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세월을 낚는다. 내 살을 깎는다.

“세월(歲月)을 낚는다. 내 살을 깎는다.”

한 생이다, 살아서 죽은 것.

생은 수많은 반복이다.

반복의 한 고리를 세(歲)라고 한다.

 

세는 하늘의 별, 목성의 이름이다.

밤하늘 가장 밝은 별이다.

더 밝은 별, 금성, 샛별이 새벽을 밝힐 때까지

목성이 밤하늘을 지킨다.

 

월도 하늘의 별, 달의 이름이다.

달은 별이라 하기에

크고 밝다.

태양의 빛을 보듬어

밤 대지를 비춘다.

 

급은 다르지만,

둘은 우리 생의 한 변화의 고리, 하루와 한 달을 상징한다.

 

목성의 빛에 샛별에

가리기 시작하면

새벽이 되고, 해에 가르면 낮이 된다.

 

밤하늘 ‘하루’의 증거가 바로 세(歲)다.

월은 밤마다 나타나

몸으로 한 달의 변화를 보여준다.

 

만월은 한 달의 끝,

새로운 시작을 의미한다.

 

본래 세(歲)는 시간의 의미는 아니었다.

갑골자에서 세(歲)는

과(戈)라는 무기로 살을 도려내는 이미지를 형상화한 글자였다.

 

다리에서 다리를 떼어낸 모습이다.

잔혹한 형(刑)이다.

상나라 때 자형부터 보이는 것으로 보아, 고대 동양에서 부족들 사이에 널리 쓰였던 형벌로 보인다.

다만 세(歲)는 주나라 예기에서 이미 시간의 의미로 쓰이고 있다. 일찌감치 목성을 의미하며, 시간의 의미를 지니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럼 왜 그많은 한자들 가운데

형벌을 의미하는 세(歲)가 목성의 이름이 됐을까? 세월을 세를 ‘깎아내다’, ‘잘라 내다’는 뜻에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사실 세월은 달을 깎아낸다는 의미다. 스스로 모양을 깎아 한 달의 변화를 보여주는 달의 행동을 의미한다.

또 동양에서 인생은 정해진 천수를 줄여가는 의미다.

천수를 깎아내는 일,

그 게 삶이요, 인생인 것이다.

 

이리 생각하니, 내 여생이 더욱 애뜻해진다. 우리는 매일 그 생을 깎아 살아가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내 살을 깎아내는 것, 그 게 삶이고

이제 누군가는 그 깎아낼 살조차 얼마 남지 않은 것이다. 

 

남을 살을 보면 새 삶이 보이고,

내 여생이 더욱 애뜻해지기만 한다.

 

너무 사랑하는 데 

행동하기에 힘이 부치고

내 행동이 

항상 원하는 결과를 만들지 못함을 너무나 잘 아는 탓이다. 

결국 

마음만 졸이며, 응원하며 

안타깝지만 지켜봐야만 본게 된다.

 

세월이 내 살을 깎은 탓이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