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상반기 중국 폴더블폰 시장 점유율, 1위 화웨이(HUAWEI)

 

애플이 탄생시킨 스마트폰 문화는 사실 정체 단계다. 한 대에 100만 원 이상을 호가하는 제품을 글로벌 사회 청소년부터 노인까지 거의 모두가 하나씩 보유하게 됐기 때문이다. 

누구나 스마트폰을 24시간 사용하지만 기술 발달로 거의 고장없이 4~5년을 쓴다. 얼리 어댑터들의 경우 대략 2년 단위로, 빠르게는 1년 단위로 스마트폰을 바꾸기는 하지만 일반인의 경우 4년가량을 쓴 뒤 스마트폰을 교체한다. 

한국은 보조금이라는 독특한 제도가 있어 일시불의 부담을 줄이는 방법으로 소비자들의 스마트폰 교체 시기를 앞당기고 있지만 그래도 일반적으로는 4~5년을 쓴 뒤 스마트폰을 교체한다. 

특히 기술 발달로 업체마다 업그레이드 되는 부분이 그리 크지 않은 탓도 있다. 말 그대로 스마트폰 제조사들 간의 기술 격차가 극미해졌기 때문이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그나마 성장세를 이어가는 분야가 폴더블폰 분야다.

폴더블폰은 올해 상반기 침체된 중국 휴대전화 시장에서 유일하게 성장세를 유지한 부문으로 꼽힌다. 시장조사기관 CINNO Research와 IDC가 각각 중국내 폴더블폰 판매 순위를 21일 발표했다. 

CINNO Research가 발표한 올해 상반기 중국내 폴더블폰 시장 점유율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HUAWEI (30.6%)

2위 OPPO (21.8%)

3위 Samsung (19.8%)

4위 vivo (12.6%)

5위 Honor (8.5%)

6위 Xiaomi (3.9%)

7위 MOTO (2.9%)

CNNO Research 보고서에 따르면 화웨이는 3월에 출시한 폴더블 신제품 Mate X3의 인기에 힘입어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IDC가 발표한 2분기 중국내 폴더블폰 시장 점유율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HUAWEI (43%)

2위 Samsung (19.7%)

3위 Honor (15.9%)

4위 OPPO (8.9%)

5위 vivo (7.2%)

 

IDC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폴더블폰 제조업체의 시장 점유율 순위 상위 5개는 Huawei, Samsung, Honor, OPPO, vivo이다. 화웨이는 중국내 폴더블폰 시장에서 점유율 43.0%로 1위 자리를 지켰으며 2위 삼성은 시장 점유율 19.7%를 기록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