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60세 이상 인구 3억 명, 중국 실버산업 들여다보기



 

중국 국가통계국은 최근 자국 인구가 지난해 말 기준 14억1175만 명으로, 2021년 말의 14억1260만 명보다 85만 명 줄었다고 발표했다.

중국 인구가 감소한 것은 마오쩌둥이 펼친 대약진 운동으로 대기근이 강타했던 1961년 이후 처음이다. 신생아 수는 2016년 1883만 명에서 지난해 956만 명으로 50%가량 감소했는데, 신생아가 1000만 명 아래로 떨어진 것 또한 1949년 신중국 건국 후 처음이다.

 

반면 인구 고령화는 빨라져 지난해 65세 이상 인구는 2억978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4.9%를 차지했다.

중국의 퇴직 연령인 60세 초과 인구는 2억8004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9.8%를 차지했다. 제1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2021∼2025) 기간에 60세를 초과하는 인구는 매년 1000만 명씩 늘어나는 등 중국 인구의 노령화는 가속할 전망이다.

또한 지난해 기준 전체 노인층 가운데 자녀와 따로 사는 노인 인구는 1억3000만 명이며 그 중 혼자 사는 노인은 약 2700만 명이었다.

월 소득이 1만 위안(약 182만 원)이 넘는 노인 인구는 2017년 1600만 명에서 지난해 2200만 명으로 증가했다.

 

중국의 실버산업은 60세 이상 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양로서비스, 양로용품, 양로금융 등으로 대분되며 2021년 기준 시장 규모는 약 8조8000억 위안이었다. 연평균 15.7%의 복합 성장률로 2027년에는 그 규모가 21조1000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노인 1인당 평균 소비 지출 구조를 살펴보면 일상소비 61%, 의료건강 22%, 여가활동 13%, 금융투자 4%로 나타났으며 그 중 의료건강 및 여가활동은 2014년 대비 각각 8% 및 10% 증가했다.

 

2021년 '중국 도시 양로서비스 수요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노인 인구의 52.9%가 재택 양로를 하고 있으며 26.5%는 지역사회 양로, 20.6%는 양로기관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노인들은 기능이 복잡한 제품을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간단하고 편리한 스마트 양로 설비 및 기기에 대한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은 스마트 양로 설비 및 기기 시장 성장률이 연평균 20~25%에 달해 2026년 스마트 양로 제품 시장 규모는 1760억 위안을 돌파할 것으로 예측했다.

현재 중국에서 유행하는 스마트 양로 제품들은 노인용 스마트워치, 휠체어, CCTV, 로봇 등이며 위치 확인, 건강 모니터링, 원터치 작동, 음성 통화, 운동 감지 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노인용 스마트 CCTV의 경우 스마트폰과 연동돼 노인이 갑자기 넘어지거나 평소 패턴과 달리 일정 시간 내에 일어나지 않으면 자동으로 가족 또는 관계자에게 비상호출 경보를 전송하도록 시스템화되어 있다.

또한 노인용 서비스 로봇은 얼굴 인식이 가능하고 다중 모드 지원이 가능한 분산 운영 시스템(DROS)을 갖춰 24시간 노인의 생활 동반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인터넷 이용 실버세대 늘면서 전자상거래 시장의 '황금 소비층'으로 떠올라

 

여행은 중국 노인층의 여가활동 지출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중국노령산업협회에 따르면 전체 노인 인구 중 여행 의사가 있는 노년층은 80%가 넘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 65세 인구 중 64%는 매년 국내외 여행을 2회 이상 떠나 실버 관광 시장 규모가 1조3500억 위안에 달했다. 여행 기간 구매 동향은 지역 특산품을 소비하는 경우가 54%로 가장 높았으며 수공예품이 30%로 뒤를 이었다. 선호하는 숙박 시설은 58%가 고급 호텔을 꼽았다.

 

중국 노년층의 인터넷 사용이 증가하면서 중국 실버세대는 전자상거래 시장에서도 '황금 소비층'으로 떠올랐다.

중국인터넷정보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인터넷을 이용하는 중국의 60대 이상 노인층은 1억3330만 명에 달한다. 이는 2020년 3월 기준 인터넷 사용 60대 이상 노인층 6060만 명에 비해 2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중국은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을 기점으로 오프라인 시장 대신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물품을 구매하는 노인층 소비자들이 급증했다.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 징둥(京東·JD닷컴)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이전까지는 젊은층이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의 주요 소비층이었으나 2020년 코로나19 국면에서 대도시에 거주하는 중산층 이상 노인들이 온라인 쇼핑 시장의 황금 소비층으로 부상했다. 노인층의 전자상거래 플랫폼 구매액이 전년 대비 다섯 배나 증가했다.

인터넷 사용 노인 인구 증가는 새로운 소비구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여 실버산업 제품 및 서비스 분야에서 중국 기업은 물론 한국 등 외국 업체들의 진출 기회가 확대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