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일론 머스크 "대만은 중국의 일부" 발언에 中네티즌 "대륙의 돈을 벌기 위해 하는 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대만은 중국의 일부분이다"라는 발언이 최근 중국 온라인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본래 '기인'으로 불리는 머스크다. 하지만 행태를 보면 정말 돈만 아는 저속한 장사치다 싶다. 필요할 때마다 중국 소비자 마음을 사기 위해 그냥 나오는 대로 말을 내뱉는다 싶다. 

물론 머스크의 저속함은 서구 사회에서도 유명하다. 그래서 그가 트위터를 샀을 때 트위터 이용자들이 트위터를 버리겠다고 했다.

중국 소비자들 역시 머스크의 속셈을 모르는 것 같지는 않다. 

하지만 희한한 것도 중국 소비자들이다. 아니 어찌 보면 중국 소비자야말로 가장 자본주의 시장에 걸맞는 소비자다 싶다.

감성적이고 저속하기로는 머스크와 크게 달라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머스크는 마음과 입이 따로 놀고, 중국 소비자들은 입과 행동이 전혀 다르다. 입으로는 밉다고 하고 행동은 사랑한다고 한다.

중국에서 애플이 잘 팔리는 이유이고, 머스크의 테슬라가 잘 팔리는 이유다. 

14일 중국 현지 매체 환구망에 따르면 머스크는 최근 “올인 팟캐스트(All-in Podcast)”에 출연해 "대만이 경제적, 정치적 독립을 주장하지만 대만은 여전히 중국의 일부"라고 말했다. 해당 발언은 대만 외교부의 직접적인 비난을 불러일으켰다.

중국 네티즌들 역시 마뜩치 않다는 반응이다. "머스크의 발언은 중국 대륙의 돈을 벌기 위해 하는 말인 것 같다", "천재 상인"이라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물론 "머스크에게 좋아요를 날리자"는 주장도 있다.

한편 최근 중국 당국은 정부 부처와 관련 기관에서 애플 아이폰의 사용을 금지시켰다. 애플 금지령은 한국에 대한 한한령처럼 강력한 위력을 발휘할까? 일단 미국의 주식시장은 그럴 것이라는데 한 표를 던져 애플 주가가 급락했다. 하지만 적지 않은 전문가들이 정작 결과는 두고 볼 일이라는 유보적인 입장이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