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고향 노모 돌아가시고, 어디로 가야 은혜를 갚을까?

 

径万里兮度沙漠,为君将兮奋匈奴。 

jìng wàn lǐ xī dù shā mò ,wéi jun1 jiāng xī fèn xiōng nú 。

 

路穷绝兮矢刃摧,士众灭兮名已隤。

 lù qióng jué xī shǐ rèn cuī ,shì zhòng miè xī míng yǐ tuí 。

 

老母已死,虽欲报恩将安归? 

 lǎo mǔ yǐ sǐ ,suī yù bào ēn jiāng ān guī ?

 

아, 돌아보니 만리 길,  사막을 건넜구나.

큰 칼 차고, 흉노를 쫓아온 이 길

갈수록 흉한데 활은 떨어지고,

죽어 이름도 못남긴 병사들이여.

고향 늙은 어미마저 그대들 곁으로,

아 어디로 가야 은혜를 갚을까?

 

 

이국만리 타향 전쟁터에서 받아든 어머니의 사망 소식, 어찌 이런 비통함이 있으랴. 바로 한나라 장수 이릉(李陵 BC134 ~ BC74)이 남긴 시 별가(别歌)다.

이릉은 한 무제의 명을 받고 흉노 토벌에 나섰다가 적의 작전에 휘말려 악전고투 끝에 포로가 되고 만다. 아쉽게도 이 패배가 이릉에게는 진정한 불행의 시작이었다. 누군가 한 무제에게 이릉이 변절해 흉노군을 훈련시키고 있다고 모함을 해 분노한 한 무제가 이릉의 가족 모두를 몰살시켰다.

이 때 이릉은 한나라에 대한 충성을 굽히지 않고 흉노의 포로로 하루하루 노비처럼 살고 있을 때였다. 고향 가족의 몰살 소식을 들은 이릉은 결국 사막에 눈물을 뿌리며 운다. 그리고 남긴 시가 바로 별가다.

구절구절 평생을 명예를 위해 산 장수의 비애가 그대로 드러난다. 자신을 믿고 따르던 병사들도 모두 죽고, 심지어 고향의 모든 가족이 자기 때문에 죽었다. 그래도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게 효도를 다하고자 지금까지 살아왔는데, 도대체 장수는 어디로 가야 할 것인가?

 

"老母已死,虽欲报恩将安归"

성조도 잘 꾸몄다. 모두 3성으로 돼 자연스럽게 한글자 한글자씩 읽게 된다. SUI는 1성으로 길게 빼고, 다시 4성 2개가 스타카토 같은 발음이 나오도록 했다.  다시 연이어 1성이 나오면서 자연스럽게 고성으로 이어지는 긴 한숨 소리를 낸다. '아~' 저절로 나온 탄성이다. 어머니, 어머니. 어디 가서 뵐까요? 전 어디로 돌아가야 하나요?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