스에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에이즈 세대 간 전파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2023년 에이즈 모자 감염률은 1.3%로, 2022년 대비 1.7%p 감소했다. 베이징, 장쑤, 후난, 광둥, 윈난 등 5개 성에서는 모자 감염률이 2% 이하 목표를 선제적으로 달성했다. 에이즈 감염 임산부의 신생아 항바이러스 약물 투여율은 99% 이상을 유지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