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나 아직 태어나기 전 그 때로 돌아갈래!

 

我昔未生时,冥冥无所知。 wǒ xī wèi shēng shí ,míng míng wú suǒ zhī 。

天公强生我,生我复何为? tiān gōng qiáng shēng wǒ ,shēng wǒ fù hé wéi ?

无衣使我寒,无食使我饥。 wú yī shǐ wǒ hán ,wú shí shǐ wǒ jī 。

还你天公我,还我未生时。 hái nǐ tiān gōng wǒ ,hái wǒ wèi shēng shí 。

 

나 아직 태어나기 전 그 때, 깜깜한 어둠 속에서 아무 것도 몰랐네

하늘이 나를 태어나게 했지, 하늘은 도대체 왜 나를 낳았을까?

옷이 없어 추위에 떨고, 음식도 없어 배만 주리는데

하늘이시여! 나를 돌려줄테니 태어나기 전 그 때로 돌아가게 해주길.

 

수나라 말기에서 당나라 초기에 활동한 왕범지(王梵志, 590~660 추정)의 시다.

짧고 간결한 문장이다. 간단히 사는 게 힘든데, 도대체 삶이 무엇인지 묻는다. 고고함을 추구하는 시인들과는 좀 어울리지 않는다.

요즘 말하는 구어체로 쓰인 시다. 그래서 의미를 한 번 더 생각하는 맛은 없다. 그러나 순수하게 삶의 어려움과 삶의 목적에 대한 고민을 써내려간 게 느껴진다.

가다듬은 감성에서 나오는 절제된 울림은 한시의 기본 특징이다. 그래서 한시에는 젊은 시인의 시보다 늙은 시인의 시가 더 감성적인 경우가 많다. 표음문자가 아닌 표의문자로 쓰여지는 한시의 특징이다 싶다.

중국 시인들은 나이가 들수록 더 감성적이 되기 일쑤다. 오죽했으면 맹호연의 시를 여성이 쓴 시라 오해를 했을까?

왕범지의 생애에 대해서 알려진 것은 많지 않다. 그가 남긴 시 몇 수가 그의 생을 대변할 뿐이다. 백성의 곁에서 쉬운 노랫말로 인생의 희노애락을 대변했다고 전해진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