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인 관광객 감소로 서울 가산동 W몰 폐점, 中네티즌 “한국에 왜 가?”

 

'한국에 갈 이유가 갈수록 사라지고 있다.'

최근 서울 금천구 가산동에 위치한 지상 10층, 지하 4층 규모의 도심형 아울렛 W몰이 문을 닫는다는 소식에 대한 중국 네티즌의 반응이다.

지난해 연말 중국 당국이 '위드 코로나' 정책으로 전환하면서 코로나19 환자가 급증했고, 이에 한국과 일본이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방역 조치를 강화하자 중국 당국이 반발해 단기비자 발급을 중단하는 등 갈등이 고조된 가운데 나온 반응이다.

폐점이 예정된 아울렛은 지난 1996년 서울 서남부를 대표하는 패션 아울렛으로 문을 연 W몰이다. 그 동안 누적된 수익성 악화로 부동산 개발업체에 매각이 완료돼 오는 9월 영업을 종료할 예정이다.

중국 현지 매체는 W몰이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주요 소비자인 중국인 관광객이 감소하자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폐점 수순을 밟게 됐다고 전했다.

실제로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중국 단체 관광객과 따이궁(보따리상)들은 W몰의 주요 고객이었다.

사실 한국의 소비산업은 중국인 고객들에 의존하는 바가 적지 않았다. 물론 중국인들의 폭식성 소비는 특정 소비재 가격 상승 등의 왜곡을 불러오기도 했다. 특히 수치는 크지만 지나치게 가변적인 면이 있어 관리 자체가 어렵다는 문제도 낳았다. 예컨대 면세점 사업자들의 수익은 중국 관광객의 숫자에 호황과 불황이 갈릴 정도다.

중국인들 성향이 국가간 외교문제에 지나치게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도 문제다. W몰 폐점 소식에 대해서도 역시나 중국 네티즌은 감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중국 네티즌은 "한국에 갈 바에 위하이에 가는 게 낫다"며 "한국이 아닌 동남아시아에서 돈을 쓰겠다"는 의견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 여행 가는 사람들한테 묻고 싶어요. 한국이 뭐가 재미있는 거예요?

 

문제는 이런 산업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다는 거예요. 그래서 이 정도 손실은 버텨낼 수 있는 거죠.

 

한국에서 소비하지 않을 거예요.

 

한국에 갈 바에 위하이에 가는 게 나아요. 비슷해요.

 

전 세계가 중국인을 필요로 합니다.

 

앞으로 해외로 놀러갈 때는 태국만 갈 거예요.

 


사회

더보기
중국 최고인민법원, 직장내 성희롱 근절 지침 발표
"여성이 천하의 반이다." 바로 마오쩌둥의 말이다. 중국 공산당은 이렇게 남녀평등을 앞세워 많은 여성들을 혁명의 최전선으로 내몰았다. 그 덕분에 신중국 건설 초기 여성 혁명가들이 개국 공신 서열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기도 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남성 위주의 중국 전통이 되살아났다. 특히 시진핑 정권 출범이래 남성중심주의는 더욱 강화하는 모습이다. 매 정권마다 여성 부총리가 있었지만, 최근 출범한 내각에서는 여성의 모습을 찾기 힘들다. 올해 여성의 날을 맞아 중국 당국이 직장내 성희롱 근절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내놓았다. 역대 처음이다. 1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최고인민법원이 인력자원사회보장부 등 5개 정부 부처와 공동 발표한 이 지침은 근로계약서를 작성하거나 직장내 성희롱 방지 시스템을 세우는 데 참고로 활용할 수 있다. SCMP는 이번 지침이 중국 민법과 올해 1월 1일 시행된 개정 여성권익보호법 등의 성희롱 관련 조항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여성 보호를 강화했다고 전했다. 또 많은 정부 기구가 공동으로 발표한 지침인 만큼 실질적인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중국의 '미투'(Me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