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미국 항공노선 재개 가속화, 中네티즌 “더 늘려야 해!”

 

최근 중국과 미국 간의 항공편 재개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는 지난 15일(현지시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시진핑-바이든 정상회담에서 양국이 상호 국민 간의 교류와 소통을 위해 내년 초 직항편을 대폭 늘리기로 합의한 것에 도달하기 위해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교통편이 는다는 것은 그만큼 왕래가 많아진다는 의미다. 왕래가 많아지면 교류가 그만큼 늘고 관계 역시 더욱 긴밀해질 수밖에 없다. 갈등으로 치닫던 미중 관계였지만, 결국 변화의 전환점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물론 당장 미중 갈등이 해소될 가능성은 적다. 그러나 정치적 갈등과 국민 간 감정적 대립은 차이가 크다. 양국 정상이 만나고, 항공편을 서로 늘리고 나선다는 것은 정치적 갈등과 국민 감정적 대립을 구분하겠다는 것이고, 실질적인 행동이다.

실제 올해 초만 해도 불과 10여회에 불과했던 주간 중미 직항편은 5월 이후 계속 증가해 현재 총 70편에 육박하고 있으며 항공요금도 크게 하락했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주당 300편 이상의 항공편과 연간 500만 명의 승객이 양국을 오갔던 것과 비교하면 중국과 미국 간의 항공편 수는 여전히 증가할 여지가 많다. 

물론 여기에 양국 간 비자 발급의 문턱을 낮추는 작업도 필요하다. 일단 미국의 문턱이 여전 높다는 게 중국 측 입장이다.

중국 네티즌들의 반응도 비슷하다. 중국 네티즌은 항공편 수를 늘리는 것은 양측의 교류 및 발전에 도움이 된다며 더 늘려야 한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

미중 간에 이 같은 변화의 전곡점을 마련한 것은 한국에게도 큰 시사점이 될 수 있다. 한국의 경우 중국과의 정치적 갈등과 양국 국민간 감정 갈등을 구분해내지 못하고 있다. 

특히 한국에서 젊은이들 사이에서 반중 감정이 갈수록 커지고 있어 우려된다. 중국은 이웃한 나라다. 그냥 이웃이 아니고 거의 모든 분야에서 세계 최대 시장을 형성하는 나라다. 우리가 굴욕스럽게 고개를 숙일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무시해도 좋을 나라가 아니라는 의미다. 한중 간에도 지혜로운 대안이 나오길 기대해 본다. 

 

 

 


사회

더보기
중 허베이 한 도시 "빨강, 파랑, 검정색 광고 금지" 조치 논란...중 네티즌, "황당하다"
‘간판에서 빨강, 파랑, 검정색 금지’ 중국 허베이성 산허시의 『산허시 도시계획건설관리 가이드라인』이 중국 사회 논란이 되고 있다. 이 가이드 라인은 “국제 및 국내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제외하고는 빨강, 파랑 바탕색이나 글씨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실제 중국 매체에 따르면 이 지역 일부 상점의 간판이 빨간색에서 초록색으로 바뀌었고, 일부 간판은 아예 철거됐다고 전했다. 한 상인은 “장사가 눈에 띄게 영향을 받았다”고 하소연했다. 중국 인민일보은 이에 “멀쩡히 걸려 있던 간판이 대체 누구에게 피해를 줬다는 말인가? 억지로 색상을 바꾸라고 하는 조치는 어떤 논리로 설명할 수 있을까?”라고 반문하고 있다. 신문에 따르면 실제 이 같은 간판 색상 변경을 강요한 것은 상인의 영업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지출을 떠안도록 했다. 신문에서 한 상인은 “새 간판 제작에 거의 2,000위안(약 38만 8,820 원)이 들었는데, 이는 반달치 임대료에 해당한다”고 밝혔으며, 이 비용을 누가 책임질 것이냐는 의문도 제기됐다. 간판은 오랜 기간 사용되며 고객의 기억에 남는 상징이 되었고, 고객 유치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간판이 법규를 위반하지 않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