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3분기 글로벌 5G 스마트폰 판매량 순위 Top 6, 1위 애플

 

스마트폰은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인터넷에 접속하도록 하는 접점이다.

사람들에게 인터넷 정보를 보다 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출발점에서 이제는 사람들이 인터넷을 통해 사물과 소통하도록 하는 단계까지 발전했다. 사람과 사람간의 소통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도록 만든 것도 스마트폰이다.

그럼 사람들이 어떤 스마트폰을 쓰느냐가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문제가 된다.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선택하는 순간, 그 스마트폰의 판매자들은 고객 정보부터 다양한 앱을 고객들이 이용하도록 이끌 수 있기 때문이다. 

세상에 이런 스마트폰을 가져다 준 건 바로 애플이었다. 지금도 애플은 세계 최대 스마트폰 제조사로 남아 있다. 애플은 또한 스마트폰의 잠재력이 실현되도록 꾸준히 자신들의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물론 속도 조절은 필수인데, 각국 독과점 규제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애플이 절대로 피해야 할 일이기 때문이다. 

한국의 삼성은 애플의 가장 강력한 도전자다. 다만 아쉬운 것은 삼성은 스마트폰 생태계 구축에 애플보다 더 소극적이라는 점이다. 

한국이라는 시장에서 출발해 세계 시장을 상대하다 보니 나오는 아쉬움이 아닌가 싶다. 

반도체 시장 조사업체 테크인사이트(TechInsights)가 올해 3분기 글로벌 5G 휴대폰 판매량 순위를 최근 발표했다. Top 6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Apple

2위 Samsung

3위 Xiaomi

4위(공동) OPPO

4위(공동) vivo

6위 HONOR

 

Apple이 글로벌 5G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25%로 1위에 올랐다. 이어 Samsung(21%), Xiaomi(14%), OPPO(9%), vivo(9%), HONOR(7%)가 뒤를 이었다.

글로벌 상위 6개 브랜드 중 Apple(-3%)과 OPPO(-10%)의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하락했으며 Samsung(6%), Xiaomi(17%), vivo(17%), HONOR(11%)는 전년 동기 대비 성장했다.

Apple은 글로벌 6대 시장 중 3곳(북미, 유럽, 중국 제외 아시아)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Samsung은 2곳에서(남미, 아프리카), Xiaomi는 1곳에서(중국 등 중앙아시아) 각각 1위를 차지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제4회 창장삼각주 국제문화산업박람회' 상하이에서 16~19일 개최
'제4회 창장삼각주 국제문화산업박람회(长三角国际文化产业博览会, 이하 창장문화산업박람회)'가 16일 중국 상하이 국가전시센터에서 개막했다. 창장문화산업박람회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박람회는 '새로운 사명 수행: 창장삼각주 문화산업의 힘'을 주제로 창장삼각주 지역 문화산업의 새로운 발전 성과를 소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중국 12개 성시(省市), 32개 국가 및 지역의 1500여 개 문화 관련 기관 및 업체가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의 종합 문화산업 박람회로 기록될 전망이다. 이날 개막식에서는 상하이시, 장쑤성, 저장성, 안후이성 당위원회 선전부가 창장삼각주 문화산업의 통합적 발전 성과를 요약하고 '2023년 창장삼각주 문화산업 청서'를 공동으로 발표했다. 청서에는 엔터테인먼트, 관광, 패션, 자동차 등 다방면에 걸쳐 새로운 문화 소비의 수요 확대와 발전을 촉진한다는 계획이 포함됐다. 특히 '자동차문화 전시장'에는 자동차 문화의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는 방침 아래 자동차 스포츠, 자동차 캠핑, 자동차 개조, 자동차 소비 등 4개 테마 전시공간이 마련됐다. 창장삼각주 지역은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경제가 가장 번영하고 국제 개방도가 가장 높으며 지역 통합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