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 올 1~10월 온라인 소비 12조4000억 위안 달해....전년보다 9% 가까이 늘어

 

올 들어 지난 10월말 현재 중국의 온라인 소비액이 12조 4000억 위안에 달했다.

한화로 약 약 2,400조 6,400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중국의 온라인 소비는 10월말까지 전년동기 보다 9% 가까이 늘었다. 

 

26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온라인 소비현황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올 1~10월 전국 온라인 소매액은 12조 4천억 위안으로 전년동기 대비 8.8% 늘었다. 실물 상품 온라인 소매액은 10조 3천억 위안(약 1,994조 800억 원)으로 8.3%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은 국경절 연휴와 ‘광군제’(11월 11일) 사전 할인 행사 등의 요인, 그리고 노후 제품 교체 정책 효과가 가속적으로 반영된 덕으로 분석했다..

특히 '이구환신' 정책 덕에 디지털 제품과 서비스 소비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상업 빅데이터에 따르면 스마트 가전 및 휴대폰 판매는 각각 14.2%, 12.2% 증가했고, 추출기(레인지 후드)와 가정용 레인지 판매는 각각 93%, 46.8% 늘었다.

네트워크 서비스 소비는 15.5% 성장했다.

 

전자상거래는 디지털화로 산업 벨트의 브랜드 창출과 품질 및 효율 향상을 지원했다. 가구, 가전, 여성복 등 산업 벨트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산업 브랜드를 구축했다.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플랫폼들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중국의 온라인 소비가 이제 국경을 넘는 소비로 발전하고 있는 것이다.

신선식품 플랫폼은 동남아와 남미에 과일 및 채소 재배 기지를 설립하여 중국 국내 공급을 다양화했다. 상업 빅데이터에 따르면 1~10월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칠레산 체리와 말레이시아산 두리안의 매출은 각각 107.8%, 23.6% 증가했다.

 

상하이 ‘실크로드 전자상거래’ 협력 선행구는 출범 1년 만에 38개 과제를 전면 추진하여 10건의 제도 혁신 성과와 5건의 복제 및 확산 가능한 경험을 창출했다.

협력국 온라인 및 오프라인 국가관은 70개 이상에 달했다. 또한, 상무부의 2024년 ‘4+N’ 네트워크 소비 매트릭스의 마무리 행사로서 전국 ‘실크로드 클라우드 상품’ 전자상거래 주간이 제7회 중국국제수입박람회(CIIE) 기간에 시작되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