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비약적인 발전 이룬 중국 토종 휴대폰의 장단점은?

 

중국 토종 브랜드 휴대폰의 시장 점유율이 가파른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올해 초 화웨이가 글로벌 최강자인 애플을 누르고 중국 스마트폰 시장의 1위로 자리잡았다.

이런 중국 브랜드의 강세의 이유는 무엇일까?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가성비였다. 중국 네티즌들도 일제히 공감하며 격려하고 나섰다.

중국 정보통신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데이터를 보면 지난해 중국 브랜드 휴대폰의 국내 시장 누적 출하량은 2억 3100만 대로 전체 휴대폰 출하량의 79.9%를 차지했다. 중국 휴대폰 시장의 약 80%를 장악한 셈이다. 

중국 브랜드는 글로벌 휴대폰 시장에서도 출하량 상위 5위 가운데 3개를 차지했다. 글로벌 마켓의 절반가량을 차지한 것이다. 이는 중국이 자체 기술로 휴대폰을 생산한 지 20여년 만에 거둔 비약적인 성과다. 

그렇다면 중국 네티즌들이 뽑은 중국산 휴대폰의 장단점은 무엇일까?

첫째 장점은 중국의 휴대폰 시장 상황에 최적화된 제품이라는 점이다. 중국내 5G 서비스가 빠르게 보급되고 국민 소비 능력이 향상되면서 중국산 휴대폰은 시장에서 비교우위를 점하게 되었고 현지에 적합한 제품을 내놓았다는 분석이다. 

둘째 장점은 뛰어난 가성비다. 중국산 휴대폰은 중국내에서 생산, 보급, 판매, 운송 프로세스 전체를 진행하기 때문에 수입 브랜드에 비해 출하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셋째 장점은 우수한 기능이다. 중국산 휴대폰은 이미 글로벌 마켓을 선도하는 수준으로 하드웨어 디바이스와 부가 기능이 뛰어나다. 아울러 홍보를 강화하고 브랜드 파워가 커지면서 그 우수함이 더욱 잘 드러났다. 

그렇다면 삼성, 애플 등 글로벌 유명 브랜드에 비해 중국산 브랜드의 단점은 무엇일까?

첫째는 혁신을 선도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IDC에 따르면 중국 브랜드들은 애플이 한 가지 제품을 발표하면 이를 모방하여 재혁신하는 방식으로 후속 모델을 만들어왔다. 휴대폰 관련 엄청난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브랜드를 추월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개발(R&D)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둘째는 브랜드 가치이다. 첨단 디바이스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기술력에만 의존할 수 없으며 브랜드 파워와 부가가치가 필수적이다. 이는 지난해 출시된 화웨이의 메이트(Mate) 60에 대한 시장 반응에서 이미 입증된 사실이다. 소비자는 제품을 사는 게 아니라 사실은 브랜드 가치를 구매하는 것이라는 분석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