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포춘 세계 에너지 기업 순위 Top 1~3위 모두 중국 기업

 

에너지 공황의 시대다.

코로나19 팬데믹에 우크라이나 전쟁까지 장기화되면서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이 위축됐고 왜곡됐다. 자연히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뚫고 천정으로 치닫고 각종 에너지 가격도 동반 상승세다.

그동안 각국이 풀어낸 유동성에 불길이 붙으면서 글로벌 경제는 에너지 인플레이션에 짓눌려 가뿐 숨을 내쉬고 있다. 각국이 이에 대응해 금리를 높이고 나서면서 10년 이상을 끌어온 저금리 투자의 시대가 저물고 있다.

넘치는 투자에 '빈부격차'에 대한 불만이 고조된 상황에서 이제는 고금리 시대 '빈익빈'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고금리는 언제나 없는 이에게 가혹한 법이다. 

이 모든 악순환의 첫 고리는 바로 에너지 공급망의 불안이다.

이런 상황에서 올 2022년 세계 에너지 기업 순위가 발표됐다. 포춘 500대 기업 순위에서 에너지 기업을 따로 빼내 순위화한 것이다.

500대 기업 중 중국 기업은 145개에 달한다. 그중에서도 에너지 기업 수는 78개나 된다. 중국의 에너지 시장이 그만큼 큰 덕이다. 

'초록은 동색'이라 사회주의 국가 중국은 티격태격하면서도 글로벌 사회에서 러시아 편에 서는 일이 적지 않다. 하지만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 이슈와 관련해서는 에너지 문제 때문이라도 더욱 더 러시아 편에 서는 모습이다.

세계 에너지 기업 순위 Top 5는 다음과 같다.

 

1위, 국가전망유한회사

2위, 중국석유천연기집단유한회사

3위, 중국석유화공집단유한회사

4위, 사우디아람코

5위, 엑슨모빌

 

세계 에너지 기업 순위에서 중국 기업이 1~3위를 모두 차지했으며, 1~10위 중 중국 기업이 총 4개로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

중국 국가전망유한회사는 지난해 4606억1690만 달러의 영업 수입을 냈으며, 713억7800만 달러의 이윤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이번 순위는 영업 수입으로 평가되었지만, 이윤이 가장 많은 기업은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영석유기업 사우디아람코이다. 사우디아람코는 4003억9910만 달러의 영업 수입을 냈으며, 그 중 이윤은 무려 1053억6910만 달러이다. 1위 기업인 국가전망유한회사보다 영업수입이 약 600억 달러 낮지만, 이윤은 오히려 약 300억 달러가 높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