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인 관광객 감소로 서울 가산동 W몰 폐점, 中네티즌 “한국에 왜 가?”

 

'한국에 갈 이유가 갈수록 사라지고 있다.'

최근 서울 금천구 가산동에 위치한 지상 10층, 지하 4층 규모의 도심형 아울렛 W몰이 문을 닫는다는 소식에 대한 중국 네티즌의 반응이다.

지난해 연말 중국 당국이 '위드 코로나' 정책으로 전환하면서 코로나19 환자가 급증했고, 이에 한국과 일본이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방역 조치를 강화하자 중국 당국이 반발해 단기비자 발급을 중단하는 등 갈등이 고조된 가운데 나온 반응이다.

폐점이 예정된 아울렛은 지난 1996년 서울 서남부를 대표하는 패션 아울렛으로 문을 연 W몰이다. 그 동안 누적된 수익성 악화로 부동산 개발업체에 매각이 완료돼 오는 9월 영업을 종료할 예정이다.

중국 현지 매체는 W몰이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주요 소비자인 중국인 관광객이 감소하자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폐점 수순을 밟게 됐다고 전했다.

실제로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중국 단체 관광객과 따이궁(보따리상)들은 W몰의 주요 고객이었다.

사실 한국의 소비산업은 중국인 고객들에 의존하는 바가 적지 않았다. 물론 중국인들의 폭식성 소비는 특정 소비재 가격 상승 등의 왜곡을 불러오기도 했다. 특히 수치는 크지만 지나치게 가변적인 면이 있어 관리 자체가 어렵다는 문제도 낳았다. 예컨대 면세점 사업자들의 수익은 중국 관광객의 숫자에 호황과 불황이 갈릴 정도다.

중국인들 성향이 국가간 외교문제에 지나치게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도 문제다. W몰 폐점 소식에 대해서도 역시나 중국 네티즌은 감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중국 네티즌은 "한국에 갈 바에 위하이에 가는 게 낫다"며 "한국이 아닌 동남아시아에서 돈을 쓰겠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 여행 가는 사람들한테 묻고 싶어요. 한국이 뭐가 재미있는 거예요?

 

문제는 이런 산업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다는 거예요. 그래서 이 정도 손실은 버텨낼 수 있는 거죠.

 

한국에서 소비하지 않을 거예요.

 

한국에 갈 바에 위하이에 가는 게 나아요. 비슷해요.

 

전 세계가 중국인을 필요로 합니다.

 

앞으로 해외로 놀러갈 때는 태국만 갈 거예요.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