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올 4~7월 간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량이 동기 대비 34.8%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중국 기업들의 기계 장비류 구매 금액도 전년 동기 대비 6.4% 늘었다. 이번 조사는 부가가치세 납부 현황을 통해 파악한 것으로 이미 물건의 인도 끝난 단계의 수치들이다. 26일 중국 관영매체들에 따르면 올 4월부터 7월까지 전국 기업의 기계 장비류 구매 금액이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했다. 특히 각 분야의 장비 교체 실행 계획이 점차 실현되면서 7월에는 전년 동기 대비 8.5% 증가하여 이전보다 가속화되었다. 산업 기업의 장비 교체와 관련해서는, 부가가치세 계산서 데이터에 따르면, 4월부터 7월까지 산업 기업의 기계 장비류 구매 금액이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하여 3월보다 6.4%p 상승했다. 이 중 제조업의 기계 장비류 구매 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하여 3월보다 6.8%p 상승했다. 정보 및 과학기술 산업의 장비 교체와 관련해서는, 데이터에 따르면, 4월부터 7월까지 정보전송 소프트웨어와 정보기술 서비스업, 과학 연구 및 기술 서비스업의 기계 장비류 구매 금액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7.5%와 20.4% 증가하여, 3월보다 각
무더위 속에 한국에서 연일 전기 사용량이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무더위는 중국도 마찬가지다. 일부 도시의 경우 섭씨 40도를 웃도는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자연히 전기 사용량도 연일 급증하고 있다. 23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중국 국가에너지국 위챗 공개를 통해 7월 중 중국 전기소비량이 9396억kWh로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했다. 일반 소비뿐 아니라, 산업 생산 각 분야에서도 크게 늘었다. 산업별 전력 소비량은 1차 산업이 142억kWh로 전년 대비 1.5% 증가했고, 2차 산업이 5,656억kWh를 소비해 3차 산업이 5.0% 증가했다. 1,871억kWh, 전년 대비 7.8% 증가, 도시 및 농촌 주민의 국내 전력 소비량은 1,727억kWh로 전년 대비 5.9% 늘었다. 올 1~7월 사회 전체 전력소비량도 7%대 증가세를 시현했다. 올 7개월간 사회 전체 전기소비량은 5조5971억kWh로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했으며, 이 중 지정규모 이상 산업용 발전량은 5조3239억kWh를 기록했다. 산업별 전력 소비량은 1차 산업이 764억kWh로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했고, 2차 산업이 3조 6,329억kWh를 소비해 3차
중국의 올 7월말 은행업 총 금융자산이 무려 423조 8천억 위안(약 8경 1,015조 8,32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한 수치다. 제조업 대출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11.4% 늘었다. 첨단 기술 산업 대출 규모 증가가 전년 동기 대비 13.9% 늘면서 증가세를 견인했다. 23일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 신문판공실은 지난 21일 "고품질 발전 촉진" 와 관련한 브리핑을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이에 따르면 올 7월 말, 은행업 금융기관의 자산 총액은 423조 8천억 위안(약 8경 1,015조 8,32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했다. 보험업의 총자산은 33조 9천억 위안(약 6,345조 7,410억 원)으로, 연초 대비 7.7% 증가했다. 자산의 질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부실 대출 비율은 안정 속에서 감소하고 있다. 올해 들어 신용 위험은 전반적으로 통제 가능하며, 7월 말 은행업의 부실 대출 비율은 1.61%로, 전년 동기 대비 0.08%p낮아졌다. 부실 자산 처리 강도도 한층 강화되었으며, 올해 상반기 은행은 1조 4천억 위안(약 262조 660억 원)의 부실 자산을 처리했다. 리스크에
'601억 달러' 한화로 약 79조 8,428억 원가량의 돈이다. 중국이 올 상반기 아프리카에서 수입한 수입액이다. 전년동기 대비 14% 증가한 규모다. 중국은 이 같은 경제교류를 통해 아프리카 각국을 중국의 영향권내 묶어두고 있다. '2024년 중국-아프리카 협력 포럼 정상회의'를 앞두고 중국 당국은 기자회견을 열고 중국과 아프리카 간의 경제 교류 현황을 밝혔다. 이번 정상회의는 9월 4일부터 6일까지 베이징에서 열린다. 탕원홍 부장조리는 이에 대해 "중국은 아프리카로부터의 수입 확대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자국의 초대형 시장의 이점을 충분히 발휘해 아프리카를 포함한 각국 기업에게 넓은 시장 공간과 협력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탕 부장조리에 따르면 아프리카로부터의 농산물 수입 금액이 7년 연속 증가했다고 밝혔다. 아프리카 농산물은 중국 당국이 수년전 수입을 허용했다. 중국 당국에 따르면 지난 2023년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부터의 신선한 배 수입 규모가 전년 대비 1,733% 증가했고, 케냐로부터의 아보카도 수입 규모가 전년 대비 624% 증가했다. 중국과 아프리카 간의 협력은 지난 2021년, 중국-아프리카 협력 포럼 제8차 장관급
'고정자산 투자 3.6%, 인프라 투자 4.9%, 제조업 투자 9.3%' 중국을 올 1~7월 간 국가 투자 현황이다. 중국 미래를 준비하는 투자 규모가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중국 당국은 최근 서구의 부정적인 경제 전망에 맞서, 경제 운용의 자신감을 보여주려 노력하고 있다. 21일 신화왕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당국이 자신있게 중국 전역의 1~7월 간 투자 현황을 공개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의 류아이화 대변인은 이와 관련 "앞으로 초장기 특별국채, 중앙 예산 내 투자, 지방 정부 특별채권, 그리고 2023년 정부 발행 국채 등의 프로젝트가 빠르게 추진되고 실물 작업량이 증가함에 따라 정부 투자의 유발 확대 효과가 지속적으로 발휘될 것"이라고 밝혔다. 류 대변인은 7월에 일부 지역의 고온 다습한 극단적인 날씨로 인해 고정자산 투자가 다소 둔화되었지만, 전반적으로 규모가 확대되고 구조가 최적화되는 발전 추세를 유지했다고 강조했다. 첫째, 투자 규모가 계속 확대되었다. 1~7월 동안 전국 고정자산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했으며, 그중 인프라 투자는 4.9%, 제조업 투자는 9.3% 증가하여 고정자산 투자 전체 성장률을 앞질렀다. 둘째,
중국 각지가 올 7월 6%대의 공업 기업 매출수익 증가폭을 기록했다. 중국의 안정적 경제 성장 추세를 보여준다는 게 중국 매체들의 분석이다. 20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최근 국가세무총국은 부가가치세 세금계산서 데이터를 공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7월 제조업이 지속적으로 호조세를 보였다. 동부와 서부 지역의 판매 수입이 전년 동월 대비 각각 5%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광둥, 상하이, 저장 등 동부 경제 대성의 성장 속도가 빠르게 나타나, 전년 동월 대비 각각 5.8%, 5.9%, 7.8% 증가했다. 내몽골, 충칭 등 지역도 빠른 성장을 이루었으며, 전년 동월 대비 각각 7.3%, 6.7% 증가했다. 7월에는 산업 기업의 판매 수입이 전년 동월 대비 6% 증가하여 2분기 성장률보다 1.7%p 상승했다. 그중 원자재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광업은 전년 동월 대비 9.7% 증가해 2분기에는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전환되었다. 제조업은 전년 동월 대비 5.7% 증가했으며, 그 중 원자재 가공업과 장비 제조업은 각각 전년 동월 대비 6.8%, 6% 증가했다. 전력 생산 및 공급업의 판매 수입도 전년 동월 대비 5.6% 증가하여 여름철 전력 수요 피크에 효과적으로
중국 중앙정부가 지방 정부의 투자 유치를 위한 정책우대 조치를 전면 금지시켰다. 그동안 중국은 지방정부 차원에서 지방에 투자유치를 위해 투자자, 특히 해외 자본에 각종 세금 우대 등의 조치를 해주는 것을 방관해 왔다. 지역 발전을 위한 지방 정부의 역량에 최대한의 자율권을 부여했던 것이다. 하지만 이제는 전국적으로 중앙 정부가 허락하는 범위내에서만 우대가 가능하도록 바뀌게 됐다. 19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중앙정부는 최근 3중전회의 의결을 통해 이 같은 금지조치가 전국에 하달됐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명령은 “투자촉진을 위한 지방법규를 표준화하고, 불법적이고 불법적인 정책 우대를 엄격히 금지한다.”는 것이다. 향후 중국 지방 직접 투자에 적지 않은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신화통신은 전망했다. 이번 조치는 앞서 이뤄진 중국 공산당 제20기 중앙위원회 3중전회 결의에 근거한다. 신화통신은 “투자유치는 지역경제 발전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라면서도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일정 기간 일방적으로 지역적 이익을 추구하고 투자 및 프로젝트 경쟁을 위해 세금, 수수료, 토지 이용 등 다양한 우대 정책을 불법적으로 시행하여 인위적으로 '정책 불황'을 조성했다”고
‘1000건 돌파’ 중국 택배 물건이 지난 13일 1000억 건을 돌파했다. 지난해보다 무려 71일을 앞당긴 것이다. 택배 물량은 소비물량을 살피는 주요 지표 가운데 하나다. 택배 물량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중국의 소비, 특히 온라인 소비가 늘었다는 의미다. 중국우정국 웹사이트에 따르면 8월 13일 현재 중국의 특송 사업 거래량은 올해 첫 1000억 건을 초과했다. 이는 지난 2023년 1000억 건 돌파 일보다 71일 앞선 것이다. 중국 매체들은 “중국 특송 시장의 번영과 발전, 품질 및 효율성의 지속적인 개선을 강조하고 중국 경제 발전의 활력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했다. 올 중국의 1000억번째 배송품은 벽을 허무는 기계였다. 신장(新疆)성 우루무치(海魯魯)에서 창즈(長志)로 보내졌다. 배송은 차이나오익스프레스(Cainiao Express)가 맡았고, 인도는 14일 이뤄졌다. 중국 택배는 연초부터 급등세를 기록하고 있다. 올 월평균 거래량은 130억 십억 개 이상, 월평균 사업 수입은 1,000억 위안을 넘어섰다. 중궈신원왕에 중국우정국 관계자는 “중국 경제의 반등에 따라 소비자 수요가 여전히 활기를 띠고 있으며 내수 확대와 성장 안정화 속에 택배 산업
지난 6월 중국 승용차 수입은 줄고, 수출은 무려 20%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이 본격적인 자동차 수출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이다. 13일 중국 세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 6월 중국의 승용차 수입량은 6만 200대로 전년 대비 1% 감소했다. 이에 수입액도 34억 3,5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5.7% 줄었다. 반면 중국의 승용차 수출량은 41만 2800대로 전년 대비 20.2% 증가했다. 수출액 역시 64억 1,2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6.9% 늘었다. 중국 자동차 수출은 올들어 꾸준한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6월 감소에 따라 올 상반기 중국의 승용차 수입량은 32만 5,200대에 그쳤다. 수입액 역시 181억 1,100만 달러에 머물렀다. 반면 같은 기간 동안 수출량은 251만 2,300대로 수입량에 8배에 육박했다. 수출액은 역시 414억 2,700만 달러로 수입액의 배를 넘었다. 저가차를 팔아 고가차를 수입하면서 수출량이 수입량에 7배 이상 많았지만, 금액은 배 정도 많은 데 그친 것이다. 중국이 자동차 수출국으로 자리잡은 지는 벌써 1년째다. 중국은 한 때 자동차 산업을 포기한 듯 보였다. 자국 시장에 50대 50의 합작사
중국 세관의 최신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중국의 반도체 수입량이 계속해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한국 반도체 수출의 공식적으로 40%를 차지한다. 20%는 홍콩 등을 통한 우회 수입이다. 한국 반도체의 60%가 중국에서 소비되는 꼴이다. 이극관 및 유사 반도체 소자의 수입 총량은 2,859억 개로, 전년 동기 대비 12.4% 증가하였으며, 가치는 약 135억 7천 달러(약 184조 1,143억원)에 달했다. 또한 집적회로 수입 총량은 3,081억 개로, 전년 동기 대비 14.5% 증가하였으며, 가치는 약 15조 6,700억 위안(약 2,989조 9,927억 원)에 달했다. 지난주 외신에 따르면, 미국이 고대역폭 메모리(HBM) 칩에 대한 새로운 제한을 검토 중이라고 전해졌다. 이번 집적회로 수입량의 급증은 기업들이 미국의 일방적인 제한 조치에 대비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HBM 칩은 대형 언어 모델을 구축하는 데 필수적인 구성 요소이며, 대형 언어 모델은 OpenAI의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 서비스의 핵심 기술이다. 로이터통신이 지난 6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중국의 대형 기술 기업들과 일부 스타트업 기업이 미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