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9월 중국 모바일 게임 퍼블리셔 글로벌 매출 Top 30, 1위 텐센트

 

중국이 세계 1위 규모를 자랑하는 시장은 한 두 개가 아니다. 다양한 소비시장에서 글로벌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대표적인 게 바로 게임시장이다. 

14억 명, 세계 최대 인구를 자랑하는 중국이지만 그보다 더 놀라운 것은 인터넷 이용자 수다. 인구로는 인도가 중국을 추월했지만 네티즌 수로는 중국을 쫓아가지 못하고 있다. 

그만큼 중국의 인터넷 이용 환경이 좋다. 전체 인구 가운데 10억 명 이상이 인터넷을 매일 이용하고 있을 정도다. 

인터넷 인구가 늘어나면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산업도 갈수록 그 규모를 키우고 있다. 특히 게임시장의 성장이 무섭다. 10억 네티즌들이 하루 1시간에 1위안씩 쓰면서 게임을 즐겨도 하루 매출이 10억 위안(약 1840억 원)이 된다. 

아쉬운 것은 이 중요한 시장에서 한국이 설자리가 없다는 것이다. 

글로벌 모바일 데이터 분석 플랫폼 센서타워(Sensor Tower)가 9월 중국 모바일 게임 퍼블리셔 글로벌 매출 Tio 30 순위를 발표했다. 그 중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텐센트

2위 넷이즈

3위 미하유

4위 리리쓰(莉莉丝)

5위 뎬뎬후동(点点互动)

6위 싼치후위(三七互娱)

7위 링시후위(灵犀互娱)

8위 Camel Games(壳木游戏)

9위 Nuverse(朝夕光年)

10위 IM30

 

1~3위는 텐센트, 넷이즈, 미하유가 이름을 올렸으며 리리쓰, 뎬뎬후동, 싼치후위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센서타워에 따르면 9월에 총 39개의 중국 퍼블리셔가 세계 모바일 게임 퍼블리셔 매출 순위 Top 100에 선정되었으며, 총 19억6000만 달러의 매출을 달성해 글로벌 Top 100 모바일 게임 퍼블리셔 매출의 39%를 차지했다.

그동안 한한령으로 빗장을 걸어잠갔던 중국은 최근 한국 게임 업체에게도 판호(版號, 중국내 게임 서비스 허가)를 발급하면서 문을 열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아쉬운 것은 중국에서 과거처럼 한국 게임 붐이 일어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