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2년 중국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Top 10, 1위 알리바바

 

클라우딩 컴퓨팅은 4차 산업, IT체계의 완성에 필수적이다. 클라우딩 컴퓨팅을 통해 통신 사물들에게 작동 명령을 내리고 상황에 맞춰 통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한국 네이버 지능형 사옥이다. 네이버 사옥에 수많은 로봇들은 이른바 깡통이다. 로봇 내부의 자체 통제 프로그램을 돌리는 게 아니라 통신으로 접속된 클라우딩 컴퓨팅을 통해 통제받는다. 값싼 로봇을 대량으로 움직일 수 있어 가성비가 좋다. 

개별 로봇의 크기 한계에 따른 컴퓨터 성능의 한계도 클라우딩 컴퓨팅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슈퍼컴퓨터를 동원해 클라우딩 컴퓨팅을 하면 작은 깡통 로봇 모두가 슈퍼컴퓨터의 명령에 따라 기능하게 된다. 슈퍼컴 로봇들이 되는 것이다.

현재 클라우딩 컴퓨팅은 데이터베이스로 활용이 높다.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는 지난 10년 동안 데이터베이스 분야에서 가장 큰 발전을 이뤄냈다. 이러한 추세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대중화와 함께 계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인 가트너(Gartner)에 따르면 현재 세계 데이터베이스 시장 수익은 전체 소프트웨어 시장의 18.4%에 달하며,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는 그 중 68%를 차지했다.

최근 발표된 2022년 중국내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알리바바

2위 화웨이

3위 텐센트

4위 E Cloud(天翼云)

5위 PingCAP

6위 킹소프트(金山云)

7위 앤트그룹(蚂蚁集团)

8위 따멍슈쥐쿠(达梦数据库)

9위 난따통용(南大通用)

10위 야신커지(亚信科技)

 

상위 1~3위는 알리바바, 화웨이, 텐센트가 이름을 올렸다.

업체별로 운영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살펴보면 알리바바는 PolarDB와 AnalyticDB를 운영하고 있으며 화웨이는 GaussDB와 CloudTable를, 텐센트는 TDSQL와 TGDB를 각각 운영하고 있다.

또 E Cloud는 TeleDB, PingCAP은 TiDB, 킹소프트는 DragonBase와 KingDB, 앤트그룹은 Ceres DB, 따멍슈쥐쿠는 따멍치윈(达梦启云), 난따통용은 GCDW, 야신커지는 AntDB를 각각 운영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 상하이시 출산장려를 위해 사측 납입 사회보험액의 6개월치 50%를 회사에 되돌려 주기로
중국 상하이시가 여 직원이 출산휴가를 쓰는 경우, 회사에게 납입했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6개월분의 50%를 지원키로 했다. 여성들이 보다 자유롭게 출산 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조치다. 이번 제도 실시로 출산 등을 우려해 여성 고용을 주저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1징지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기간 중 고용주의 사회보험 지원금 지급에 관한 통지"(이하 통지)를 공표했다. 이번 통지는 시 인적자원사회보장국을 비롯한 5개 부서가 공동으로 서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새로운 정책은 정부, 사회, 기업이 참여하는 출산 비용 분담 체계를 구축하고 "아동 친화적" 정책의 가치 지향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을 목표”라며 “’아동 친화적 일자리‘와 ’출산휴가 사회보장금‘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여성의 취업 장벽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통지는 2025년 1월 1일부터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을 시행하고 고용보험 등 사회 보험료를 납부한 경우 바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지원 기준은 출산휴가 및 육아휴가 기간 동안 여성 근로자의 기초연금보험, 기초의료보험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