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조 4,000억 위안’ 한화로 약 1,207조 2,960억 원 가량이다. 올 1~5월 중국의 기계전자 제품 수출 총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10% 가까이 늘어난 금액이다. 기계 전자 제품은 무엇보다 미국이 강하게 규제하는 분야다. 다른 곳도 아닌 미국이 규제를 하는 분야에서 10%에 가까운 성장세를 이끌어 낸 것이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해관총서는 이 같은 내용의 중국 수출현황 데이터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1~5월 동안 중국의 기계전자 제품 수출은 6조 4,000억 위안으로 전체 수출의 60%를 차지하며 전년 동기 대비 9.3% 증가했다. 그중 자동자료처리장비 및 부품 수출은 3.9% 증가했고, 집적회로(IC) 수출은 18.9%, 자동차 수출은 6.6% 증가했다. 같은 기간 노동집약형 제품 수출은 1.5% 감소했으며 전체 수출에서 15.6%를 차지했다. 수입 부문에서는 주요 원자재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자료에 따르면, 철광석 수입 평균 가격은 톤당 전년 대비 16.4% 하락했고, 원유는 10.6%, 석탄은 22.5% 하락했다. 같은 기간 기계전자 제품 수입은 전체 평균을 웃도는 증가율을 보였다. 1~5월 중국의 기계전자 제품
‘17조 9,400억 위안’ 한화로 약 3,384조 2,016억 원 가량이다. 올 1~5월 간 중국의 상품 무역 수출입 총액이다. 전년보다 2%를 훌쩍 넘는 증가폭을 보였다.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전 촉발 속에 나온 결과다. 기대 이상의 선방을 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해관총서를 이 같은 내용의 5웜말 현재 중국 상품 무역 수지 현황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 1월부터 5월까지 중국의 상품 무역 수출입 총액은 17조 9,400억 위안(약 3,384조 2,01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했다. 증가율은 1~4월보다 0.1%포인트 빨라졌다고 밝혔다. 이 중 수출은 10조 6,700억 위안(약 2,012조 7,888억 원)으로 7.2% 증가했다. 다만 수입은 7조 2,700억 위안(약 1,371조 4,128억 원)으로 3.8% 감소했다. 중국의 무역수지가 다시 흑자폭을 키우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흑자는 미국의 무역전을 촉발시킨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무역적자를 해소하겠다고 나선 게 바로 ‘글로벌 보편관세’ 적용이다. 미국과 거래하는 나라들이 얻는 이익을 관세로
‘20억1700만 킬로와트’ 지난 4월말 중국의 재생에너지 용량이다. 중국의 재생에너지 용량이 20억 킬로와트를 돌파했다. 물론 아직 중국의 막대한 에너지 소비량을 충족시키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용량이다. 하지만 중국의 재생에너지 발전 능력은 빠른 속도로 발전 용량을 키워가고 있다. 최근 중국 지역 매체인 톈룽왕은 신장 남서부 파미르 고원 위의 우차 풍력발전소 르포를 시작으로 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신장 남서부 파미르 고원 위에서 직경 195미터에 달하는 날개가 천천히 회전하고 있었다.” 기사는 이렇게 중국 서북 지역에서 해발 고도가 가장 높은 풍력 발전소인 우차 풍력 발전소를 소개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발전소는 연간 약 5억 4천만 킬로와트시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산둥 라이저우만 해역에서는 해양 태양광 발전소가 작동 중이다. 이 발전소는 고염분 안개, 강한 해류 충격 등 시공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중국 최초로 말뚝 고정식으로 건조된 해상 태양광 발전소다. 이 같은 노력에 힘입어 올 4월 말 기준으로 중국의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용량이 20억 킬로와트를 돌파했다. 발전 용량은 20억1700만 킬로와트에 이른다. 이는 약 90기의 싼샤(삼협
‘154조 위안’ 한화로 약 2경 9,179조 원 가량이다. 지난 2024년 한 해 중국의 자산운용 총액이다. 역대 자산규모 최고 기록을 새롭게 갱신했다. 중국의 자산운영 규모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최근 중국 당국은 《중국 자산운용시장 2024—2025》(이하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의 자산운용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10.4% 증가하여 154조 위안에 달했다. 중국 매체들은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가계 자산 배분 구조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자산운용 시장 규모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며, 중국 금융시장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였고 자산운용 규모는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인공지능을 대표로 하는 기술 혁신이 한창이며, 고령화는 보편적 연금 자산관리 상품의 혁신을 요구하고 있어 자산운용 기관의 전문 역량에 대해 시스템적인 업그레이드를 요구하고 있었다. 현재 중국의 자산운용 산업은 공모펀드, 은행 금융상품, 보험 자산운용, 신탁업, 증권사 자산운용, 사모펀드 등으로 구성된 대형 자산운용 산업 지형을 형성하고 있었다. 《보고서》
‘9.4%’ 올 1~4월 중국 바오지시의 올 1~4월간 성장률이다. 중국 지방에 경기 침체의 압박이 심한 것으로 전해진 상황에서 나온 수치여서 주목된다. 바오지시는 중국 섬서성의 직할도시다. 주나라 시절부터 존재해온 고도다. 현재는 인구 325만7000여명(2023년 기준)의 중소 도시다. 지역총생산이 2743억 위안 가량이다. 이런 소도시의 경제 상황을 살피는 것은 대도시 중심의 발전을 추구하는 중국의 실질적인 경제 상황을 이해하는 데 또 하나의 방법이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바오지바오즈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시 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지역 경제 성장 상황 보고서를 냈다. 자료에 따르면 시는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시의 규모 이상 산업 부가가치가 전년 동기 대비 9.4% 증가했다. 고정자산 투자는 12.2% 증가했으며, 한도 이상 소비재 소매액은 11.9% 늘었다. 중국 매체는 “주요 경제 지표는 계속해서 안정적이고 양호한 성장세를 유지했으며, 시 전체 경제 운용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이었다.”고 전했다. 시 통계 분석에 따르면, 올해 첫 4개월간 산업 생산이 양호한 증가세를 보였고, 주력 산업의 뒷받침이 강력했다. 신흥 산업은 안정적으로 발전했다. 올
‘3,518억 8000만 위안’ 한화로 약 66조 5,686억 원 가량에 달하는 금액이다. 올 1~4월 간 중국에서 민영경제 주체들, 즉 민영기업, 자영업자 등이 중국 당국에게서 환급 받은 세금 총액이다. 중국은 과감한 재정정책 이외에 감세 정책을 펼치며 경기 부양에 주력하고 있다. 차이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1~4월 전국 민영경제(민영기업 및 자영업자 포함)의 납세자는 과학기술 혁신과 제조업 발전을 지원하는 주요 정책에 따라 3,518억 8천만 위안 규모의 세금 감면·환급 혜택을 받았다. 이는 전체의 64.6%를 차지해 세금 혜택 정책의 주요 수혜층이 됐다. 중국 매체에 베이징국가회계학원 부원장이자 교수인 리쉐훙은 “이러한 현상은 한편으로 우리나라의 세금 정책이 민영기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어 기업의 자금 압박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됐음을 보여주며, 다른 한편으로는 세금이 일반적으로 경제활동 이후 발생하는 특성상 민영기업이 큰 규모의 세금 감면 혜택을 받았다는 사실은 현재 민영경제가 안정 속에서 호전되는 발전 추세임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중국 매체들은 정책 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남에 따라 새롭게 창업한 사업체 수도 증가세를 유지했다고 분석했다. 자
‘15%’ 중국의 올 1~4월 간 하이테크 산업 민간기업들의 판매 수익 전년동기 대비 증가폭이다. 중국 기술 굴기의 효력은 대형 국영기업 뿐 아니라 민간 기업에서도 그 효력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미국발 관세전이 글로벌 경제에 암운을 드리우고 있는 가운데 중국 경제 성장의 주요 동력이 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이다. 중궈신원왕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국가세무총국은 세무데이터 분석을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민영기업 판매 수익 현황을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1~4월 민영경제의 판매 수입이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했으며, 이는 전국 기업 평균보다 0.9%p 높은 수치였고, 전국 기업 판매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1.3%에 달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과 하이테크 산업에서 민영경제의 판매 수입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6.5% 및 15.5% 증가했으며, 이는 동일 업종의 전국 평균보다 각각 1.8%p 및 1.6%p 더 높은 수치였다. 민영경제의 고용 흡수력도 꾸준히 증가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4월 말 기준 민영경제의 연금보험 납부 인원이 전체 기업 종업원 보험 납부 인원의 79.4%를 차지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0.2%p 상승
‘2.8조 위안’ 한화로 약 532조 4,200억 원 가량이다. 올 1분기 중국 베이징, 텐진, 허베이 등 소위 징진지(京津冀, 베이징·톈진·허베이) 3개 지역 지역총생산(GDP)이다. 전년동기 6% 가까운 성장을 했다. 중국 핵심 경제지역의 성장세가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였다는 게 중국 매체들의 평이다. 베이징완바오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허베이성 통계국은 이 같은 내용의 징진지 1분기 경제현황을 발표했다. 중국 당국은 현재 지역 경제수치와 중앙 수치를 맞춰 가며 지역 통계의 오류를 바로 잡는 작업을 벌이고 있다. 발표 자료에 따르면 1분기 징진지 GDP는 2.8조 위안, 전년동기 대비 5.6% 증가했다. 이는 전국 평균보다 0.2%포인트 높은 수치였다. 중국 매체들은 “올해 들어 징진지(京津冀, 베이징·톈진·허베이) 3개 지역이 협력하여 예상 심리 안정을 도모하고 신뢰를 제고한 결과, 지역 경제가 지속적으로 회복세를 보이며 협동 발전의 동력이 빠르게 축적되고 있다”고 전했다. 산업 측면에서는, 규모 이상 공업 증가율이 베이징 6.8%, 톈진 5.7%, 허베이 7.7%로, 전년도 대비 각각 0.1%포인트, 1.1%포인트, 0.2%포인트 증가했다. 중국
‘495만 6천 명’ 중국의 주요 명절 중 하나인 단오절 연휴 기간, 중국 랴오닝성에서만 이동한 인구 수다. 이번 단오절은 세계 어린이날과 겹쳐 중국 각지에서는 다양한 행사를 벌였다. 중국 당국은 단오절 연휴를 올 소비 창출의 기회로 보고 이 같은 지방정부의 활동들을 적극 지원하기도 했다. 둥베이신원왕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랴오닝성 교통운수 부문은 최근 지난 2일 기준으로 성내 교통 운수 영업용 여객 운송량이 495만 6천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했다고 밝혔다. 성 담당자는 중국 매체에 “수송력 공급을 확대하고 도로망 모니터링과 운영 보장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이에 성내 총 송출 여객은 319만 2천 명으로 2.8% 증가했으며, 도착 여객은 176만 4천 명으로 4.1% 증가했다. 이 중 도로 여객 운송은 송출 여객이 154만 2천 명으로 전년 대비 2.3% 증가했고, 도착 여객은 10만 5천 명으로 24.1% 늘었다. 자료에 따르면 성내 철도 여객 운송은 송출 여객이 142만 4천 명으로 3.7% 증가했고, 도착 여객은 142만 7천 명으로 3.4% 늘었다. 다만 민항공항은 송출 여객이 16만 5천 명으로 전년 대비 0.5% 감소했다. 그
‘2,953억 위안’ 한화로 약 56조 6,237억 원 가량이다. 중국 당국이 올 1~4월 간 과학기술을 위해 지출한 금액이다. 4개월만에 60조 원에 가까운 돈이 과학기술 분야에 지출된 것이다. 한국 이재명 대통령이 공약으로 내건 게 인공지능(AI) 분야 100조 투자다. 중국은 이미 비슷한 규모의 투자를 과학기술 분야에 해오고 있었던 것이다. 중국의 ‘기술 굴기’가 하늘에 뚝 떨어진 게 아니라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신화통신 등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재정부는 이 같은 내용의 과학기술 지출 현황을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전국 과학기술 지출은 2,953억 위안(약 56조 6,23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했다. 중국 매체들에 산시성 거풍투자정보유한회사(陕西巨丰投资资讯有限责任公司)의 수석 투자 고문 주화레이(朱华雷)는 “올해 들어 중국 재정은 과학기술 혁신에 대한 지원 강도를 지속적으로 높여왔다”며 “이는 중국 재정이 과학기술 혁신을 강력히 지원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동시에 과학기술 발전과 신질적 생산력 육성에 있어 재정 정책이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통계에 따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