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수출 중소기업이 뽑은 주력시장 순위 Top 5, 미국 1위, 중국 3위

 

'미국-일본-중국'

수출 중소기업들이 올해 주력시장으로 꼽은 지역 1위는 미국으로 나타났다. 이어 일본이었고, 중국은 3위에 그쳤다.

3위도 그냥 3위가 아니라, '부정'이 38% 이상으로 '긍정' 35%를 훌쩍 넘겼다.

한국의 외교 현실이 그대로 반영된 결과여서 주목된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주요 해외시장에서의 중소기업 수출실태, 수출실적 감소 원인, 경쟁력 수준, 수출 전망 등을 파악하기 위해 수출 중소기업 306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 1분기 중소기업 수출 실태 및 전망 조사 보고서'가 18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306개 업체 중 미국을 1순위 주력 시장으로 꼽은 중소기업이 28.8%로 가장 많았고, 일본(19.6%), 중국(18.0%), 베트남(12.4%), 러시아(7.8%)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올해 1분기 수출실적을 조사한 결과, 작년 동기보다 감소했다는 주력시장은 40.1%였고, 증가했다는 곳은 31.7%였다.

수출실적 감소 원인으로는 수출국의 경기침체가 60.5%로 가장 높았고, 뒤이어 환율 변동(16.5%), 수입대체에 따른 수요 감소(15.3%), 원자재 수급난·가격상승에 따른 생산 차질(11.7%) 순이었다.

3대 수출국 중 미국과 일본으로의 수출 전망에 대한 긍정적 응답은 각각 43.4%, 44.6%로, 부정적 응답 30.9%, 29.5%를 크게 상회했다.

반면 중국 수출 전망은 부정적(38.4%) 응답이 긍정적(35.4%) 응답보다 소폭 높았다.

또 중소기업들은 주력시장 중 93.4%에서 올해 수출 확대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수출 확대 의향이 있는 경우 필요한 수출전략으로 신규 바이어 발굴(55.0%), 품질경쟁력 제고(20.8%), 가격경쟁력 제고(15.7%) 등을 꼽았다.

외국의 경쟁사 대비 품질경쟁력이 우수하다고 생각하는 시장은 84.8%, 가격경쟁력이 우수하다고 보는 시장은 52.3%로 조사됐다.

이번 보고서의 조사 대상 중소기업들은 주로 5개 미만(41.8%) 국가에 수출하고 있었고, 종사자 수 10명 미만, 업력 5년 미만 등 영세·초보 수출기업일수록 상대적으로 수출국이 다변화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