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있어야 버릴 수 있고, 버려야 있을 수 있다

끊을 절의 가르침

 

 

시작이 있어 끝이 있고,

끝이 있어 시작이 있다.

끊을 절(絶)

 

“끊는다.”

“끝낸다.”

 

모두가 무엇인가에

마침표를

찍는다는 의미다.

 

진행되는 게 있어

가능한 일이다.

 

“버린다.”

“치운다.”

 

역시 무엇인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다.

 

있어야

없을 수 있고,

없어야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바로 있도록 하는 법이며,

또 없도록 하는 법이기도 하다.

 

생이란

있고, 없고의 연속인 것이다.

 

한자 속에는

일찌감치

이 같은 삶의 진리가 담겨져 있다.

 

있다는 의미가

있고나서

비로소 끝내다는 의미가 있다.

 

갑골자 절(絶)에 담긴

생각이다.

 

묶인 끈을

칼로 끊어 내는 모습이다.

 

 

본래 묶인 끈은

거래 관계를

기록한 수다.

 

그 거래가 끝나

끈을 끊어

내는 게 바로 절이다.

 

절(絶)은

한 거래의 끝이며,

비로소

새로운 끈에

거래를 맺어야 함을,

새 거래가

시작됨을 의미한다.

 

마치는 게 나쁜 게 아니요.

새로운 시작이 두렵기만 한 거도 아니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 끝내며

어떻게 시작하느냐다.

 

그래서

제일 높은 것을

절정(絶頂)이라 하고

가장 큰 것을

절대(絶大)라 했다.

가장 멋있는 것을

절경(絶景)이라 하고

당대 제일을

절세(絶世)라 했다.

 

하지만

희망의 끝을

절망(絶望)이라 했고

사귐의 끝을

절교(絶交)라 했다.

 

다시 보면,

절망은 지금까지 희망이 가장 좋았다는 뜻이며

절교는 지금까지 사귐이 가장 좋았다는 뜻이다.

 

때론 

어떤 것은 지금까지

가장 아름다운 게 

가장 좋은 게 좋을 수 있지만,

때론 

어떤 것은 항상 

지금보다 더 

좋아야 하고

더 아름다워야

좋은 게 있는 것이다.

 

희망은 항상

지금보다,

이전보다 좋아야 좋고,

교재도 항상

지금보다 

이전보다 좋아야 좋은 것이다.

 

어떻게 절(絶) 할 것인가?

절을 어떻게 받아

들일 것이냐에

남은 삶도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절학무우”(絶學無憂),

“학문을 끝내면 우환이 없다” 한 것이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