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여름에 중국에서 가장 시원한 도시 Top 5

장마와 무더위가 한반도를 엄습하고 있다.

비가 오면  습도가 높아지고, 그 높은 습도의 도시를 무더위가 덮치면 도심은 눅눅한 찜통이 된다. 불쾌지수가 극에 달한다.

중국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땅 넓은 게 자랑인 중국이다. 

중국은 곳곳에는 지형적 특성으로 이 같은 높은 습도의 무더위를 잊고 사는 도시들이 있다. 

중국에서 여름철 평균기온이 낮기로 유명한 도시들을 살펴봤다.

1위 시닝은 칭하이성의 성도다. 여름철 평균 기온이 17℃ 안밖에 그친다. 이 정도 날씨면 초봄이나 초가을의 기온이다. 사시사철 가운데 사람에게 가장 쾌적하다는 날씨다. 

 

1. 西宁(시닝)

칭하이성의 성도인 시닝은 중국에서 ‘여름의 수도’로 불린다. 여름철 평균기온이 17℃로 가을 날씨처럼 선선해 이상적인 피서지로 꼽힌다. 한여름에도 에어컨이 필요 없는 도시로 알려져 있다.

 

2. 拉萨 (라싸)

티베트자치구의 라싸는 해발고도 3500m 이상의 고원지대에 위치해 여름에도 덥지 않고 쾌적하다. 햇볕이 내리쬐는 낮에도 바람이 불면 시원하게 느껴져 굳이 그늘을 찾지 않아도 될 정도다.

 

3. 呼和浩特 (후허하호터)

후허하오터는 내몽골의 수도이다. 6월 평균기온이 10℃ 정도이다. 가장 더운 7월의 최고 기온도 30℃를 넘지 않는다. 단, 여름철에도 밤에는 기온이 10℃까지 내려가 일교차가 매우 크다.

 

4. 包头 (바오터우)

내몽골의 경제 도시인 바오터우는 녹화 면적이 방대해 가장 시원한 도시 반열에 올랐다. 7월의 평균기온이 23℃로 베이징보다 훨씬 덜 덥게 느껴진다.

 

5. 哈尔滨 (하얼빈)

중국 최북단 헤이룽장성의 성도인 하얼빈은 겨울에는 매우 춥지만 여름에는 시원한 편이다. 7월 평균기온이 20℃로 에어컨을 켤 필요가 없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