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실내 흡연 제재하려다 중 여배우 봉변 당하자 중 네티즌 "실내 흡연은 절대 금지해야"

 

중국에서 유명 여배우가 실내 흡연하려던 남자를 막으려다 오히려 봉변을 당한 사실이 인터넷에 알려지면서 네티즌들의 공분을 사고 있다.

중국의 한 지역 매체는 최근 여배우 쉬자오(徐娇)가 후난 장사(长沙) 내 한 식당에서 흡연 중인 남성을 설득하려 했으나, 상대방이 ‘여기 금연 표지가 없다’라며 흡연을 계속했다. 쉬자오가 증거를 남기기 위해 동영상을 찍으려 했으나, 그 남성이 그녀의 휴대폰을 빼앗고 담배꽁초를 그녀의 밥그릇에 던졌다.

이 사건은 온라인을 타고 급속히 번졌다.

사실을 접한 네티즌들은 쉬자오의 편을 들어 남성을 욕했다. 사실 많은 중국 네티즌들은 실내 공공장소에서의 간접흡연에 오랫동안 시달려왔다.

중국 매체들 역시 “실내에서 흡연이 명시적으로 금지되지 않은 지역이라도 기본적인 예의를 지켜야 한다”라며 쉬자오 편을 들었다. 물론 남성의 편을 드는 이들도 있기는 했다. “금연 표시가 없으면 피워도 되는 것 아니냐”는 반응이었다.

하지만 중국 관련 규정은 “실내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을 금지한다. 공공장소 운영자는 눈에 띄는 금연 경고문과 표지를 설치해야 한다”고 하고 있다. 이는 지난 2011년 3월 중국 보건부가 개정한 <공공장소 위생관리 조례 시행 세칙>에 나오는 규정이다.

식당 등은 실내 공공장소에 해당하며, 다수의 지방에서는 실내 공공장소 금연을 명확히 하는 지방 규정과 조례를 연이어 제정했다.

이 같은 실내 금연 규정에도 불구하고 중국에서는 여전히 실내 흡연자들을 자주 보게 된다.

중국법학회 행정법학연구회 이사인 천멍(陈猛)은 “실내 공공장소 금연은 매우 필요하다”며 “폐암 및 기타 심각한 호흡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공중 보건을 보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실내 공기 중 미세먼지(PM2.5)와 기타 유해 물질의 농도를 현저히 줄여 환경 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담배 꽁초는 화재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특히 가연성 환경에서는 더욱 위험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실내 공공장소 금연을 지지하는 것은 타인의 건강 권리를 존중하는 사회적 가치관의 표현”이라며, “엄격한 실내 금연 조치는 공중 보건, 안전 및 환경 보호를 보장하는 핵심 단계이며, 더 문명적이고 건강한 사회 환경을 구축하는 기초”라고 강조했다.

베이징 영허 변호사 사무소의 고급 파트너인 왕서(王旭)는 “흡연 행위와 그로 인한 사회적 관계를 고려할 때, 흡연은 환경법의 조정 범위에 속하며, 실내 흡연 금지는 환경법적으로 실현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법률 경제학적 관점에서 보면, 담배 시장은 국가의 개입이 필요하며, 이는 담배의 생산, 제조, 소비에 대한 개입을 포함한다”고 설명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