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삶은 본래 그리 울면서 사는 것이다. 자신의 길을 그리 울면서 가는 것이다.

“前不见古人 

qián bú jiàn gǔ rén

后不见来者 

hòu bú jiàn lái zhě

念天地之悠悠 

niàn tiān dì zhī yōu yōu

独怆然而涕下 

dú chuàng rán ér tì xià”​ 

 

내 앞에도 옛사람 보이지 않고

내 뒤에도 오는 사람이 없구나!

막막한 천지 

나 홀로 둘러보고

돌연히 떨어지는

한 줄기 눈물.

 

 

당나라 초기 시인 진자앙(陈子昂, 659~700)의 '등유주대가(登幽州台歌)'이다. 

진자앙의 자는 백옥(伯玉)이며 광택(光宅) 원년(684년)에 과거에 급제했다.

광택은 측천무후가 실권을 행사하기 시작했던 시기의 연호여서 '무후연호'라고도 한다.

진자앙은 이때 진사가 돼 측천무후의 아낌을 받았으나 무후의 교만 방탕함에 실망해 그를 시에서 수없이 풍자한다. 

이 시는 진자앙이 무유의(武攸宜)의 작전 참모로 있던 시절 썼다고 한다. 

토벌 작전에 선봉장이 되길 간청했으나 거절당하자 비분강개해 썼다는 설이 있다.

진자앙의 성격이 그랬던 것 같다. 옳다고 판단한 일은 앞에 끌어주는 이 없어도 매진을 하고, 뒤따르는 이 없어도 포기하지 않았으리라.

등유주대가(登幽州台歌)에서도 그의 성품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짧게, 이렇게 단순히 세상의 고독을, 세상의 무게를 이야기할 수 있다니…. 

홀로 가는 구도자의 모습을 이리도 처연하게 그릴 수 있다니….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