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대만가수 저우제룬의 中톈진 콘서트 경제효과 30억 위안

 

최근 중국 톈진에서 열린 대만 출신 가수 겸 배우 저우제룬(周杰倫, Jay Chou) 콘서트의 경제효과가 30억 위안(약 5450억 원 )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소비의 경제효과다. IT 산업화의 특징이기도 하다. 과학의 시대, IT 시대를 맞으면서 하부구조인 제조업이 갈수록 자동화하면서 인류는 상부 구조의 문화 소비에 더욱 힘쓰는 시대를 맞고 있다. 

12일 중국 현지 매체 펑파이신문은 톈진시 문화관광국 위챗 계정을 인용해 지난 7~10일 톈진 올림픽 센터에서 개최된 저우제룬 콘서트의 총 관람객은 18만5000명, 누적 종합 소비 추정액은 30억 위안이라고 보도했다.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톈진시 문화관광국은 "4일 연속 매일 수만 명의 팬들이 음악 축제를 즐기면서 톈진시의 문화 및 관광의 통합 발전과 소비의 확대가 촉진됐다"고 밝혔다.

씨트립 플랫폼 데이터에 따르면 9월 6일부터 11일까지 톈진시의 전체 관광객 수는 전주 대비 11.7 %, 2019년 같은 기간에 비해 77.4 % 증가했다.

또 호텔 예약은 전주 대비 91%, 2019년 동기 대비 318.8% 증가했으며 항공권 예약은 전주 대비 439.4%, 2019년 동기 대비 2431.8% 증가했다.

사실 이 같은 문화소비 시대의 상징이 중국에만 있는 게 아니다. BTS는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소비의 아이콘으로 자릴 잡았다. 

문화소비 시대의 특징은 팬덤 소비다. 소비의 이유가 '좋다'는 것만으로 충분하다는 것이다. 활용의 측명이 아니라, 보유의 측면이다. 쓰기 위한 게 아니라 숭배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이다. 

한편 저우의 ‘2023 카니발 월드 투어 콘서트’ 티켓은 예매 오픈 1분도 안 돼 13만 장이 모두 매진된 것으로 알려졌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