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지난해 3분기 기준 중국 신탁업체 보유 자산 22조 6400억 위안

 

'22조 6400억 위안'

한화로 약 4158조 원이다. 2023년 3분기 현재 중국 신탁업체들의 누적 자산 규모다. 

신탁은 투자자의 돈을 받아 투자를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한 뒤 이를 나누는 금융업이다. 흔히 은행, 보험, 증권과 함께 금융산업을 구성하는 4대 기둥으로 불린다.

중국은 개혁개방과 함께 서구식 금융시스템을 도입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다만 신탁업은 상대적으로 발전이 늦었는데, 이는 남을 쉽게 믿지 못하는 중국 부자들의 속성이 반영된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이에 중국 신탁업은 오랜동안 부실을 벗어나지 못했다. 하지만 중국 당국의 새로운 자산 관리 규정 시행 이후 중국 신탁업체들의 자산 규모는 2022년 2분기부터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이 플러스로 전환되었으며 6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을 유지하고 있어 주목된다.

5일 중국신탁업협회가 발표한 '2023년 3분기 중국 신탁업 발전 평가'에 따르면 3분기말 기준 신탁업체들의 보유 자산 규모는 22조 6400억 위안(약 4158조 원 )으로 전년 동기 대비 7.45% 증가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2023년 3분기말 기준 집합 자금 신탁 잔액과 관리 재산 신탁 잔액은 각각 12.48조 위안 및 6.20조 위안으로 55.13% 및 27.38%를 차지했다. 이에 비해 단일 자금 신탁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2.84% 감소한 3.96조 위안을 기록했다.

또 부동산에 투자하는 자금 신탁 규모는 1.02조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28% 하락했다. 

중국의 신탁업체들은 중국내 '그림자금융' 중에서 최근 10년 간 가장 빠르게 성장한 분야로 알려져 있다. 

'그림자금융'은 일반 은행 수준의 규제는 받지 않는 금융기업 및 금융상품을 일컫는다. 그동안 중국에서 일반 은행에서 대출받지 못하는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자금 조달원 역할을 해왔다.

중국은 은행 자금의 투자 방향에서 대해서는 강력한 규제를 하고 있지만, 이 그림자 금융에 대해서는 비교적 자유로운 운용이 가능하도록 해왔다. 다만 이 결과, 적지 않은 자금이 부동산 분야로 투자돼 최근 중국 부동산 경기 불황과 함께 부실화하고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중국 신탁업이 부동산 부실을 딛고 화려한 부활을 할지 2024년 중국 금융산업을 바라보는 관전 포인트 가운데 하나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