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내 편을 알기 위한 아(我)

구별(區別)은 필요할 때만 하는 것이다.

 

 

나무가 나무인 이유는 

풀이 있기 때문이다.

 

역으로 풀이 풀인 이유는 

나무가 있기 때문이다.

 

동물이 동물인 이유는 

식물이 있기 때문이요,

 

꽃이 꽃인 이유는 

풀이 있어 

꽃과 풀이 다른 탓이다.

 

자연의 법칙이다.

서로 달라

조화롭고

서로 달라

화음을 낸다.

 

자연의 법칙, 

그대로가 적용되는 게 

한자의 세계다.

 

한자의 세계는

평등하다.

상호의존적이다.

 

한자 하나하나가

자신의 뜻을 갖고

문장 속에서

그 뜻을 발현한다.

 

한자의 뜻은

한자와 한자의 관계 속에서

더 분명해진다.

 

문장 속에

또 다른 한자와

호응해

비로소 의미를 갖는다.

 

차이는 필요할 때만 

드러난다.

 

예컨대 

‘간(干), 우(于), 천(千)’

모두 비슷하다.

차이가 적다.

 

그저

기울기가 다르고

꼬리 모양이

다를 뿐이다.

 

하지만

의미는 서로

완전히 다르다.

 

간은 ‘줄기’, ‘’행하다‘는 뜻이고

우는 ‘~에’, ‘~보다’는 조사다.

천은 '10의 100배'요, '100의 10배'다.

 

생김새만 놓고

문장에서 한 글자만 

쓴다면,

 

간을 우 같은들

우가 천 같은들

아무런 문제가 없다.

 

한자는 이렇게

평소에 구별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한 문장에 동시에

간이나 우,

우나 천 등

두 글자 이상 

쓰이는 경우,

간은 다시 간이요

우도 다시 우여만 한다.

천 역시 다시 천이다.

 

간을 우처럼 쓸 수 없고

천을 간처럼 쓸 수 없다.

 

한자는  필요할 때는

반드시

구별을 해야만 한다.

 

구별은 떼어내는 게 아니라

더하는 것이다.

차(差)는 같은 것에서 다른 것을 고르지만

구(區)는 다른 것에서 같은 것을 고른다.

 

풀에서 나무를 골라내는 게 아니라

풀에 대응해 서로 다른 나무들을

‘나무’라는 카테고리로 묶는 것이다.

 

소나무, 대나무, 느티나무

모두가 다르지만

풀에 비해서는 모두가 하나다.

‘나무’일뿐이다.

 

이런 이치를 알면

나를 알게 된다.

나라는 뜻의 아(我)는

이 같은 이치를 잘 보여준다.

 

갑골자의 아(我)자는 무기다.

왜 무기가

자신을 뜻하는

나 아(我)가 됐을까.

여러 설(說)이 있다.

 

 

춘추전국시대

각국은 자국의 독특한 무기를 썼다.

 

한 나라의 군대는 

각기 다른 지역에서

얼굴도, 풍채도 다르지만

모두 같은 무기를 든 것이다.

 

같은 무기를 들고

같은 적을 상대하는 게

바로 나 아(我)요,

우리였던 것이다.

 

아(我)는 이렇게

내가

우리가 됐다.

 

스스로 자(自)가

차(差)로 발현된 ‘나’라면,

나 아(我)는

구(區)로 발현된 ‘나’인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