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모든 빛나는 건 보이지 않는다.

빛난다는 것은 자신을 감추는 일이다.

빛은 스스로를

드러내 보이지 않는다.

 

언제가 밝은 빛

그 뒤에 숨어

빛이 닿는

모든 것을 비추어

드러내고

빛나도록 하는 것이다.

 

빛의 밝음은

언제나

그 빛이 닿는 곳에 있지,

그 빛이

나오는 곳에 있지 않다.

 

자신을 감추고

남을 드러내는 것

바로 빛의 본질이다.

 

한자를 만든

동양에서는

진작에 빛의 본질을 꿰뚫었다.

 

갑골자에 그 생각이 잘 드러난다.

광(光)자는

불을 쬐는 사람의 모습이다.

앉은 사람의 머리 위로

불길이 보인다.

따뜻함과 밝음이 동시에 느껴진다.

 

빛이 있고 사람이 있어

그제야 느껴지는 것이다.

 

빛나는 모든 것은

드러나지 않는다.

모든 것을 비춰 드러나게 할뿐이다.

 

그래서 빛은

그 것을 느끼고

비춰져

빛나는 게 있어

비로소

빛의 존재가

빛나는 것이다.

 

“毕竟西湖六月中,风光不与四时同。

接天莲叶无穷碧,映日荷花别样红。”

(필경서호육월중, 풍광부여사시동. 접천연엽무궁벽, 영일하화별양홍.)

 

“아 6월의 서호로구나,

그 빛이 남 다르다네.

하늘가 연잎 푸르기만 하고

비춰진 연꽃 붉디 붉구나“

 

송 양만리의 시다.

빛은 비춰서

빛이 나게

하는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