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 5668억 위안' 한화로 약 287조 7000억 원이다. 지난 2023년 1~11월 중국 인터넷 및 관련 서비스 산업 누적 매출액이다. 전년 동기 대비 6%이상 늘어난 수치다. 중국 인터넷 산업은 인터넷 플랫폼 분야에서만 두각을 나타내는 정도가 아니다. '세계의 공장'으로 유명한 제조업과 맞물려 글로벌 소비재 산업의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 정도로 독보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중국 공업신식화부가 '2023년 1~11월 중국 인터넷 및 관련 서비스 산업 운영 현황 보고서'를 최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지난해 1~11월 규모이상 인터넷 및 관련 서비스 산업 매출은 1조 5668억 위안(약 287조 7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6.1% 증가했으며, 총 이익은 1189억 위안(약 21조 8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5% 증가했다. 중국의 인터넷 발전도 이미 성숙기에 들어선 모양새다. 2% 성장에 그치고 있는 것이다. 다만 인터넷 서비스와 기존 소비재 제조산업의 시너지를 통한 새로운 영역의 발전이 돋보이고 있는 것이다. 서비스 부문별로 살펴보면 2023년 1월부터 11월까지 정보 서비스(뉴스 정보, 검색, 소셜 네트워킹, 게임, 뮤직 비디오 등
중국 신에너지차(전기차, 하이브리드차, 수소연료차) 1위 업체인 비야디(BYD, 比亞迪)의 연간 판매량이 300만대를 돌파했다. 한국 현대차가 연간 390만 대를 판매한다. 기아와 합치면 대략 700만 대 안팎에 이른다. 비야디는 자체 브랜드 비야디 외에 스웨덴의 자동차 브랜드 볼보를 소유하고 있다. 비야디가 어느새 글로벌 시장에서 현대차의 턱밑까지 추격해 온 것이다. 중국 당국의 '내연기관을 뛰어 넘는 자동차 산업 육성 계획'이 갈수록 결실을 맺는 모습이다. 중국에서는 비야디 이외 상하이자동차(SAIC), 베이징자동차(BAIC) 등 유수한 자동차 제조사들이 전기차 생산에서 글로벌 시장을 리드하고 있다. 지난 1일 비야디의 '2023년 12월 생산 및 판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45% 증가한 34만 1043대로 월별 기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 2023년 비야디의 신에너지차 총 판매량은 전년 대비 62.3% 증가한 302만 4417대로 연간 판매 목표인 300만대를 넘어섰다. 차종별로 살펴보면 순수전기차 모델의 판매량이 157만 4800대로 전체 판매량의 52%를 차지해 하이브리드 모델보다 약간 높았다. 특히 비야디는
한국이든 중국이든 전통사회 많은 문제의 원인은 '가부장제도'였다. 하지만 근대화 과정에서 여권은 급속히 신장됐다. 한국의 경우 오히려 남성은 군대를 가는 등의 국가 의무가 있지만, 여성은 그러한 의무도 없으면서 남성과 동등한 권한을 누린다는 반발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중국의 상황도 갈수록 한국과 비슷해지는 모습이다. 고등교육을 받는 남성과 여성의 비율은 최근 들어 균형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처럼 여성들이 사회 곳곳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현상이 조만간 나타날 것이라는 신호인 것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최근 발표한 '중국부녀발전강요(中国妇女发展纲要) 2021-2030'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대학 이상 고등교육을 받고 있는 여성은 2903만 3000명으로 2021년 대비 122만 5000명이 증가해 전체의 50.0%를 차지했다. 대학 학부생과 전문대생 중 여학생은 1831만 2000명과 531만 4000명으로 각각 50.0%와 56.9%를 차지했다. 또 여성 대학원생은 187만 1000명으로 전체 대학원생의 51.2%를 차지했다. 반면 취업 인구 성비에서는 여전히 남성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부녀발전강요 2021-2030'에 따르면 중국의 전
올해 신년 연휴(2023년 12월 30일∼2024년 1월 1일) 동안 중국인들의 여행 수요가 전년 대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산업 침체를 겪고 있는 한국의 입장에서 참으로 아쉬운 소식이다. 여행을 원하는 중국 관광객들이 늘고 있는데, 정작 한국을 찾은 이들은 기대 이하이기 때문이다. 크루즈 관광이 재개됐지만, 방한 규모나 소비 수준을 과거 호황시절에 비할 바가 아니라는 게 여행업계에서 전해지는 소식이다. 2일 중국 문화여유부 발표에 따르면 연휴 3일간 중국내 여행 인원은 1억 3500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5.3%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해도 9.4% 증가한 수치다. 관광 수입은 797억 3000만 위안(약 14조 62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0.7%, 2019년 대비 5.6% 증가했다. 중국 온라인 여행 플랫폼 퉁청(同程) 데이터에 따르면 신년 연휴 동안 퉁청의 호텔숙박, 항공권, 기차표, 관광지 입장권, 차량 이용 등의 예약량이 모두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그 중 관광지 입장권 예약량은 전년 동기 대비 302% 증가했다. 새해 연휴 기간 중국인들의 해외 여행도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한 것으
2024년 새해 벽두부터 중국 제약바이오 업계가 해외 라이선싱 모멘텀을 이어가고 있다. 바이오 산업은 중국이 미래 수종 산업으로 육성하는 것이다. 글로벌 사회는 갈수록 고령화하고 있다. 고령화는 노동력의 상실을 의미한다. 글로벌 인구 대부분이 일하지 않는, 아니 일하지 못하는 시기가 코앞에 다가오고 있다는 것이다. 바이오 산업은 이 같은 고령화 사회에 가장 절실한 분야다. 고령으로 인한 노인성 질병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게 바로 바이오 산업의 목표이기 때문이다. 중국은 인도와 함께 세계 최대 인구를 자랑하는 국가다. 바이오 산업은 중국 국가 존립에도 필수불가결한 산업인 것이다. 2일 중국 현지 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쑤저우에 본사를 둔 '의련생물(宜联生物, MediLink Therapeutics)'은 스위스 제약업체 로슈(Roche)와 차세대 항체 약물 접합체(ADC)에 대한 글로벌 협력 및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중간엽표피변환인자(c-MET)를 표적으로 하는 차세대 고형종양 항체 접합신약 후보물질인 YL211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의련생물은 로슈 차이나 이노베이션 센터와 협력해 YL211 프로젝트를 임상 1상 단계로 추진할
중국의 대표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알리바바와 징둥(JD.com) 간 손해배상 소송에서 징둥이 승소했다. 징둥과 알리바바는 중국을 대표하는 양대 인터넷 유통회사다. 이들은 글로벌 소비재 생태계 구축을 위해서 경쟁하고 잇지만 무엇보다 중국 내부 유통 산업의 주도권을 놓고 다투고 있다. 이번 소송은 두 유통 거인의 법정 다툼이어서 글로벌 시장의 주목을 받아왔다. 일단 징둥이 법적 승리를 한 것이다. 중국 법원의 이번 판결은 향후 중국 기업들의 진출을 견제해야하는 한국 등이 참고할만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29일 중국 현지 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베이징고등인민법원은 "알리바바가 입점 업체들에게 알리바바와 다른 업체 중 하나만 선택하게 강요한 행위는 시장 지배력 남용에 해당한다"며 손배 소송을 제기한 징둥에게 10억 위안(약 1820억 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징둥은 2015년 솽스이(双十一) 쇼핑 축제 당시 자사 입점사들이 알리바바의 양자택일 강요에 못이겨 플랫폼을 탈퇴했다며 당국에 알리바바를 반독점법 위반으로 신고했다. 또 2017년에는 알리바바와 자회사인 티몰(天猫)을 상대로 추가로 손배 소송을 제기했다. 중국시장감독관리총국은 2021년 4월 징둥의 주
중국의 IT굴기가 가속화하자 미국이 강하게 억제하고 나선 것은 세계 모두가 주지하는 사실이다. 미국은 중국의 IT 기업인 화웨이를 아예 중국 정부 산하 기업이라고 보고 꼭 찍어서 규제하고 있다. 중국 IT 기업들이 미국의 기술을 도적질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의심하고 있다. 무엇보다 중국은 가성비 높은 IT 장비들을 글로벌 시장에 내놓으면서 이를 통해 이용정보를 축적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실제 이 같은 미국의 시각에는 적지 않은 증거도 제시되고 있어 캐나다, 호주는 물론 유럽 각국이 중국 IT 제조품에 대한 무분별한 수입을 억제하는 상황이다. 아예 정부 단위 IT 인프라 구축에 중국 제품을 쓰지 못하도록 하는 국가도 있다. 그 결과가 최근 확인되고 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가 올해 1~11월 중국의 IT(전자정보) 제조업 동향을 29일 발표했다. 1~11월 중국의 전자 정보 제조업은 전년 동기 대비 생산량 회복이 가속화되고 수출 감소폭은 계속 축소됐다. 이 기간에 규모이상 전자 정보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했으며 증가율은 1~10월 대비 0.9포인트 상승했다. 11월 규모이상 전자 정보 제조업 부가가치는 전년 동월 대비 10.6%
중국이 유전자변형(GM) 옥수수와 대두 종자의 육종 및 판매 규제를 사실상 철폐했다. 28일 차이신, 펑파이신문 등 중국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농업농촌부는 지난 25일 공고를 통해 26개 기업에 유전자변형유기체(GMO) 종자를 생산, 유통, 판매할 수 있는 허가증을 발급했다. 중국 정부가 허가증을 발급한 업체에는 '위안롱핑(Yuan Long Ping)기술농업', '중국국가종자(China National Seed)'의 자회사인 '베이징 다베이농기술(Dabeinong Technology)' 등 중국의 대표적인 GMO 종자 업체들이 포함됐다. 또 중국의 주요 곡물 생산지인 허베이, 랴오닝, 지린 및 내몽골에서 운영되는 종자 업체들이 대부분 포함됐다. 이번 GMO 종자 판매 확대를 통해 중국은 대두 및 옥수수 수확량을 증가시켜 향후 미국과 브라질에서의 곡물 수입을 크게 낮출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은 현재 세계 최대의 대두 및 옥수수 수입국으로 가축 사료용으로 연간 1억t이 넘는 곡물을 수입하고 있다. 농업농촌부는 그동안 중국 각지에서 GMO 작물 시험 재배를 추진해왔으며, GMO 작물이 생산량과 병충해 저항력 측면에서 비GMO 작물에 비해 5~10% 이상
'6조 9822억 8000만 위안' 한화로 약 1260조 원이다. 올해 1~11월 중국의 규모이상(연간 매출 2000만 위안 이상) 공업기업이 실현한 이윤 총액이다. 어머어마한 금액이지만 전년 동기 대비 4% 이상 줄어든 것이다. 중국의 경기는 현재 갈림길에 있다는 평을 듣고 있다. 실제 침체와 회복의 징후를 보여주는 경기 지표들이 혼재해 있다. 중요한 것은 공업기업들의 이윤이 줄어든 것은 그만큼 중국 경제 부가가치가 줄었다는 의미일 수 있다. 다만 11월 수익이 전년 동월 대비 늘어나는 등 최근 월간 수치는 개선세를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27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11월 중국의 규모이상 공업기업이 실현한 이윤 총액은 6조 9822억 8000만 위안(약 1260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 감소했다. 감소폭은 1~10월 대비 3.4포인트 하락했다. 11월 한 달 동안의 규모이상 공업 기업의 이윤은 전년 동월 대비 29.5% 증가했으며 4개월 연속 플러스 성장을 달성했다. 1~11월 규모이상 공업기업의 영업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했으며 증가율은 1~10월 대비 0.7포인트 증가했다. 그 중 11월 규모이상 공
중국 국무원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가 '2023년 중앙기업책임자회의(中央企业负责人会)'를 25~26일 개최했다. 27일 중국 현지 매체 제일재경에 따르면 이번 회의에서는 올해 국유중앙기업 업무를 총결하고 내년도 핵심과제를 토의·확정했다.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는 시진핑 국가주석이 강조한 고품질 발전을 더욱 촉진하기 위해 2024년 중앙기업에 대해 '1리5율(一利五率, 총이윤/자산부채비율/순자산수익률/노동생산성/연구개발투자강도/영업현금흐름비율)'의 전반적인 목표 관리 시스템을 유지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1이윤의 안정적인 성장', '5가지 비율의 지속적인 최적화'를 통해 중앙 기업의 효율성을 꾸준히 향상시킨다는 방침이다.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국유중앙기업의 총 이윤은 2조 4000억 위안, 고정자산 누적 투자액은 4조 10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했다. 연구개발(R&D) 투자액은 9000억 위안 이상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700억 위안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