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은 현대의 가장 유용한 이동 수단이다. 항공 물류의 중요성은 인터넷시대에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인터넷으로 글로벌 무역이 더욱 활성화하면서 물류의 양과 시간은 상품의 가장 중요한 경쟁력이 됐기 때문이다. 그 경쟁력을 좌우하는 사람과 화물을 가장 빠르게 이동시키는 수단은 항공뿐이다. 그래서 각국이 항공 물류만큼은 자국의 회사를 키우고 있다. 소위 국적기라는 개념이다. 중국의 경우 국적기 에어차이나 이외 다수의 민영 항공사들이 국제 항로 운항에 나서고 있다. 26일 중국항공신문망에 따르면 글로벌 항공 데이터 분석업체 시리움(Cirium)이 올해 2분기 전세계 항공기 리스회사의 자산가치 순위를 발표했다.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AerCap Holdings 480억7000만 달러 (아일랜드) 2위 SMBC Aviation Capital 247억7000만 달러 (아일랜드) 3위 Air Lease Corporation 221억6000만 달러 (미국) 4위 Avolon 179억5000만 달러 (아일랜드) 5위 BBAM 160억9000만 달러 (미국) 6위 BOC Aviation 158억5000만 달러 (싱가포르) 7위 ICBC Leasing 150억7
'3조 7933억 위안' 한화로 약 695조 원이다. 중국의 8월 사회소비재 소매판매 총액이다. 사회소비재는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제품과 서비스가 모두 포함된다. 음식, 의류, 자동차, 전자제품, 문화공연, 운송수단 등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사회소비재 소매판매가 정체됐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중국 사회의 활기가 그만큼 떨어졌다는 의미다. 더불어 경기 침체의 조짐 우려도 커졌다. 그런데 8월 중국의 사회소비재 소매판매가 전년 동월 대비 4% 이상의 성장세를 보여 눈길을 끈다. 1~8월 누적으로는 전년동기 대비 7.0% 성장했다. 이 정도면 경기가 활성화됐다고 보기는 힘들어도 침체국면은 아닌 것으로 본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사회소비재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8월 사회소비재 소매판매 총액은 3조 7933억 위안(약 695조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4.6% 증가했다. 증가율은 전월 대비 2.1포인트 상승했다. 1~8월 누적 총액은 30조 2281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7.0% 증가했다. 소매 형태별로는 1~8월 규모이상 소매단위 중 편의점, 전문점, 브랜드매장, 백화점의 소매판매액이 전년 동기 대비 7.3% , 4.1% , 3.1% , 7.9% 증가했다.
연구개발(R&D)은 한 나라의 미래 자산을 가꾸는 일이다. 현재 글로벌 사회에서 톱 상태의 기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해도 R&D를 등한시 한다면 반드시 10년 이내 국가의 기술 수준이 뒤쳐지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기술 수준은 뒤쳐졌다고 느끼는 순간이 이미 만회하기 어려운 경우기 대부분이다. 그런 이유로 기업에게만 기술 개발을 맡겨서도 안된다. 국가 차원에서 막대한 자금을 장기적으로 투자해 기초과학 기술 기반을 구축해야 글로벌 선두권의 산업 생태계가 유지된다. 간단히 미국을 보면 된다. 미국이 국방, 군사 관련 기술로 개발한 인터넷은 현재 전세계 사람들의 일반 생활의 도구로 이용되고 있다. 인터넷 관련 기술들이 대부분 미국에서 나왔고, 미국 기업들은 빠르게 이 기술들을 기반으로 상업화에 성공했다. 중국은 늦었지만 이 같은 R&D의 중요성을 너무도 잘 알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도 등한시 하지 않지만 기업들 역시 R&D투자에 어느 때보다 적극적이다. 25일 중국차이푸망(中国财富网)에 따르면 중국 포춘이 최근 '500대 민영기업 연구개발(R&D) 투자액 순위'를 발표했다. Top 10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텐센트
'총 1조1417억 위안' 한화로 약 209조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올 1~8월 중국 3대 통신업체(차이나텔레콤, 차이나모바일, 차이나유니콤)의 수입액이다.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성장을 실현했다. 본래 통신산업의 성장은 코로나19 엔데믹을 맞으면서 잠시 주춤할 것으로 전망됐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대면접촉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통신산업의 성장세는 조금도 줄어들지 않았다. 올해 1~8월 중국의 통신산업 관련 통계가 발표됐다. 21일 중국 산업정보기술부에 따르면 1~8월 중국 3대 통신업체(차이나텔레콤, 차이나모바일, 차이나유니콤)의 수입은 총 1조1417억 위안(약 209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6% 증가했다. 1~8월 중국 3대 통신업체의 인터넷 광역대 사업 수입은 1741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했다. 이는 통신 사업 수입의 15.2%를 차지한다. 중국 3대 통신업체의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사업 수입은 4432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0.5% 증가했다. 이는 통신 산업 수익의 38.8%를 차지한다. 올해 3대 통신업체는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터넷 데이
중국 대졸자 취업은 다른 어떤 나라보다 의미가 다르다. 중국이 사회주의 체제를 국체로 삼는 나라이기 때문이다. 사회주의란 본래 공산당 독재를 허락하되, 사회의 자원을 공익에 집중해야 하는 국가 운영체제다. 자본주의 국가들이 자본의 논리를 우선시하는 것과 달리 사회주의는 사회 공익을 위한 조치를 자본의 논리보다 우선시한다. 즉 사적 소유보다 공적 소유를 우선시한다는 의미다. 그런 측면에서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에서 대졸자 취업은 공산당이 책임져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중국은 자본시장 논리를 받아들이면서 일자리 창출로 그 역할을 대신해왔다. 하지만 최근 경기 침체 국면에서 일자리 창출이 줄어들면서 위기 신호가 나오는 상황이다. 과연 중국 당국이 이번 경제 위기로 인한 정치불안의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지 주목된다. 22일 중국 인터넷 매체 소후닷컴(Sohu.com)이 중국 대학 졸업자들의 취업 및 정착 선호도가 높은 도시 순위 Top 3를 전했다. 1위 항저우(杭州) 2위 선전(深圳) 3위 청두(成都)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와 같은 대도시도 직장을 찾는 대졸자들에게 꾸준히 인기 있는 도시이다. 하지만 최근 대학 졸업생들은 가성비를 따지며 취업을 고려하고 있다. 이것
도시에 외국 유학생들이 많으면 그 도시는 그만큼 국제적이라는 인상을 갖게 된다. 서울 도심에서 많은 외국인 대학생들을 보면, ‘서울은 이제 정말 국제도시야’는 생각이 절로 갖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다. 영국의 대학평가 기관인 Quacquarelli Symonds(QS)가 유학하기 좋은 도시 순위를 발표했다. 이번 순위는 세계 각지의 인구 25만 명 이상 도시를 기반으로 도시내 대학들의 QS 순위, 학생 및 학부모의 선호도, 경제성(학비 및 생활비), 고용주 활동(졸업후 취업), 학생 구성, 학생 관점(8만5000명 설문 조사 기반) 등 6개 지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순위를 매긴 것이다. 중국 대륙에서는 8개 도시가 순위에 올랐다. 37위 베이징 48위 상하이 99위 난징 109위 우한 134위 광저우 145위 톈진 149위 시안 151-160위 하얼빈 중국 내 도시 순위는 베이징, 상하이, 난징, 우한, 광저우, 톈진, 시안, 하얼빈 순이다. 베이징, 상하이, 난징은 100위 안에 이름을 올렸고, 그 외에는 톈진과 하얼빈이 처음으로 순위에 올랐다. 전체 1위는 런던이 차지했으며 파리, 뉴욕, 도쿄, 두바이, 바르셀로나, 로마, 마드리드, 싱가포르, 암스테르담
코로나19 팬데믹은 인류 사회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급속히 번지는 전염병은 사람들의 이동을 막았고, 물류를 막았다. 과거 산업시대였다면 물류를 기본으로 하는 글로벌 경제에 상상도 못할 피해를 입혔을 것이다. 하지만 인류는 IT 혁명의 시대를 살고 있어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 이동, 대면 소통을 벗어나 컴퓨터를 매개로 소통했고, 자동화로 물류 축소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다행이 엔데믹의 시작으로 글로벌 경제가 안정을 되찾기 시작했고, 글로벌 물류도 새롭게 되살아 났다. 당장 항공사들의 물류 실적이 과거의 수준을 회복하고 있다. 홍콩 캐세이퍼시픽항공이 지난 8월 여객 및 화물 운송 데이터를 최근 발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8월 캐세이퍼시픽항공의 총 승객 수는 1000만 명을 돌파했다. 캐세이퍼시픽항공의 8월 승객 수는 178만4980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603% 증가했다. 승객 탑승률은 88%로 전년 동월 대비 19.4포인트 증가했다. 1~8월 누적 승객 수는 전년 동기 대비 1302% , 수송 능력은 633.1% 증가했다. 또 캐세이퍼시픽항공은 8월에 11만6919t의 화물을 선적했으며, 이는 지난해 동월 대비 11.5% 증가한
미래 사회는 ‘사물 인터넷’의 시대다. 사물 인터넷이란 인간을 중심으로 세상의 사물 모두가 서로 소통하는 시기다. 바로 IT(정보통신) 기술의 발달 덕이다. 통신이 인터넷을 넘어 사물과 사물로 이어지는 시대가 곧 도래하는 것이다. 이미 적지 않은 곳에서 조짐이 보인다. 집안 곳곳의 전자기기들이 서로 소통을 하며, 스마트폰 하나로 집안의 모든 가전기구를 집밖에서 조정하는 게 현실화되고 있다. 소위 ‘스마트 하우스’ 개념이 바로 그것이다. 인간이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매개 없이 소통하는 것도 ‘사물 인터넷 시대’를 이루는 중요한 한 축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인간이 기계들이 읽을 수 있도록 보다 많은 전기신호를 만들어 낼 수 있어야 한다. 그러한 생각이 구체화한 게 바로 ‘웨어러블 기기’들이다. 바로 사람이 입는 컴퓨터요, 스마트폰이라 생각하면 된다. 시장 조사 기관 Canalys에서 2023년 2분기 글로벌 웨어러블 밴드 및 워치와 관련된 데이터를 발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2분기 전 세계 웨어러블 밴드 및 워치 출하량은 4400만 대에 달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한 수치이다. Canalys의 글로벌 웨어러블 밴드 및 워치의 점유율 순위 Top 3는
중국 첨단기술 도용과 개발을 억제하기 위해 미국은 다양한 제재를 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게 중국 기업들에 대한 투자 제한이다. 화웨이 등 특정기업에 대한 미국 자본, 혹은 미국내 비중이 큰 자본들의 투자가 어렵도록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하지만 과연 중국에 대한 외국 투자가 줄었을까? 최근 중국 당국 발표는 전혀 사실과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조금 늘어난 게 아니라, 두 자릿수 증가를 시현했다. 중국 상무부가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8월 중국 첨단기술 제조업의 실제 사용 외자가 19.7% 증가했다. 그 중 전자 및 통신 설비 장비 제조업, 의료 기기 설비 및 기기 제조업은 39.7% 및 25.6% 증가했다. 첨단기술 서비스업 중 연구개발(R&D) 및 디자인 서비스 분야의 실제 사용 외자는 57.1% 증가했다. 1~8월 중국 전역에 3만3154개의 신규 외국인 투자 기업이 설립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한 수치이다. 실제 사용 외자 금액은 8471억7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5.1% 감소했다. 중국의 실제 사용 외자가 감소한 첫 번째 원인은 글로벌 경제 회복이 더디고 글로벌 투자가 부진했기 때문이다. UNCTAD
중국이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자동차 시장이 크다 보니 연관된 자동차 보험, 자동차 부품 시장, 중고차 시장도 크다. 자동차 시장이 성숙할수록 함께 성장하는 게 자동차 부품, 액세서리 시장이다. 자동차는 한 번 사면 길게는 10년 이상 타는데 그 동안 부품이나 액세서리는 여러 번 갈아줘야 한다. 2023년 중국 자동차 부품 시장 Top 10 브랜드가 최근 발표됐다.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미쉐린(MICHELIN) 2위 루마(LLumar) 3위 Xpel 4위 3M 5위 SolarGard 6위 Quantum 7위 V-KOOL 8위 ONERPRO 9위 KDX 10위 WIIKYLE 1위에 오른 미쉐린은 프랑스에 본사를 둔 세계 1위 자동차 타이어 전문 기업이다. 1889년 탄생해 130년이 넘는 역사와 글로벌 타이어 판매량 1위를 자랑한다. 2위 루마는 자동차 윈도우 필름 세계 최대 제조업체다. 1920년 설립됐으며 미국 테네시주 킹스포트에 본사가 있다. 3위 Xpel 역시 미국 회사로 상하이에 합작사를 설립해 중국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5위를 차지한 SolarGard는 세계 500대 기업 중 하나인 생고뱅의 플래그쉽 브랜드로 중국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