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7월 글로벌 웹사이트 방문자 순위, 1위 구글

 

AI(인공지능)은 미래의 성공을 위한 필수 자원이다. 성공을 위해서 꼭 필요하다는 의미다. 그런 AI의 기본은 인터넷 빅데이터다.

기계학습을 통해 오류를 수정해 스스로를 완성해 가는 AI가 기계학습을 잘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빅데이터다. 빅데이터는 이용자의 수가 그 질을 결정한다.

글로벌 사회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플랫폼을 가진 나라, 바로 가장 좋은 AI 기술을 확보할 조건을 갖춘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 세계인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플랫폼은 무엇일까?

당연히 구글이다. 유튜브가 바로 뒤를 이었고, 메타로 이름을 바꾼 페이스북이 3위를 기록했다.

지난 7월 기준 글로벌 웹사이트 사용자 방문량 순위가 발표됐다.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중국의 바이두가 6위를 기록한 게 눈에 띈다.

 

1위, 구글

2위, 유튜브

3위, 메타(페이스북)

4위, 인스타그램

5위, 트위터

6위, 바이두

7위, 위키피디아

8위, 야후

9위, 얀덱스

10위, 왓츠앱

 

7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이용자가 방문하는 웹사이트는 구글로 총 방문자 수가 853억 명으로 집계됐다. 

2위는 유튜브로 방문자 수는 구글의 절반에 못 미치는 341억 명이었다.

이어 메타(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바이두, 위키피디아, 야후, 얀덱스, 왓츠앱이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중국 기업으로는 바이두(6위)가 유일하게 10위 이내에 포함됐다.

이는 중국 AI 경쟁력, 인터넷 경쟁력을 보여주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중국의 인터넷 인구가 그만큼 많다는 의미이고, 이들이 매일 일정량의 빅데이터를 생산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사실 인구가 많다고 이 같은 경쟁력이 저절로 생기는 건 아니다. 

가장 좋은 사례가 인도다. 인도는 중국에 맞먹는 인구를 가지고 있지만, 대부분이 중산층인 중국과 달리 인도는 대부분이 빈민이다. 

카스트라는 강력한 신분제도가 있어 빈부격차는 물론, 기타 사회적 차별도 당연시 하고 있다. 

한편, 7월 가장 빠른 성장률을 보인 웹사이트는 호텔 예약 사이트인 부킹닷컴(booking.com)으로 50위에 올라 전달보다 6계단 상승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