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2년 중국 철강 생산량 10억1300만t, 전년 대비 2.1% 감소

 

'10억1300만t'

지난 2022년 중국에서 제조된 철 생산량이다. 세계 조강 생산량은 18억3000t이 조금 넘는다. 중국의 조강 생산량은 세계 생산량의 절반을 훌쩍 넘는 수치다.

철강의 발전은 3차 산업의 근본인 제조업의 발전에 기반이 된다. 철이 없이는 건설도 없고, 자동차도 없다. 간단히 말해 3차 산업은 철 없이 이뤄지는 게 없다.

4차 산업 시대에 들면서 철을 대신해 새로운 탄소합성물들이 등장하고 있지만, 철은 여전히 가장 중요한 산업 자원의 지위를 내놓지 않고 있다.

중국철강공업협회가 13일 제6차 총회 제5차 회의를 열고 '2022년 중국 철강 산업 경영 현황 보고서'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조강 생산량은 18억3150만t으로 전년 대비 4.3% 감소했다. 중국 조강 생산량도 전년 대비 2.1% 감소한 10억1300만t을 기록했다. 반면 전 세계 조강 생산량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55.3%로 전년 대비 1.2% 증가했다.

중국 조강 생산량 감소는 부동산 산업의 침체로 인한 대규모 건설 공사의 축소, 기계 및 자동차 산업의 낮은 성장률 등이 원인으로 꼽혔다.

가격 측면을 살펴보면, 2022년 CSPI 중국 철강 가격 종합지수의 연평균 값은 122.78포인트로 전년 대비 13.55% 하락했다.

산업 집중도 측면에선 철강 생산량 상위 10개 기업의 총 생산량이 4억3400만t으로 중국 전체 철강 생산량의 42.8%를 차지해 전년 대비 1.36% 증가했다.

중국의 조강 생산량은 세계 제조업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위치를 보여준다. 글로벌 경제 축은 이제 미국과 서구에서 확실히 중국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로 이동하고 있다.

문제는 경제의 주도권인데, 미국과 유럽은 3차 산업 혁명을 주도하면서 가지고 있는 기득권을 놓지 않으려 하고, 중국이 이에 맞대응하면서 양측의 갈등은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

무엇보다 중국은 미국으로 대변되는 선진국 그룹이 과거 WTO 체제 속에서 자신들이 정했던 규칙까지 어기며 중국을 압박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안 그래도 후발 주자인 중국이 선진국들을 이기기 힘든 데 미국 등 서구 세력은 기존의 규칙까지 바꿔가며 게임을 자신들만 유리하게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