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공장 중국, 괜히 나온 말이 아니다. 광둥성을 중심으로 한 중국의 수많은 제조업체들이 소비재 등 각종 제품을 세상에 쏟아낸다. 그들이 있어 세계 각국이 과잉 유동성 공급 정책으로 불황에 대응해도 물가가 안정된다. 중국 제조업체들이 공급된 유동성만큼 싸게 내놓은 각종 제품들이 물가를 잡아주는 덕이다. 제조업의 말단인 소비재는 물론이고, 중간재라 할 수 있는 각종 장비분야도 마찬가지다. 중국에 공장을 세운 많은 외국 업체들이 값싼 장비를 내놔 글로벌 생산망에 뿌린다. 이 같은 공급망 구조는 중국이 자국 기업들을 지원하면서 틈이 생겼다. 서구 주요 회사들이 중국에서 생산해 본국에서 소비하는 구조, 즉 이래저래 서구는 큰 돈을 버는 구조였는데 중국이 이 같은 서구 기업의 자리를 자국 기업들로 대체하면서 틈이 벌어지기 시작했다. 서구가 돈을 벌어 소비하는 나라에서 소비만 하는 나라로 전락하는 탓이다. 중국은 도광양회(숨어서 빛을 키움)의 방식으로 서구 선진 기술을 따라 잡아 자신들의 기술로, 자신들이 생산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거의 모든 산업에서 이 같은 변화가 생기고 있고, 경각심을 품은 미국과 유럽은 조금씩 중국에 거리를 두기 시작한 상태다. 장비제조
'13개의 국제습지도시' 중국이 최근 국제습지 도시에 7곳을 새롭게 등재시켰다. 유엔은 습지 보전을 위해 국제 습지지역의 선정하고 있다. 최근 중국 국가임업초원국에 따르면 중국은 7개의 도시가 국제습지도시로 새로 인정받았다고 밝혔다. 이로써 중국의 국제습지도시는 현재 모두 13개가 됐다. 세계 1위 기록이다. 현재 세계 43개 도시가 국제 습지도시로 인증돼 보존되고 있다. 국제습지도시는 습지협약에서 정한 절차와 요구에 따라 각 당사국이 지명하고 습지협약 상임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국제습지도시' 인증서를 수여하는 도시이다. 국제습지도시 인증사업을 전개하는 것은 전 세계적으로 도시습지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혁신적인 조치다. 각국 정부부처와 사회 각계의 습지보전의식을 제고하고 도시와 습지의 조화로운 공생이념을 제창하며 도시발전과 습지보호를 깊이 융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 도시가 처음 국제습지도시로 선정된 해는 2018년이다. 제13차 습지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6개 도시가 이름을 올렸다. 이후 이번 2차 발표를 통해 중국 도시들은 대거 국제습지도시 명단에 포함된 것이다. 최근 발표된 2차 국제습지도시 명단에는 허페이, 지닝, 량핑, 난창, 판진, 우한, 옌청
최근 미국 경제지 포춘이 2022년 중국 500대 기업 목록을 발표했다. 올해 Top 3 기업은 작년과 동일하다. 모두가 국유기업이다. 중국은 경제는 여전히 국유기업이 상위를 차지하는 구조인 것이다. 상위 기업의 순서에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500대 기업 목록에는 몇가지 변화가 눈에 띄었다. 신에너지 기업의 약진이 있었다. 신에너지 등 지속 가능한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의 약진은 세계적인 추세다. 다음은 상위 3위 기업 목록이다. 1위 중국석유화공고분유한공사 2위 중국석유천연기고분유한공사 3위 중국건축고분유한공사 중국평안보험(집단)고분유한공사가 4위로, 국영기업이 아닌 기업 중 1위이다. 민영기업인 경동집단고분유한공사와 알리바바집단공고유한공사의 순위는 모두 올랐다. 징둥은 7위로 오르며 처음으로 10위권 안에 들었고, 알리바바는 11위를 기록했다. 신에너지차 영역에서는 NIO자동차와 리샹자동차가 처음으로 명단에 오르며 344위와 427위를 차지했다. 신에너지 기업은 최근 각국에서 그 순위가 오르는 중이다. 세계적인 추세가 중국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순이익 부분에서는 상위 기업 중 은행과 보험회사 6개를 제외하고 텐센트가 2248억 위안으로 4위를 기록했
장마와 무더위가 한반도를 엄습하고 있다. 비가 오면 습도가 높아지고, 그 높은 습도의 도시를 무더위가 덮치면 도심은 눅눅한 찜통이 된다. 불쾌지수가 극에 달한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땅 넓은 게 자랑인 중국이다. 중국은 곳곳에는 지형적 특성으로 이 같은 높은 습도의 무더위를 잊고 사는 도시들이 있다. 중국에서 여름철 평균기온이 낮기로 유명한 도시들을 살펴봤다. 1위 시닝은 칭하이성의 성도다. 여름철 평균 기온이 17℃ 안밖에 그친다. 이 정도 날씨면 초봄이나 초가을의 기온이다. 사시사철 가운데 사람에게 가장 쾌적하다는 날씨다. 1. 西宁(시닝) 칭하이성의 성도인 시닝은 중국에서 ‘여름의 수도’로 불린다. 여름철 평균기온이 17℃로 가을 날씨처럼 선선해 이상적인 피서지로 꼽힌다. 한여름에도 에어컨이 필요 없는 도시로 알려져 있다. 2. 拉萨 (라싸) 티베트자치구의 라싸는 해발고도 3500m 이상의 고원지대에 위치해 여름에도 덥지 않고 쾌적하다. 햇볕이 내리쬐는 낮에도 바람이 불면 시원하게 느껴져 굳이 그늘을 찾지 않아도 될 정도다. 3. 呼和浩特 (후허하호터) 후허하오터는 내몽골의 수도이다. 6월 평균기온이 10℃ 정도이다. 가장 더운 7월의 최고 기온
철의 시대는 지고 있지만, 여전히 세상에서 가장 귀한 물질 중 하나다. 세상의 거의 모든 건축물에 철이 들어간다. 여전히 철이 없으면 세상은 지금과 같은 모습을 갖추기 힘들다. 탄소가 수많은 가공물을 통해 철의 위치를 위협하고 있지만 철이 없으면 세상도 없다. 영국 브랜드 평가업체 브랜드 파이낸스(Brand Finance)가 '2022년 세계 철강 브랜드 가치 Top 50'를 발표했다. 브랜드 가치가 발표되긴 이번이 처음이다. 여기서 브랜드 가치는 브랜드 소유자가 시장에서 브랜드를 허가함으로써 얻는 순 경제적 이득으로 산정했다. 순위는 다음과 같다. (브랜드 가치/연 성장률) 1위 BHP(영국), 73.80억 달러/+48.1% 2위 GLENCORE(스위스), 48.44억 달러/+9.3% 3위 포스코(한국), 44.75억 달러/+52.6% 4위 ArcelorMittal(룩셈부르크), 40.35억 달러/+8.1% 5위 Rio Tinto(오스트레일리아), 33.35억 달러/+9.7% 6위 Nippon Steel(일본), 33.33억 달러/+5.9% 7위 BAOWU(중국), 27.09억 달러/+18.5% 8위 Vale(브라질), 25.56억 달러/+14.7% 9위
최근 중국의 지역별 자동차 보유차량 수가 공개됐다. 성(省) 가운데 산둥성이 주민의 자동차 보유 비율이 가장 높았다. 주민들 두 명 중 한 명은 차량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당 자동차 보유수는 선진국 사회의 한 지표다. 선진국일수록 가구당 자동차 보유수가 높다. 대략 2대 꼴이다. 아직 중국은 가구당 자동차 보유수가 1대에 크게 못미친다. 그래서 아직 자동차 보유 가구 비중을 본다. 그 비중에 따르면 산둥성이 51%가량으로 중국 전역에서 가장 높았다. 저장성이 50%로 그 뒤를 이었다. 단순히 지역별 자동차 보유수를 따지면 역시 1위는 산둥, 대신 2위는 광둥 지역이었다. 사실 아직 자동차 문화가 선진국에 크게 못미치지만 중국은 소비 규모가 워낙 커서 자동차 시장만 해도 세계 최대 규모다.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급속히 위축된 글로벌 자동차 산업을 먹여 살린 게 바로 중국이다. 중국인들이 차량을 구입하기 시작하면서 세계 주요 자동차 회사들의 수익이 반전됐다. 최근에 중국은 전기차 시장의 큰 손으로 떠오르고 있다. 일론 머스크의 테슬라가 가장 많은 돈을 버는 곳이 바로 중국이다. 다음은 중국의 지역별 자동차 보유 비중 순서다. 1. 산둥성 175만
코로나19 팬데믹은 인류사의 가장 결정적인 팬데믹이 될 전망이다. IT기술이 전 산업에 접목되는 4차 산업 혁명 시기에 등장해 일상의 온라인화를 강화했고, 전 산업에 언택트 문화를 시험하도록 했기 때문이다. 사람들의 생활 속에 '자가격리'는 순식간에 가장 많이 접하는 단어가 됐다. 집에서 운동하고, 집에서 일하며, 집에서 여가를 보내는 등 집에서 하는 모든 게 인기를 끌었다. 집에서 온라인으로 사람을 접하고 혼자 생활하면서 '이중성'도 늘었다. 온라인 화상 카메라 시각의 편협성을 최대한 활용하고, 자기를 비추는 화면을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점을 최대한 이용한 것이 이 이중성이다. 예컨대 아래는 반바지, 위는 정장을 하는 식이다. 겉으로는 웃지만 다른 이와 열린 카카오톡 창에서는 욕을 하는 식이다. 어쩌다 들키면 "넌 안 그래?"하는 뻔뻔함도 갖추기 시작했다. 인간 사회를 더욱 복잡하고 어렵게 만든 것이다. 변화는 모든 크고 작은 웅덩이를 다 채우고 나야 바다로 흐르는 강물처럼 영향을 주지 않은 곳이 없다. 위에 언급한 심도 깊은 변화는 차치하더라도 당장 사람들이 입는 옷에도 코로나19 팬데믹은 크고 작은 영향을 줬다. 코로나19로 인해 캐주얼 패션에
여름, 물놀이의 계절이다. 과거 중국에서 바캉스는 사치였으나, 최근은 완전히 달라졌다. 도시인들의 생활 기본이 된 지 오래다. 베이징 등 곳곳에서는 워터파크가 만들어 업무와 여름 무더위에 지친 도시민들을 유혹하고 있다. 하지만 도시인근의 워터파크는 붐비기 마련이다. 진정한 바캉스족이라면 좀 더 많은 짐을 싼다. 그래서 떠난다. 더 멀리, 더 나은 환경, 더 나은 서비스를 위해서. 중국의 유명 워터파크들 살펴봤다. 1. 长隆水上乐园(광저우 창충리조트) 국가 5A급 관광지인 광저우 창룽리조트 내에 위치한 전국 유명 워터파크로, 내부에 슈퍼스피커, 스피드스케이팅, 슈퍼스케이트보드 등 다양한 물놀이 설비를 갖추고 있어 2013년부터 2018년까지 6년 연속 세계 1위, 6년 연속 세계 최고의 20개 워터파크 차트에 이름을 올렸다. 2. 芜湖方特水上乐园 (우후팡트 워터파크) 우후팡트 워터파크는 수경뿐만 아니라 수상활동을 주제로 한 화동지역의 큰 워터테마파크이며, 내부는 그랜드스피커존, 조랑존, 키즈존, 카니발존 등 8개의 테마존으로 구성되어 있고 파도를 느낄 수 있으며, 해변의 멋을 즐길 수 있는 낭만을 즐길 수 있는 중국 최고의 워터파크 중 하나이다. 3. 武汉玛雅
산업생태계에서 가전은 가장 중요한 단계다. 가전 산업이 성장하고, 이어 각종 첨단 전자 제품들의 생산이 가능해진다. 가전이 바로 가장 보편적인 소비자와 접점이기 때문이다. 간단히 안방의 TV를 어느 브랜드로 쓰는 순간, 왠만한 소비자들은 비슷한 브랜드로 청소기 등 기타 생활가전을 쓰게 된다. 하지만 생활 속의 수많은 가전 종류를 한 브랜드가 다 생산하기란 불가능하다. 결국 수백종의 브랜드들이 경쟁을 하고 살아 남은 자가 스테디 브랜드로 자리 잡게 된다. 생활가전은 그 만큼 치열한 정글이다. 전자제품 시장의 정글인 셈이다. 세계에서 한 때 일본 브랜드들이 생활가전의 모든 분야에서 강세를 보였다. 필립 등 유럽의 전통 가전은 디자인으로 고급 브랜드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일본 브래드 천하에서도 살아남았다. 그 틈을 한국의 삼성과 LG가 가성비로 도전장을 냈고, 결국 제품의 질과 성능으로 일본 브랜드들을 격파해내 갔다. 지금은 삼성과 LG 생활가전은 세계 주요 브랜드로 자리잡았다. TV분야에서는 거의 독보적이다. 조만간 TV는 스마트폰과 연결되는 새로운 디스플레이로 자리잡게 될 것이다. 이런 생활가전 생태계에 과거 한국이 그랬듯 중국 브랜드들이 가성비로 도전을 해
여름이다. 해변의 계절이다. 중국은 땅이 넓어 유명 해안도 많다. 발해만부터 하이난섬의 남국 경치가 멋드러진 해안도 있어 여름철 젊은 연인들을 유혹하고 있다. 발해와 동해(한국 입장에서 서해)를 이어지는 긴 해안은 고운 모래가 펼쳐져 푸른 바다와 함께 한여름의 풍경화를 만들어 내고 있다. 중국에서도 인기를 끄는 해안가를 살펴봤다. 1. 红海滩(홍해변) 습지생태관광지구에 속하는 홍해변은 습지자원을 바탕으로 갈대밭을 배경으로 푸른 물결이 펼쳐진 갈대바다를 특징으로 한다. 수만 마리의 물새와 끝없이 펼쳐진 얕은 갯벌, 그리고 많은 붉은 알칼리성 빽빽한 풀들이 있어 자연환경과 인문경관이 잘 어우러진 순수한 녹색 생태관광시스템이 되어 붉은 봄의 자연경관을 자랑한다. 2. 茂名市浪漫海岸景区 (무명시 낭만해안관광지) 무명시 낭만해안관광지는 무명시 전백구 보가진 용두산 첨강관리구역 바닷가에 위치하고 있으며, 관광, 레저휴가, 해산물, 해상오락, 비즈니스 미팅, 웨딩 페스티벌 등이 어우러진 해변 휴양지이다. 마오밍 낭만해안국제관광리조트는 동남아시아의 이국적인 건축양식과 낭만적인 테마문화가 특징인 5.3㎞의 해안선을 끼고 바다를 끼고 있어 코코넛숲, 실버비치, 암초, 어항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