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1억 6430만 위안'
중국 시짱자치구(西藏自治区, 티베트)의 올 1~11월 간 수출입 총액이다. 지역 경제 규모를 보여준다. 전년 동기 대비 14% 가까이 성장했다.
이들 지역은 중국에서 독립 색채가 가장 강한 곳이다. 서부의 낙후된 지역이기도 하다. 종교적으로 문화적으로 중국 본연의 색채와 큰 차이가 있다.
그동안 중국 당국은 이 지역을 경제, 문화적으로 중국과 뼛속까지 같도록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다. 경제적으로 큰 혜택을 준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토속문화에 대한 압박으로 인권 문제를 낳았다. 경제적 당근을 주면서도 문화적으로 채찍을 휘두른 것이다.
과연 중국 당국의 의도 그대로 지역 통치가 이뤄질지 관심을 끄는 대목이다.
중국 해관총서(세관) 통계에 따르면 지난 1~11월 시짱자치구의 대외 무역 수출입 총액은 41억 643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9% 증가했다. 수출은 39억 위안으로 1.0배 증가했고 수입은 2억 6200만 위안으로 84.7% 감소했다.
시짱자치구는 올해 세계 94개 국가 또는 지역과 무역을 하고 있으며 이는 전년 대비 30개가 증가한 수치이다. 또한 일대일로 국가와의 무역 거래액은 21억 47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24.8% 증가했다.
도시별로 살펴보면 수도 라싸(拉薩)의 수출입 총액은 40억 1900만 위안으로 시짱자치구 전체 대외 무역의 96.5%를 차지했다. 라싸 외에 무역액이 1000만 위안이 넘는 도시는 르카쩌(日喀则市), 창두시(昌都市), 샨난(山南市) 등이었다.
시짱자치구는 면적 122만8000㎢로 중국에서 신장위구르자치구 다음으로 넓지만, 상주인구는 약 360만 명에 불과하다. 평균 해발 4000m인 칭짱고원에 자리 잡아 유목·농업 종사자가 대부분이다.
중국은 1950년 티베트를 침공해 이듬해인 1951년 '시짱 평화해방 방법에 관한 협의' 조약을 맺고 티베트를 병합했다. 이후 1959년 독립을 요구하는 대규모 봉기를 진압하고 1965년 이 지역을 시짱 자치구로 편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