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3년 세계 인터넷 발전 국가 순위 Top 10, 1위 미국

 

본래 인터넷은 한국이 세계 1위였다. 가장 많은 이들이 가장 빠른 인터넷 통신을 이용하고 있어, 한국은 많은 글로벌 인터넷 플랫폼들의 테스트 베드 역할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제는 한국에 쏠리던 관심이 다른 곳으로 옮기고 있다. 

바로 중국이다. 중국의 인터넷 인프라가 갈수록 고도화하고 있다. 불과 10여년 전만해도 중국 인터넷은 속도가 느려 많은 한국 주재원들이 투덜거리곤 했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역전됐다. 중국은 그 넓은 영토에 빠르게 5G시스템을 깔았고 통신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있다.

8일 중국사이버스페이스연구원이 '세계 인터넷 발전 보고서 2023'을 발표했다.

의외로 미국이 1위다. 중국은 2위, 한국은 싱가포르와 네덜란드보다 떨어져 5위에 랭크됐다. 종합적인 성적이라는 게 연구원의 입장이다.

이번 보고서는 세계인터넷개발지수(World Internet Development Index) 지표 시스템을 최적화하고 정보 인프라, 디지털 기술 및 혁신 역량, 디지털 경제, 디지털 정부, 네트워크 보안, 사이버 공간 국제 거버넌스 등 6개 부문에서 전 세계 52개 국가 및 지역을 평가 분석했다. 종합평가를 거쳐 선정된 상위 10개 국가는 다음과 같다.

 

1위 미국

2위 중국

3위 싱가포르

4위 네덜란드

5위 한국

6위 핀란드

7위 스웨덴

8위 일본

9위 캐나다
10위 프랑스

 

중국 현지 매체 IT즈자(之家)는 중국사이버스페이스연구원의 올해 보고서가 저개발국의 인터넷 발전에 더 많은 관심을 두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1개 저개발국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활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라오스, 미얀마, 앙골라 등 15개 국가의 인터넷 활용 발전 속도 성장률이 선진국 평균보다 높았으며 이들 저개발국은 모두 일대일로 참여 국가였다.

중국은 인터넷 인프라 관련 산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저 개발국가들의 인터넷 구축을 지원하는 데, 미국의 분석대로라면 이들 저 개발국가의 인터넷 자원은 중국의 영향력 아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