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2%'
현재 기술 수준이 가장 높은 '10nm(나노미터, 1nm=10억분의 1m) 이하' 반도체 부문 대만 TSMC의 글로벌 생산 점유율이다. 반면 한국 삼성전자는 8%에 그쳤다.
말도 안될 정도의 우위를 대만이 확보하고 있는 모습이다. 삼성의 아우라에 취해 한국이 손을 놓고 있는 동안 벌어진 일이다.
반도체 생산 점유율은 한국이 처한 상황을 가장 강렬하게 웅변하고 있다. 왜 한국 정부가 지금이라도 정신을 차려야 하는지 보여준다.
이번 자료는 미국 반도체산업협회(Semiconductor Industry Association, SIA)가 내놨다. 협회는 로직 칩(CPU, DSP 등)을 45nm이상, 28~45nm, 10~22nm, 10nm 이하로 나누어 국가별 생산 점유율을 산출했다.
그럼 기술력이 떨어지는 반도체 생산 부문에서는 어떨까? 그 분야의 상황은 더욱 복잡하다. 여전히 1위는 대만이다. 한국은 10%로 조금 낫지만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오히려 이 분야에서는 다른 나라들의 참여가 많아 경쟁이 더욱 심했다.
반도체 업계가 18년 전에 선보인 저가의 ‘45nm 이상 반도체’ 부문에선 대만이 점유율 33%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중국 23%, 일본 13%, 한국 10%, 미국 9%, 유럽 6% 순이었다.
'28~45nm' 부문 점유율은 대만 47%, 중국 19%로 1~2위를 차지했다. 이어 미국 6%, 한국 6%, 일본 5%, 유럽 4%, 기타 국가는 13%였다.
'10~22nm' 부문 점유율은 미국이 43%로 1위, 대만이 28%로 2위에 올랐다. 이어 유럽 12%, 한국 5%, 중국 3%, 기타 국가 9%로 나타났다.
기술 수준이 가장 높은 '10nm 이하' 부문은 대만의 생산 능력이 92%, 한국이 8%를 차지했다. 현재 대만 TSMC와 삼성전자는 5nm 트랜지스터를 가진 프로세서를 생산할 수 있지만, 미국 인텔은 10나노미터 또는 7나노미터 기술이 한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