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관영 대표신문인 글로벌타임스가,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미국의 코로나19사태가 바이든 새 행정부의 백신접종일정이 조금만 차질을 빚게 된다면 , 대량감염과 사망자발생이 내년 2022년까지 연장될 수 있다며 우려를 표명했다. 글로벌타임스가 가장 문제로 지적한 것은, 미국시민들이 바이든행정부의 의무접종명령을 거부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이 신문은 그 실례로, 이전부터 실시해온 독감예방백신의 접종률도 50%을 넘지 않고 있는 현실을 예로 들면서, 이번 미국인들에게 접종하려는 모더나와 화이자의 백신들이 모두, 기존 독감백신의 예방률을 크게 믿도는 데다가 , 사망등 부작용사례가 속속 보고되면서, 미국민들이 접종을 거부하는 사례가 크게 증가할 수 있다고 전망한 것이다. 즉 바이든 새 행정부가 접종하려는 코로나19 백신이, 독감백신보다 예방률도 낮고 부작용가능성은 높은 상황에서 , 어떻게 독감백신접종율 50% 보다 더 많이 접종할 수 있겠는가하는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다. 더군다나 글로벌 타임스는, 미국 화이자가 생산한 백신이 생성한다고 하는 코로나19 항체가 언제까지 체내에서 유지될 수 있는지에 대한 통계도 없다는 미 예일대학교의 천시 교수의 발언을 인용하면서,
사업과 장사의 역사가 오래된 중국엔, '자이샹 옌샹 ( 在商 言商 ) '이란 속담이 있다. 즉 '시장에서는 장사얘기만 한다 ' 는 말로, 장사나 사업하는 사람들은 이익만 볼 뿐, 다른 사정은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 는 뜻의 오랜 경험을 담은 말이다. 중국의 주요 관영매체중 하나인 중궈 르빠오 ( 中国日报 / 중국일보 ) 는 오늘 17일자 신문에서, 미 트럼프행정부가 군사상의 이유등을 명분으로 그동안 , 중국의 유력기업들과 뉴욕증권시장에 상장된 중국의 대표기업들의 퇴출을 강제하고 있지만, 미국 기업가들과 미국시장은 여전히 중국기업을 원하고 있다고 전하면서, 자이샹 옌샹 ( 在商 言商 ) '이란 속담을 인용했다. 이 신문은, 미국의 미·중 무역전국위원회의 연구보고서가 미국경제에 있어서 중국과 중국기업의 존재가 매우 중요하다는 옥스퍼드경제연구원의 보고서를 발표했고, 이 보고서는 미국의원등 많은 미국지도자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이 신문이 인용한 옥스포드 경제연구원의 보고서는, 그동안 미국 트럼프가 중국과 무역전쟁을 시작한 이후 미국에서 약 24만 5천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고 지적하고, 지금이라도 그동안 올렸던 관세장벽을 완화하면 14만 5천개의 새로운 일
지난해 마지막 날을 하루 남겨둔 12월 30일 중국에게 매우 반가운 희소식이 하나 유럽에서 전해졌다. 즉 유럽연합의장국과 주요나라가 중국과의 전면적인 투자협정을 체결할 것을 전 회원국의 의무사항격으로 격상시킨다는 합의에 도달했다는 소식이었다. 여기에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오늘, 다음 달 2월 12일 춘지에 (중국 음력설) )연휴 이전에 유럽연합의 회원국가와 동 유럽국가 17개국과 중국이 베이징에서 정상회담을 갖게 될 것이라고 특종으로 보도했다. 중국의 음력설인 춘지에는 다음달 12일인데, 그 하루전인 11일부터 1주일간의 장기휴일이 선포돼 있기 때문에 , 적어도 10일까지는 회의일정을 모두 마쳐야 한다. 이틀일정으로 회의를 치룬다 하면 아무리 늦어도 9일 날에는 개막을 해야하는데 회의준비에 여유가 그렇게 많은 것이 아닌 상황이다. 이번 회의는 그러나 코로나19로 오프라인행사로 열리지 않고 모두 화상회의로 개최될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과 유럽연합 그리고 동유럽 국가들은 예년에도 매년 유럽 17개국과 중국간의 회의가 개최되어 왔으나 지난해 2020년 4월에 개최가 예정됐던 회의는 코로나19로 아예 취소되기도 했었다. 중국은 특히, 바이든으로
미국의 트럼프행정부는 오는 20일 (현지시각) 바이든 대통령 취임식을 앞두고 이제 엿새를 남겨두고 있지만, 트럼프가 임명한 주요 공직자들은 막판까지 아무 의미없는 중국흔들기 쇼를 이어가고 있다고 중국외교부와 매체들도 역시 미국비난을 이어가고 있다. 중국외교부와 매체들에 따르면, 미국의 주 유엔대사인 켈리 크래프트가 미국현지시간으로 13일, 타이완의 차이잉원 총통과 전화통화를 하면서, 심각한 중국의 내정간섭을 감행하고 있다고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다. 외신들에 따르면 주 유엔 켈리 미국대사는 이 날 자신의 트위터에, 타이완총통과 전화통화를 한 사실을 공개하며, 대만은 언제까지나 미국과 함께 할 것이라는 내용을 교환했다고 밝힌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중국 외교부 자오리젠 대변인은 오늘 오후 정례브리핑에서, 반복적으로 도발하는 미국의 중국 내정간섭행위는 , 중국과 미국간의 합의를 위반한 것 뿐만 아니라, 하나의 중국원칙을 훼손하는 것이라고 강력하게 경고하는 논평을 발표했다. 현재 타이완은 유엔 회원국도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타이완은 미국이 중국과 수교협상을 시작한 1971년에 이미 유엔을 탈퇴했고 미국도 이후 타이완과 어떠한 공식적인 외교관계를 맺고 있지 않고
지난 4년동안 트럼프의 일장적인 대중무역공세에 노심초사했던 중국이 바이든시대를 맞아 대미설욕을 위해, 오늘 중국내 세계통상문제의 백전노장을 대외무역협상 책임자로 발탁했다. 시진핑주석은 지난달 말, 코로나19 정국을 정면돌파하기위해 내세운 쌍순환 경제( 내수경제와 대외경제)의 성공을 위해 2007년 상하이 시장때의 푸동신구개발을 맡겼던 오랜 심복을 상무부장에 전격 발탁한 바 있다. 중국경제왕과 신화사등 주요매체들은 오늘 늦게 , 신임 상무부장보다 5살이나 많은 세계통상전문가인 위지엔화 ( 兪建华)가, 대미무역분쟁을 해결하는 동시에 세계 각국과의 치열한 무역전쟁의 최고책임자로 임명됐다고 주요뉴스로 보도했다. 시 주석의 심복인 상무부장 아래 바로 2인자이며 상무부 부부장을 겸하는 자리다. 그동안 연공서열를 중시해온 관행을 깨고 부장(장관)보다 나이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대 서방 무역파도를 헤쳐나갈 선장으로 발탁한 것은, 절실한 현실을 반증한다고 여겨진다. 주요매체들이 오늘 주요뉴스로 보도한 위젠화의 정식 보직명칭은, 국제무역담판대표 ( 国际贸易谈判代表 ) 이다. 하지만 직급은 정부장급 ( 正部长级 ) 즉 장관급으로 보임했다. 중국의 새로운 장관급 국제무역담판대표 (
미국의 정권교체로 인한 혼란으로 인한 공백기에, 중국 외교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중국외교부 왕이 (王毅)부장이 지난 31년 째 일관되게 새해 첫 중국의 외교순방길로 이어온 아프리카 국가 4개국 순방일정 ( 1월 4일- 9일 ) 을 마치자 마자, 동남아국가 4개국 순방 ( 1월 11일- 16일 )을 이어갔다. 중국은 올해 31년째 새해 첫 외교무대로 아프리카의 각국을 방문하는 일정을 고수해 왔다. 31년전 새해 첫 외교지역으로 매년 아프리카를 선정했던 1990년만 해도 중국의 경제발전의 여부가 지금처럼 확실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매년 새해 첫 방문지로 아프리카를 고수해온 중국외교의 근간은 약 2,500년 전부터의 중국대륙의 합종연횡의 지혜을 바탕으로 국가간 외교의 중요성을 세계적으로 실천하는 것일 수 있다. 중국외교부는 왕이부장이 11일 미얀마 방문을 시작으로 동남아 4개국 순방외교을 시작한다고 발표하면서, 전통적인 우방인 미얀마의 아웅산 수치 국가 고문을 만나 경제 협력을 비롯해 백신제공등에 관한 회의를 가졌다고 전했다. 왕이 부장은 이번 동남아 4개국 순방동안 미얀마을 비롯해 인도네시아와 브루나이 그리고 필리핀을 방문해 정상
트럼프압박에 견디다 못한 지난해 11월 화웨이가 매각했던 아너( 荣耀 / HONOR)브랜드의 중저가핸드폰이 다시 , 미국 퀄컴사의 5G 모바일 칩을 수입할 수 있게 됐다는 보도가 나왔다.. 중국의 경제전문지 차이신은 , 화웨이의 아너브랜드를 매입한 선쩐시의 자회사가 미국 퀄컴측과의 협상에서 성공해, 휴대폰제작에 필요한 관련 반도체 칩을 공급받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이 신문은 이에 따라, 아너 브랜드의 중저가 휴대폰이 오는 5월부터 시장에 나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혔다. 아너 브랜드는, 화웨이의 런정페이 회장이 스마트폰 초창기에 심혈을 기울려 출시한 중 저가 스마트폰으로, 수많은 중국인 소비자들에게는 자신의 첫 스마트폰으로의 감동이 역력한 그런한 이름이다. 말하자면 중국의 스마트폰 국민브랜드라는 포지션을 가진 아너 브랜드는, 트럼프에 압박에 결국 화웨이를 떠나 매각되면서, 다시는 시장에 출현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에 많은 중국인들이 분개했던 그런 상징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당시 미국의 압박에 분개한 중국 소비자들은 사회관계망을 통해, 아너 시리즈가 다시 생산된다면 반드시 다시 구매하겠다면서, 다시 시장에 나올 수 있기를 바라며 큰 응원을 보내기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는 미국의 차기 대통령인 조 바이든의 행정부와 중미 무역협상의 중임을 맡게 될 상무부장 ( 한국의 장관급) 에, 왕 원 타오(王文濤, 56세) 전 헤이룽장성 당서기를 임명했다고 28일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그동안 중미 무역전쟁으로 일컫어지며 중국을 압박했던 트럼프행정부와의 협상을 전담했던 중산(鐘山) 전임 상무부장이 65세 정년으로 퇴임하면서, 그 뒤를 이어 받은 왕 원 타오 신임 상무부장이 바이든 행정부와의 무역협상의 중국측 대표를 맡은 것이다. 중국 국무원의 부장급은 중국 각성의 최고책임자인 성 위원회 서기급과 동일 직급이다. 한국의 내각 장관과 도지사가 과거, 지방자치제가 실시되기 전에 그 급이 같았던 것과 같이, 신임왕 상무부장은 중국 동북 3성 중 하나인 헤이롱지앙 성의 당위원회 서기에서 부장으로 이동한 것이다. 왕 원 타오 신임 상무부장은, 지난 2007년 시진핑 현 주석이 상하이시 당서기로 있을 때, 상하이시의 한 구인 황푸구의 부서기를 맡은 경력을 갖고 있다. 즉 시진핑 주석이 약 10여 년전에, 상하이 시행정을 책임지고 있었을 당시, 두 단계 밑의 직할 관료였다는 말이다. 왕 신임 상무부장은, 상하이 시
트럼프행정부의 대중국 압박에 대리인역할을 했던 영국에서, 거센 대중압박을 저지하는 일선을 담당했던 주영국 중국대사가 10년만에 귀국하는 가운데, 신임 영국대사에 미국통 외교부 부부장이 새로 임명됐다. 영국의 일간 가디언지는 지난 2010년에 주영국대사로 부임해 10년 째 근무중인 류샤오밍 (刘晓明 65세)중국대사가 귀국한다고 보도했다. 류 대사는 지난 2010년까지 북한대사를 4년동안 역임하고, 주 영국대사로 부임한 이후, 통상 중국의 대사근무기간인 4년을 넘겨 10년동안 주영 대사를 수행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었다. 2010년 55세 때 주 영국대사로 부임한 류 대사는 올해 65세로 정년을 맞이해 귀국하고, 신임 주 영국 중국대사에는, 올해 58세인 정쩌광(郑泽光 ) 현 외교부 부부장이 임명될 것으로 알려졌다. 신임 주 영국 중국대사오 임명된 정 외교부 부부장은, 그동안 매년 신임 주 미국대사의 후보 1순위에 오르던 인물인데, 미국으로 부임하기 전에 미국의 맹방인 영국에 근무하게 된 것은, 오히려 측면에서 영어권 5개국 의 정보기관 연합체인 파이브 아이스 ( FIVE EYES )의 상황을 파악하는데 훨씬 유리할 것이라고 중국의 군사외교전문 웨이보들이 분석했다
미국 트럼프행정부의 상무부가, 중국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업체인 SMIC(중신궈지·中芯國際)와 세계 드론시장의 75% 점하고 있는 중국의 드론제작회사 DJI(다장) 테크놀로지를, 매디 무역제재의 대상기업인 블랙리스트에 올렸다고 로이터 통신등이 보도했다. 로이터통신들이 전한 이 들 중국기업들에 대한 블랙리스트 등재는, 지난 2017년부터 4년동안 트럼프의 대 중국 제재의 선봉에 서왔던 미 상무부의 윌버 로스 장관이 직접, 폭스TV 비지니스네트워크에 출연해 밝히는 형식을 갖췄다. 윌버로스 장관은 올해 84세이고 자신의 대기업을 가지고 있는 사업가 출신 상무부장관이다. 다음달 20일 이면 새 대통령 바이든 행정부가 미국의 각종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한다. 그런데 그 한 달을 앞두고 트럼프대통령과 상무부장관이 중국기업을 또 추가로 블랙리스트에 올린 것으로 과연 다음행정부에서 그 실효성이 이어질지도 의문이다. 로이터 통신은 이 날 상무부의 중국기업 2곳의 추가로, 올해 트럼프의 재선 전략차원에서 시작된 중국기업 블랙리스트 추가작업결과 모두 60개의 중국기업이 해당 기업명단에 올랐다고 전했다. 이번에 추가된 2개회사도, 그동안의 제재기업에 대한 명분과 똑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