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노자심득] 정말 귀한 건, 너를 배부르게 하고, 너를 편안하게 하는 것들이다.

누가 있어,

돈 귀한 줄 모를까?

누가 있어,

금 좋은 걸 모를까?

 

귀한 건

세상이 먼저 안다.

 

그래서

쌓아놓은 금덩이는

도적을 부르고

 

쌓아놓은 곡식에는

쥐만 들끓는다.

 

그런데 우리는

정말 귀한 게 뭔지,

알기는 하는 걸까?

 

그저 주변에

구하기 힘든 것

주변에

없는 그런 것들을

‘귀하다’

하는 건 아닐까?

 

심지어

주변에 없다고 착각하는 것들,

남부럽게 한다 착각하는 것을,

‘귀하다’ 착각하는 건 아닐까?

 

이리 생각해보자.

하늘에서 이상한 권리증을 하나 받았다.

이 권리증을 제시만 하면,

 

내가 그냥

자동차 공장에 가서

차를 가져올 수 있고,

 

내가 그냥

어느 식당이든

들어가서

내가 원하는 걸

마음껏 먹을 수 있다.

 

그런데도 돈이 귀하고,

금이 귀한 게 될까?

 

내가 은행에 가서

달라고 하면

은행원이 그 자리에서

그냥 인쇄를 해

돈을 주고,

 

내가 마트에 가서

달라고 하면

점원이 그 자리에서

그냥 뭐든 담아서

배달해 준다면,

 

내가 금은방에 가서

달라고 하면

주인이 금이든, 다이아몬드든

그냥 준다면,

 

돈이 귀하고, 금이 귀한 걸까?

실은 귀한 건

자동차요, 곡물이다.

 

정말 귀한 것은

인간의 제도 속에,

인간의 계약으로

인간의 약속으로

만들어진 게 아니다.

 

나를 배부르게 하고,

내가 운전할 수 있고,

내가 그 것을

쓸 수 있는 것들이다.

 

없어도 돼,

평생을 보지 않고

살아도 되는 것은

설사 그 것이

아무리 구하기

어렵다 해도

정말 귀한 게 아닌 것이다.

 

그래서

옛 사람이 가르치길,

“虛其心, 實其腹 弱其志 强其骨”(허기심, 실기복 약기지 강기골”

 

“마음을 비우고

배를 채우며,

집착을 버리고

몸을 튼튼히 하라”한 것이다.

 

정말 귀한 건

너를 배부르게 하고,

정말 귀한 건

너를 건강하게 하며

정말 귀한 건

너를 자족하게 한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