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취함의 경계를 알아야 인생의 묘미를 안다.

 

생이 참 묘하다. 고해(苦海)엔 데 그 속에 있는 행복이 달콤하기만 하다. 그래서 살고 있고, 살아가려 한다.

그래 필요한 게 술이다.

 

술은 고해를 잠시 잊게 하고, 잠시의 행복 속에 머물게 도와준다.

그 속에 현실을 잊고, 자신도 잊어버린다.

‘몰아지경’(沒我之境)

 

“艰难苦恨繁霜鬓, 潦倒新停浊酒杯。”

(간난고한번상반, 요도신정탁주배)

 

“귓가에 핀 백발가락, 술잔만 들고 멍하니.”

 

두보의 시 ‘등고’(登高)의 한 구절이다. 술을 마시려 하지만, 늙고 병 들어 술 잔만 들고 더 이상 마시지 못하는 늙은 나그네의 심정을 그렸다.

이처럼 처량한 인생이 있으랴. 인생의 고해 속에 담금질 된 술꾼에게는 둘도 없는 형벌이다.

술 향이라고 맡기 위해 잔을 따르는 심정, ‘빈잔 들고 취해야 하는’ 심정은 당해보지 않은 이는 알 길이 없다.

 

술이 가져오는 경지다. 하지만 아쉽게도 그 속에서 자신을 잊게는 게 아니라 잃고 만다는 게 문제다.

그게 ‘취(醉)’의 묘미다. 자신을 잊어도 그렇지만, 자신을 잃으면 술이 연장해준 행복의 기억은 남지 않는다.

그래서 다시 술을 찾게 된다. 마약쟁이가 마약을 찾듯….

 

인생의 묘미(妙味)인 술은 인류의 생이 시작한 순간, 같이 시작됐고 인류의 생이 이어지는 이 순간도 계속되고 있다.

그렇게 오래된 글자가 바로 술 주(酒)요, 취(醉)다.

 

갑골자 취(醉)는 술꾼이 경계해야하는 ‘취’의 순간이 묘사돼 있다.

술 항아리를 껴안고 있는 술꾼의 모습이 바로 취다.

갑골자 취(醉)는 술 항아리 유(酉) 옆에 졸(卒)이 있는 자다. 졸(卒)의 갑골자는 그 의미를 놓고 설왕설래가 많다.

일단 여기서는 한 가지만 이야기 하자.

옷매무세를 뜻하는 게 바로 졸이다. 학자들은 옷에 표시를 한 글자를 졸이라 해석한다. 상형자 졸의 해석 가운데 유력한 하나다.

 

그럼 취는 흐트러진 옷매무세로 술 항아리를 들고 있는 졸(졸: 졸개)인 것이다. 졸은 고대 중국의 평민이다. 농사를 짓고 전국시대 군역을 담당했던 계층이다. 귀족 바로 아래고 노비의 위다. 오늘날 수많은 시민들이다.

 

취는 술을 즐기는 경계인 셈이다. 이 경계를 넘어서면 취한 게 추하게 되고, 그 경계 안에 머물면 생을 취한 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요도신정’(潦倒新停)의 순간을 피할 수, 아니 최대한 미를 수 있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