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의 지역별 자동차 보유차량 수가 공개됐다. 성(省) 가운데 산둥성이 주민의 자동차 보유 비율이 가장 높았다. 주민들 두 명 중 한 명은 차량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당 자동차 보유수는 선진국 사회의 한 지표다. 선진국일수록 가구당 자동차 보유수가 높다. 대략 2대 꼴이다. 아직 중국은 가구당 자동차 보유수가 1대에 크게 못미친다. 그래서 아직 자동차 보유 가구 비중을 본다. 그 비중에 따르면 산둥성이 51%가량으로 중국 전역에서 가장 높았다. 저장성이 50%로 그 뒤를 이었다. 단순히 지역별 자동차 보유수를 따지면 역시 1위는 산둥, 대신 2위는 광둥 지역이었다. 사실 아직 자동차 문화가 선진국에 크게 못미치지만 중국은 소비 규모가 워낙 커서 자동차 시장만 해도 세계 최대 규모다.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급속히 위축된 글로벌 자동차 산업을 먹여 살린 게 바로 중국이다. 중국인들이 차량을 구입하기 시작하면서 세계 주요 자동차 회사들의 수익이 반전됐다. 최근에 중국은 전기차 시장의 큰 손으로 떠오르고 있다. 일론 머스크의 테슬라가 가장 많은 돈을 버는 곳이 바로 중국이다. 다음은 중국의 지역별 자동차 보유 비중 순서다. 1. 산둥성 175만
코로나19 팬데믹은 인류사의 가장 결정적인 팬데믹이 될 전망이다. IT기술이 전 산업에 접목되는 4차 산업 혁명 시기에 등장해 일상의 온라인화를 강화했고, 전 산업에 언택트 문화를 시험하도록 했기 때문이다. 사람들의 생활 속에 '자가격리'는 순식간에 가장 많이 접하는 단어가 됐다. 집에서 운동하고, 집에서 일하며, 집에서 여가를 보내는 등 집에서 하는 모든 게 인기를 끌었다. 집에서 온라인으로 사람을 접하고 혼자 생활하면서 '이중성'도 늘었다. 온라인 화상 카메라 시각의 편협성을 최대한 활용하고, 자기를 비추는 화면을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점을 최대한 이용한 것이 이 이중성이다. 예컨대 아래는 반바지, 위는 정장을 하는 식이다. 겉으로는 웃지만 다른 이와 열린 카카오톡 창에서는 욕을 하는 식이다. 어쩌다 들키면 "넌 안 그래?"하는 뻔뻔함도 갖추기 시작했다. 인간 사회를 더욱 복잡하고 어렵게 만든 것이다. 변화는 모든 크고 작은 웅덩이를 다 채우고 나야 바다로 흐르는 강물처럼 영향을 주지 않은 곳이 없다. 위에 언급한 심도 깊은 변화는 차치하더라도 당장 사람들이 입는 옷에도 코로나19 팬데믹은 크고 작은 영향을 줬다. 코로나19로 인해 캐주얼 패션에
여름, 물놀이의 계절이다. 과거 중국에서 바캉스는 사치였으나, 최근은 완전히 달라졌다. 도시인들의 생활 기본이 된 지 오래다. 베이징 등 곳곳에서는 워터파크가 만들어 업무와 여름 무더위에 지친 도시민들을 유혹하고 있다. 하지만 도시인근의 워터파크는 붐비기 마련이다. 진정한 바캉스족이라면 좀 더 많은 짐을 싼다. 그래서 떠난다. 더 멀리, 더 나은 환경, 더 나은 서비스를 위해서. 중국의 유명 워터파크들 살펴봤다. 1. 长隆水上乐园(광저우 창충리조트) 국가 5A급 관광지인 광저우 창룽리조트 내에 위치한 전국 유명 워터파크로, 내부에 슈퍼스피커, 스피드스케이팅, 슈퍼스케이트보드 등 다양한 물놀이 설비를 갖추고 있어 2013년부터 2018년까지 6년 연속 세계 1위, 6년 연속 세계 최고의 20개 워터파크 차트에 이름을 올렸다. 2. 芜湖方特水上乐园 (우후팡트 워터파크) 우후팡트 워터파크는 수경뿐만 아니라 수상활동을 주제로 한 화동지역의 큰 워터테마파크이며, 내부는 그랜드스피커존, 조랑존, 키즈존, 카니발존 등 8개의 테마존으로 구성되어 있고 파도를 느낄 수 있으며, 해변의 멋을 즐길 수 있는 낭만을 즐길 수 있는 중국 최고의 워터파크 중 하나이다. 3. 武汉玛雅
산업생태계에서 가전은 가장 중요한 단계다. 가전 산업이 성장하고, 이어 각종 첨단 전자 제품들의 생산이 가능해진다. 가전이 바로 가장 보편적인 소비자와 접점이기 때문이다. 간단히 안방의 TV를 어느 브랜드로 쓰는 순간, 왠만한 소비자들은 비슷한 브랜드로 청소기 등 기타 생활가전을 쓰게 된다. 하지만 생활 속의 수많은 가전 종류를 한 브랜드가 다 생산하기란 불가능하다. 결국 수백종의 브랜드들이 경쟁을 하고 살아 남은 자가 스테디 브랜드로 자리 잡게 된다. 생활가전은 그 만큼 치열한 정글이다. 전자제품 시장의 정글인 셈이다. 세계에서 한 때 일본 브랜드들이 생활가전의 모든 분야에서 강세를 보였다. 필립 등 유럽의 전통 가전은 디자인으로 고급 브랜드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일본 브래드 천하에서도 살아남았다. 그 틈을 한국의 삼성과 LG가 가성비로 도전장을 냈고, 결국 제품의 질과 성능으로 일본 브랜드들을 격파해내 갔다. 지금은 삼성과 LG 생활가전은 세계 주요 브랜드로 자리잡았다. TV분야에서는 거의 독보적이다. 조만간 TV는 스마트폰과 연결되는 새로운 디스플레이로 자리잡게 될 것이다. 이런 생활가전 생태계에 과거 한국이 그랬듯 중국 브랜드들이 가성비로 도전을 해
여름이다. 해변의 계절이다. 중국은 땅이 넓어 유명 해안도 많다. 발해만부터 하이난섬의 남국 경치가 멋드러진 해안도 있어 여름철 젊은 연인들을 유혹하고 있다. 발해와 동해(한국 입장에서 서해)를 이어지는 긴 해안은 고운 모래가 펼쳐져 푸른 바다와 함께 한여름의 풍경화를 만들어 내고 있다. 중국에서도 인기를 끄는 해안가를 살펴봤다. 1. 红海滩(홍해변) 습지생태관광지구에 속하는 홍해변은 습지자원을 바탕으로 갈대밭을 배경으로 푸른 물결이 펼쳐진 갈대바다를 특징으로 한다. 수만 마리의 물새와 끝없이 펼쳐진 얕은 갯벌, 그리고 많은 붉은 알칼리성 빽빽한 풀들이 있어 자연환경과 인문경관이 잘 어우러진 순수한 녹색 생태관광시스템이 되어 붉은 봄의 자연경관을 자랑한다. 2. 茂名市浪漫海岸景区 (무명시 낭만해안관광지) 무명시 낭만해안관광지는 무명시 전백구 보가진 용두산 첨강관리구역 바닷가에 위치하고 있으며, 관광, 레저휴가, 해산물, 해상오락, 비즈니스 미팅, 웨딩 페스티벌 등이 어우러진 해변 휴양지이다. 마오밍 낭만해안국제관광리조트는 동남아시아의 이국적인 건축양식과 낭만적인 테마문화가 특징인 5.3㎞의 해안선을 끼고 바다를 끼고 있어 코코넛숲, 실버비치, 암초, 어항 등
'알리바바 클라우드 세계 2위' 중국판 아마존, 알리바바가 만든 클라우드 서비스와 AI(인공지능) 서비스가 세계 2위 수준으로 판정을 받았다. 중국 평가 기관이 아닌 미국 평가 기관의 판정이다. 1위는 미국의 구글이다. 중국이 AI분야에서 미국과 선두 다툼까지 하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중국의 IT기술 굴기가 무섭게 성과를 내고 있는 것이다. IT기술 수준, 특히 AI, 메타버스, 블록체인 등은 4차 산업 혁명 시대 국가별 경쟁력의 최고 척도다. 이 경쟁력을 어느 수준으로 갖췄느냐가 4차 산업 혁명이후의 시대 그 나라의 수준을 판가르름하게 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최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미국의 시장조사 및 컨설팅 회사 가트너(Gartner)가 구글, 알리바바, 아마존 등의 AI 서비스를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했다. 평가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평가 항목 중 언어AI 영역에서 알리바바가 전 세계 2위를 차지했다. 또한 보고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이 AI 연구개발의 문턱을 낮출 수 있는 중요한 기술이며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가 AI 연구의 중심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즉 클라우드 컴퓨팅이 미래 AI 발전의 핵심기술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구체적인 순위를 살펴보면
세계 치킨 요리는 한국이 석권한 지 오래다. 덥기로 유명한 중동에도 닭튀김 요리를 선보여 인기를 끌고 있는 게 한국이다. 한국 드라마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치맥'(치킨에 맥주)가 그 인기의 비결이다. 세계적인 한류 붐과 함께 세계 곳곳으로 치맥을 알리고 있다. 중국도 다르지 않다. 한국의 영향으로 치맥이 인기다. 닭튀김 요리도 인기다. 스낵이면서도 한끼를 충분히 가족과 친구들과 즐길 수 있다는 게 특징이다. 중국에서 공전의 인기를 끌었던 한국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가 치맥의 인기에 불을 붙였다는 게 지금까지의 정설이다. 요즘은 중국 자체 브랜드들도 많이 나와, 중국 내의 치맥의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중국에서 인기를 끄는 치킨 브랜드를 살펴봤다. 1. 슝자한스닭튀김 熊家韩式炸鸡 중국 허베이성 목총외식관리유한공사 산하 브랜드로 베이징-톈진-허베이성 지역 한국식 치킨 브랜드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 커우수이닭스테이크 口水鸡排 정저우후더외식관리유한공사가 심혈을 기울여 만든 복합 마이크로 스낵 브랜드다. 회사는 외식 가맹과 인터넷 마케팅의 풍부한 운영 노하우를 갖추고 있다. 3. 비펑커닭튀김햄버거 必丰客炸鸡汉堡 새로운 삶의 맛을 즐기는 브랜드
'8392개' 뉴욕, 홍콩, 상하이, 베이징 등 중국을 포함해 세계 16개 주요 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숫자다. 1만개를 육박하고 있다. 적지 않은 기업이 '유니콘' 기업이다. 중국의 기업가 정신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다. 사실 자본주의가 기업이 활동하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는 시스템인 이유는 업적에 대한 분명한 보상 덕이다. 사회주의 체제 속의 시장이라고 해도 철저한 보상이 이뤄지면 기업이 성장할 수 있고, 성장을 토대로 해외로 뻗어나가 성공을 일궈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번 통계는 최근 중국의 21데이터뉴스실험실(21数据新闻实验室)의 집계로 이뤄졌다. 매체 분석에 따르면 2022년 6월 30일 기준, 중국 상장사의 개수는 총 8392개이다. 이는 작년 연말보다 116개가 증가했고, 상위 10개 업체의 시가총액은 13조 위안(약 2500조 원 )을 넘는다. 중국 상장기업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텐센트홀딩스 3위, TSMC 3위, 귀주모태주 4위, 알리바바 5위, 텐센트 1위와 2위는 차례대로 텐센트홀딩스와 TSMC가 차지했다. 작년에 비해 Top 20의 변동이 뚜렷하며, Top 10 중 7개의 회사의 상반기 성
자산규모 세계 1위는 중국의 공상은행, 2위는 중국건설은행, 3위는 중국농업은행이 차지했다. 세계 은행 자산 금은동 메달을 모두 중국이 거머쥔 것이다. 이 같은 현상은 벌써 5년째다. 여기에 4위 중국은행, 10위 교통은행까지 합치면 10대 은행의 절반은 중국 은행이다. 영국의 유명한 금융전문지 '더 뱅커'의 분석이다. 최근 더 뱅커는 세계 은행 순위TOP1000을 발표했다. 세계 1000개 은행의 순자산 총액은 더 뱅커가 은행 TOP1000 순위를 발표한 역사상 처음으로 10조 달러를 돌파했다. 이는 세계은행 체계의 자본화 정도가 역사상 가장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은행은 각국 정부가 찍어낸 돈을 보관해 다시 실물경제로 돌려주는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정부가 찍어낸 돈이 실물과 교환되기 전에 보관되는 곳이다. 이들 은행의 자산이 늘었다는 것은 그만큼 세계 각국의 유동성이 늘었다는 의미다. 세계 은행들 가운데 중국 주요 은행들의 약진 무섭다. 중국의 자본이 그만큼 풍성해졌다는 의미다. 올해는 10위 권에 교통은행까지 합류하면서 역대 처음으로 중국 은행들이 10위 은행의 절반을 차지하게 됐다. 1926년에 창립된 잡지 The Banker는 영국 파이낸셜 타임즈
화웨이가 지난 5월까지 중국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의 견제로 궁지에 몰린 화웨이는 현재 중국 당국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으면서 여전히 높은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 화웨이의 선전이 언제까지 이뤄질지, 미중갈등을 바라보는 또 다른 지표다. 최근 중국 상하이의 시장조사업체 시노리서치(CINNO Research)는 2022년 5월 중국 스마트폰 시장 판매량을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5월 중국 스마트폰 판매량은 1912만 대로 작년 동기 대비 19.7% 하락, 전월 대비 8.6% 증가했다. 중국 스마트 폰 시장이 성숙해주고 있음을 보여준다. 사실 이제 중국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않는 이는 거의 없다. 보통 2,3년을 주기로 교환을 시작하는 게 성숙된 스마트폰 시장의 모습인데, 중국은 이미 성숙단계에 들어선 것이다. 판매량 순위는 다음과 같다. 1. Honor(荣耀) 판매량 320만 대로 작년 동기 대비 70.9% 증가, 전월 대비 10.5% 증가했다. 2. OPPO 판매량 약 320만 대로 작년 동기 대비 40.5% 하락, 전월 대비 10.3% 증가했다. 3~5위는 순서대로 비보(vivo), 애플(Apple), 샤오미(Xiaomi)가 차지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