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최대 명절 춘제 앞두고 폭죽놀이 찬반 논란

 

'전통이냐, 환경이냐'

중국 전통인 신년 폭죽놀이를 놓고 설왕설래가 한창이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베이징 등 중국 각지에서는 신년 폭죽행사가 금지되기도 했다. 하지만 전통을 유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다시 논란이 일고 있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폭죽 터뜨리는 소리가 악귀와 액운을 퇴치한다는 속설로 인해 춘제(春節, 설)기간 폭죽놀이를 많이 한다. 폭죽놀이가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는 상징으로 자리 잡은 지 이미 천년이 넘었다.

하지만 최근 올해 춘제을 앞두고 폭죽을 터뜨리는 풍습을 놓고 찬반 논란이 뜨겁다. 대기오염과 안전 문제 때문이다.

중국에선 매년 춘제 때면 엄청난 양의 폭죽 때문에 도심 전체가 스모그에 휩싸이는 '춘제 스모그'라는 말이 있을 정도고, 화상을 입는 사람도 적지 않다.

지난해 춘제 기간에도 폭죽놀이의 영향으로 중국 47개 도시의 공기질지수(AQI)가 200을 넘겼다. 베이징을 비롯해 허베이성 바오딩(保定)과 스자좡(石家莊) 등 13개 도시는 300을 넘기도 했다. AQI는 건강에 해로움(151∼200), 매우 건강에 해로움(201∼300), 위험(301∼500) 등으로 나뉜다.

그로 인해 베이징시의 경우 2017년부터 5환(環) 이내 도심에서 폭죽을 터트리는 것을 금지하는 등 폭죽놀이를 허용하지 않는 지역이 늘고 있다.

하지만 올해는 폭죽놀이를 일부 허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올해 춘제가 '위드 코로나' 전환 이후 처음 맞는 춘제인 만큼 3년간 코로나19로 억눌렸던 마음을 풀어줘야 한다는 주장이다.

반면 허용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코로나19 감염자가 폭증하는 상황에서 폭죽놀이로 인한 대기오염이 환자들의 병세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또 과거에도 폭죽놀이로 인한 화재와 폭발 등 각종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은데다 소방관들도 대부분 감염됐거나 최근 회복됐다는 점을 고려할 때 행정력 낭비를 불러올 수 있다는 주장이다.

한편 지난 3일 허난성 저우커우에서는 경찰이 폭죽놀이를 하던 주민을 체포하려 하자 다른 주민들이 저지에 나서면서 경찰차를 부수는 사건도 있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최고인민법원, 직장내 성희롱 근절 지침 발표
"여성이 천하의 반이다." 바로 마오쩌둥의 말이다. 중국 공산당은 이렇게 남녀평등을 앞세워 많은 여성들을 혁명의 최전선으로 내몰았다. 그 덕분에 신중국 건설 초기 여성 혁명가들이 개국 공신 서열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기도 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남성 위주의 중국 전통이 되살아났다. 특히 시진핑 정권 출범이래 남성중심주의는 더욱 강화하는 모습이다. 매 정권마다 여성 부총리가 있었지만, 최근 출범한 내각에서는 여성의 모습을 찾기 힘들다. 올해 여성의 날을 맞아 중국 당국이 직장내 성희롱 근절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내놓았다. 역대 처음이다. 1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최고인민법원이 인력자원사회보장부 등 5개 정부 부처와 공동 발표한 이 지침은 근로계약서를 작성하거나 직장내 성희롱 방지 시스템을 세우는 데 참고로 활용할 수 있다. SCMP는 이번 지침이 중국 민법과 올해 1월 1일 시행된 개정 여성권익보호법 등의 성희롱 관련 조항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함으로써 여성 보호를 강화했다고 전했다. 또 많은 정부 기구가 공동으로 발표한 지침인 만큼 실질적인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중국의 '미투'(Me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