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미 정부는 중국을 막고 싶을 지 몰라도, 미국인들은 중국기업들을 원한다

 

사업과 장사의 역사가 오래된 중국엔, '자이샹 옌샹 ( 在商 言商 ) '이란 속담이 있다.

 

즉 '시장에서는 장사얘기만 한다 ' 는 말로, 장사나 사업하는 사람들은 이익만 볼 뿐, 다른 사정은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 는 뜻의 오랜 경험을 담은 말이다.

 

중국의 주요 관영매체중 하나인 중궈 르빠오 ( 中国日报 / 중국일보 ) 는 오늘 17일자 신문에서, 미 트럼프행정부가 군사상의 이유등을 명분으로 그동안 , 중국의 유력기업들과 뉴욕증권시장에 상장된 중국의 대표기업들의 퇴출을 강제하고 있지만, 미국 기업가들과 미국시장은 여전히 중국기업을 원하고 있다고 전하면서, 자이샹 옌샹 ( 在商 言商 ) '이란 속담을 인용했다.

 

이 신문은, 미국의 미·중 무역전국위원회의 연구보고서가 미국경제에 있어서 중국과 중국기업의 존재가 매우 중요하다는 옥스퍼드경제연구원의 보고서를 발표했고, 이 보고서는 미국의원등 많은 미국지도자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이 신문이 인용한 옥스포드 경제연구원의 보고서는, 그동안 미국 트럼프가 중국과 무역전쟁을 시작한 이후 미국에서 약 24만 5천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고 지적하고, 지금이라도 그동안 올렸던 관세장벽을 완화하면 14만 5천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현재와 같이 미국이 정치적인 이유로 중국과의 경제협력을 계속 단절할 경우, 내년인 2022년엔 73만 2000명이 실직할 것이며 향후 5년 동안 무려 1조 6000억 달러에 상당하는 실직으로 인한 손실을 입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보고서는 결국 미국은, 2030년까지 세계 경제성장의 약 1/3을 차지하게 될 중국과의 관계정상화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이 연구보고서는,  공료롭게도 지난 14일 미국의 국방부가 중국인민해방군과 관계된 기업이라는 이유로, 중국해양석유를 비롯한 9개의 기업을 추가로 규제명단에 추가하는 명령을 내린 같은 날 발표됐다.

 

 

그러면서 중궈르빠오 ( 中国日报 / 중국일보 ) 는,  트럼프의 명령을 받은 미국 국방부가 뉴욕증권시장에 상장된, 중국이동통신등 중국의 3대 통신사의 상장폐지를 명령하자, 이달 초 NYSE즉 미국증권시장거래위원회가 트럼프의 행정명령을 거부했었던 일을 상기시켰다. 

 

이 신문은 또 지난해 11월 중국상하이에서 개막됐던 제3회 국제수입박람회에서서도, 코로나19 상황속에서도 참가했던 미국측 바이어 숫자가, 참가국중 가장 많은 197개사에 달했고, 또 중국시장에 수출하려는 미국 회사들이 중국시장을 겨냥해 1,373개 이상의 상품을 전시했던 사실을 상기시켰다.

 

중궈르빠오 ( 中国日报 / 중국일보 ) 가 이 기사를 통해 , 중국과 미국과의 경제합작은 두 나라에게 서로에게 이익이 되는 것이며, 미국 트럼프가 진행해온 광기어린 중미간 무역분쟁은 미국 경제계는 물론 미국국민들도 더 이상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곧 소멸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