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월 중국 주요 도시 대기 질 순위 Top 10, 1위 라싸

 

중국 최대 정치 이벤트인 3월 '양회(兩會,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인민정치협상회의)'가 도래했다.

특히 올해 양회는 시진핑 정권 제3기 내각의 진용을 볼 수 있어 세계인의 관심이 쏠리는 상황이다. 하지만 중국 시민들에게는 그저 볼거리일뿐이다. 

베이징 시민들에게 양회로 인한 유일한 혜택은 '맑은 공기'라는 소리마저 나온다.

양회 때면 중국 당국이 맑은 하늘을 만들기 위해 베이징 주변의 제조업 생산을 제한하기 때문이다. 올해도 예외가 없다.

중국 정부가 내달 4일부터 일주일간 열릴 양회를 앞두고 베이징에서 150㎞ 떨어진 탕산시의 각 기업에 생산 제한을 지시했다.

27일 블룸버그통신은 철강산업 중심지인 탕산시의 각 기업들이 26일부터 2단계 비상 대응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에 돌입했다고 보도했다.

탕산시의 이런 조치는 지난 26일부터 개막한 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2중전회) 직전에 나왔다. 세계의 이목이 쏠리는 양회가 베이징의 맑은 날씨 속에 치러지도록 함으로써, 중국 당국이 기후변화에 제대로 대응하고 있다는 걸 보여주려 한다는 분석이다.

대기오염에 따른 스모그 현상이 잦아 중국 당국은 매년 양회 기간 전후에 베이징과 주변 도시의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화물차 등의 베이징 진입을 막는 등 봉쇄조치를 해왔다.

최근 중국 생태환경부(生态环境部)가 지난 1월 기준 전국 168개 주요 도시의 대기 질 순위를 발표했다.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라싸(拉萨)

2위 푸저우(福州)

3위 하이커우(海口)

4위 후이저우(惠州)

5위 선전(深圳)

6위 주하이(珠海)

7위 샤먼(厦门)

8위 둥관(东莞)

9위 리수이(丽水)

10위 장자커우(张家口)

 

1위는 시짱(티베트)자치구의 수도 라싸가 차지했다. 전년 대비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베이징, 톈진과 허베이성의 도시들이 대기 질 하위 순위에서 빠졌다는 것이다. 허베이성 장자커우는 전국 대기질 10위, 베이징이 20위에 올랐다.

반면 대기 질이 가장 나쁜 순위 1~8위는 시엔양(咸阳), 시안(西安), 웨이난(渭南), 루워허(漯河), 윈청(运城), 저우커우(周口), 허쩌(菏泽), 우루무치(乌鲁木齐)였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020년 9월 유엔총회 연설에서 2030년에 탄소 배출 정점을 찍고 2060년에 탄소 중립을 실현하겠다는 이른바 '쌍탄'(雙炭) 목표를 제시했고, 이를 계기로 중국이 화력 발전과 석탄 연료 사용을 줄였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경기 침체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에 따라 에너지 가격이 폭등한 걸 계기로 중국의 석탄 사용이 크게 늘어 대기오염이 심해지고 있다.

 


사회

더보기
고장난 주차타워...도심 주차난의 주범으로 등장 눈길
‘고장난 주차타워, 이걸 어째?’ 중국에서 한 때 인기를 끌었던 주차타워가 최근 도심 주차난 해소는커녕 오히려 주차난을 가중시키고 있어 논란이다. 타워가 오래되면서 기계 고장으로 멈춰섰거나, 자동차 크기가 변하면서 주차장이 작동을 해도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각 도시에서 기계식 입체 주차타워는 공간을 절약하고 도시 내 주차공간을 보완하는 데 일정 역할을 했지만, 일부 장비는 실제 사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도, 철거되지도 못해 차량을 세울 수 없는 ‘좀비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기계식 주차타워는 본래 한정된 토지 위에서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등장했다. 그러나 보도에서 지적했듯이, 현실에서는 다수의 기계식 주차타워가 ‘좀비 주차장’이 되었고, 많은 운전자들이 통로에라도 주차하려 하지, 기계식 주차타워에 주차하려 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분명 자원의 큰 낭비다. 기계식 주차공간은 대개 내연기관 차량을 기준으로 설계됐지만, 현재의 신에너지차량들은 대체로 크고 무거워 차량 소유자들이 ‘주차공간’만 바라보며 한숨짓는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많은 내연기관 차량 소유자들 또한 기계식 주차공간을 피할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