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3년 중국 철강 소비 전년 대비 3.3% 감소한 8억 9000만t 예상

 

중국의 건설 산업은 부동산 시장 침체 장기화 등으로 철강 수요가 감소한 반면 신에너지차, 풍력·태양광, 장비제조 산업은 지속적인 높은 성장세로 철강제품 수요 증가를 견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경제는 긍정과 부정이 뒤섞인 혼돈의 상태다. 전반적인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으면서 중국 경기에 대한 우려도 짙어지고 있다.

22일 중국 야금공업계획연구원(冶金工业规划研究院)이 발표한 '2024년 중국 및 세계 철강 수요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중국 철강 소비량은 전년 대비 3.3% 감소한 8억 9000만t, 2024년에는 1.7% 감소한 8억 7500만t으로 예상된다. 기계, 자동차, 에너지 산업에서는 철강 수요가 증가하는 반면 건설, 철도 산업에서는 현재의 감소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는 2023년 중국 경제의 회복 기조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시장의 지속적인 침체와 제조업 투자 둔화 압력, 국제 무역 성장 둔화로 인해 전체 철강 소비가 감소했다고 밝혔다.

또 내년에는 기계, 자동차, 에너지, 조선, 가전 등의 산업군에서 철강 수요가 증가함에도 건설, 철도 등 산업군에서의 수요 감소로 전체적으로는 소폭 더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선행지표로 보면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에 투입된 자금은 전년 동기 대비 13.4% 감소했고, 신규 착공된 주택 건설 면적도 전년 대비 21.2% 감소했다.

반면 2024년 기계산업 철강 수요는 전년 대비 0.6% 증가한 약 1억 7300만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자동차산업 철강 수요도 내년에 성장세를 이어가 5840만t으로 전년 대비 3.9% 증가할 전망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중국의 철강 수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산업은 건설업이다. 전체 철강 소비에서 건설용 철강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55%에 달한다.

2023년 중국 건설업계 철강 소비량은 전년 동기 대비 4.8% 감소한 5억 600만t, 2024년에는 4억 8600만t으로 전년 대비 4% 연속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