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있어야 버릴 수 있고, 버려야 있을 수 있다

끊을 절의 가르침

 

 

시작이 있어 끝이 있고,

끝이 있어 시작이 있다.

끊을 절(絶)

 

“끊는다.”

“끝낸다.”

 

모두가 무엇인가에

마침표를

찍는다는 의미다.

 

진행되는 게 있어

가능한 일이다.

 

“버린다.”

“치운다.”

 

역시 무엇인가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다.

 

있어야

없을 수 있고,

없어야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바로 있도록 하는 법이며,

또 없도록 하는 법이기도 하다.

 

생이란

있고, 없고의 연속인 것이다.

 

한자 속에는

일찌감치

이 같은 삶의 진리가 담겨져 있다.

 

있다는 의미가

있고나서

비로소 끝내다는 의미가 있다.

 

갑골자 절(絶)에 담긴

생각이다.

 

묶인 끈을

칼로 끊어 내는 모습이다.

 

 

본래 묶인 끈은

거래 관계를

기록한 수다.

 

그 거래가 끝나

끈을 끊어

내는 게 바로 절이다.

 

절(絶)은

한 거래의 끝이며,

비로소

새로운 끈에

거래를 맺어야 함을,

새 거래가

시작됨을 의미한다.

 

마치는 게 나쁜 게 아니요.

새로운 시작이 두렵기만 한 거도 아니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 끝내며

어떻게 시작하느냐다.

 

그래서

제일 높은 것을

절정(絶頂)이라 하고

가장 큰 것을

절대(絶大)라 했다.

가장 멋있는 것을

절경(絶景)이라 하고

당대 제일을

절세(絶世)라 했다.

 

하지만

희망의 끝을

절망(絶望)이라 했고

사귐의 끝을

절교(絶交)라 했다.

 

다시 보면,

절망은 지금까지 희망이 가장 좋았다는 뜻이며

절교는 지금까지 사귐이 가장 좋았다는 뜻이다.

 

때론 

어떤 것은 지금까지

가장 아름다운 게 

가장 좋은 게 좋을 수 있지만,

때론 

어떤 것은 항상 

지금보다 더 

좋아야 하고

더 아름다워야

좋은 게 있는 것이다.

 

희망은 항상

지금보다,

이전보다 좋아야 좋고,

교재도 항상

지금보다 

이전보다 좋아야 좋은 것이다.

 

어떻게 절(絶) 할 것인가?

절을 어떻게 받아

들일 것이냐에

남은 삶도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절학무우”(絶學無憂),

“학문을 끝내면 우환이 없다” 한 것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