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IT 기업 시장가치 순위 Top 10, 1위 TSMC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시장에서 IT기업들의 영향력은 크게 증가했다.

아직 미국의 애플, 아마존 등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14억 명의 세계 최대 내수 시장을 발판으로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 잘 나가던 중국 IT기업들이 최근  대내외 악재에 부딪쳤다.

우선 맞닥뜨린 게 미국의 견제다. 미국은 중국의 IT굴기 이면에는 미국 산업 특허권을 빼돌린 간첩 행위가 있다고 믿고 있다. 최근 관련 한 보고서는 "미국에 현재 한달에 10건 씩 중국과 관련한 간첩 행위에 대한 혐의가 드러나 조사가 이뤄지고 있다"고 밝히고 잇다.

대표적인 기업이 화웨이다. 미국은 아예 화웨이가 연루된 모든 IT 제품에 대해 정보 보안 이슈로 인한 제재를 가하고 있다. 

이 같은 대외 악재도 악재지만 더욱 문제는 내부 요소다. 

최근 3연임에 성공한 시진핑 정권은 IT기업을 정보 유출의 위험이 크다고 보고 내부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단순히 보안 이슈 뿐이 아니다. 현재 시진핑 정권은 공동 부유를 치국 이념으로 내세우고 있는데, 대표적인 개혁의 대상으로 IT 기업들을 꼽고 있다.

일단 갑작스레 IT 기업들의 성공을 '졸부기업'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과연 중국 IT기업들은 이 같은 악재들을 뚫고 어떻게 발전해 갈 것인가? 세간이 관심이 쏠리고 잇다.

최근 발표된 중국 IT기업의 시장가치 순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위 TSMC

2위 텐센트 홀딩스

3위 알리바바

4위 메이투안(美团)

5위 핀둬둬

6위 징둥

7위 왕이

8위 바이두

9위 둥팡차이푸

10위 샤오미그룹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기업인 TSMC는 중국 IT기업 중 시장가치 1위를 지키고 있다. 시장가치는 3304억2300만 달러에 달한다. 주가는 이전보다 다소 떨어졌지만 다른 회사들도 비슷한 현상을 보이며 여전히 1위를 달리고 있다.

2위와 3위는 중국 IT업계의 양대 산맥인 텐센트와 알리바바가 차지했다. 시장가치는 각각 3055만5500만 달러와 2021만1300만 달러다. 두 회사의 최근 주가는 고점 대비 무려 69% 및 77% 급락했지만 여전히 Top 3 안에 이름을 올렸다.

4-10위는 메이투안, 핀둬둬, 징둥, 왕이, 바이두, 둥팡차이푸(东方财富), 샤오미그룹으로, 상위 10개 회사 중 4개가 전자상거래 기업(알리바바, 핀둬둬, 메이투안, 징둥)이다.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의 수요가 얼마나 큰지 알 수 있다.

 

 


사회

더보기
중 당국 출산장려 지원 늘이자, 업계 출산용품 가격 올려
중국에서 정부 출산 장려금을 노린 상술이 네티즌들의 지탄을 받고 있다. 물가가 거의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살짝 뒷걸음질까지 하는 게 중국의 물가인데, 유독 크게 오르는 분야가 있어 중국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이 크게 오르는 것은 다른 게 아니라 육아용품이다. 특히 출산직후 아이와 엄마에게 필요한 용품들의 가격이 적지 않게 올라 네티즌들 사이에서 “정부가 보조금까지 주면 뭘 하냐”는 볼맨소리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중국 매체들도 이 같은 실정을 지적하며 당국의 ‘모자(母子) 용품’ 가격 단속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들어, 육아보조금 지급에서부터 점차 무상 유아교육 시행에 이르기까지 여러 정책 혜택이 쏟아지고 있다”며 문제는 이 같은 정부의 지원을 노린 상술이 횡행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일부 상인은 이를 틈타 판촉 행사 변화를 핑계로 꾀를 부려, 몰래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얄팍한 수법을 부리고 있다”고 고발했다. 실제 중국 인터넷에 다수의 학부모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최근 온라인으로 구입한 분유·기저귀·이유식 등 모자용품 가격이 예전보다 10위안(약 2000원)에서 수십 위안까지 오른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